靑, 우리 국민 피격 사망에 ‘당혹’ 속 대응 분주
입력 2020.09.24 (21:15)
수정 2020.09.24 (21: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청와대 연결해 현재 상황, 또 유엔총회 연설 관련 논란, 알아보겠습니다.
홍성희 기자, 청와대 지금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청와대는 당혹스러운 모습이 역력합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만행이 벌어졌다” “상황이 대단히 엄중하다”는 말로 내부 분위기를 전했는데요, 또,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찾으려고 애를 쓰는 와중에 이런 일이 벌어져 낙담하는 분위기도 역력합니다.
[앵커]
문 대통령이 어제(23일) 새벽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에 '종전선언'을 제안했죠,
실종 공무원이 살해된 상황에서 연설을 수정했어야 했다는 주장도 나오는데, 청와대 입장은 뭡니까?
[기자]
먼저, 청와대가 공개한 시간 순서를 따져보면요, 실종 공무원이 살해됐다는 첩보가 청와대에 보고된 시점이 22일 밤 10시 반입니다.
이로부터 3시간 뒤인 23일 새벽 1시 반에, 문 대통령이 영상으로 유엔총회 연설을 했습니다.
즉, 3시간의 틈이 있었던 건데요,
이때 ‘연설 취소를 고려했었냐’는 기자 질문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당시는 첩보의 신빙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설 수정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문 대통령의 연설 영상은 실종 사건이 발생하기 전인 지난 15일 녹화됐고 18일, 유엔에 이미 보낸 상황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야당에서는 청와대가 문 대통령 연설 때문에 사건 공개를 늦춘 것 아니냐고도 주장하는데요?
[기자]
네. 국민의힘은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도 유엔 연설에 흠집을 내지 않으려고 사건 공개를 오늘(24일)로 늦춘 것이 아니냐고 주장하는데요.
네, 먼저 야당 주장, 들어보시죠.
[배현진 : “대통령이 인지한 시점이 언제이며, 자국민 총격사건을 보고받은 후 대통령이 취한 조치는 무엇인지 국민들께 소상히 밝혀야 한다.”]
청와대가 총격 살해 첩보를 입수한 게 22일 밤이니까, 오늘 공식 발표까지 이틀이 걸린 건데요, 이에 대해 청와대는 정보의 신뢰성과 사실관계 파악에 대한 검증 과정에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남북 간 핫라인이 끊겨, 유엔사를 거쳐 북한에 사실관계 확인을 위한 통지문을 보내야 했고, 이마저 답이 없어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국민이 분노할 일이다, 있는 그대로 국민에게 알리라고 지시했다며 유엔 연설 관련 야당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청와대 연결해 현재 상황, 또 유엔총회 연설 관련 논란, 알아보겠습니다.
홍성희 기자, 청와대 지금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청와대는 당혹스러운 모습이 역력합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만행이 벌어졌다” “상황이 대단히 엄중하다”는 말로 내부 분위기를 전했는데요, 또,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찾으려고 애를 쓰는 와중에 이런 일이 벌어져 낙담하는 분위기도 역력합니다.
[앵커]
문 대통령이 어제(23일) 새벽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에 '종전선언'을 제안했죠,
실종 공무원이 살해된 상황에서 연설을 수정했어야 했다는 주장도 나오는데, 청와대 입장은 뭡니까?
[기자]
먼저, 청와대가 공개한 시간 순서를 따져보면요, 실종 공무원이 살해됐다는 첩보가 청와대에 보고된 시점이 22일 밤 10시 반입니다.
이로부터 3시간 뒤인 23일 새벽 1시 반에, 문 대통령이 영상으로 유엔총회 연설을 했습니다.
즉, 3시간의 틈이 있었던 건데요,
이때 ‘연설 취소를 고려했었냐’는 기자 질문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당시는 첩보의 신빙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설 수정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문 대통령의 연설 영상은 실종 사건이 발생하기 전인 지난 15일 녹화됐고 18일, 유엔에 이미 보낸 상황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야당에서는 청와대가 문 대통령 연설 때문에 사건 공개를 늦춘 것 아니냐고도 주장하는데요?
[기자]
네. 국민의힘은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도 유엔 연설에 흠집을 내지 않으려고 사건 공개를 오늘(24일)로 늦춘 것이 아니냐고 주장하는데요.
네, 먼저 야당 주장, 들어보시죠.
[배현진 : “대통령이 인지한 시점이 언제이며, 자국민 총격사건을 보고받은 후 대통령이 취한 조치는 무엇인지 국민들께 소상히 밝혀야 한다.”]
청와대가 총격 살해 첩보를 입수한 게 22일 밤이니까, 오늘 공식 발표까지 이틀이 걸린 건데요, 이에 대해 청와대는 정보의 신뢰성과 사실관계 파악에 대한 검증 과정에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남북 간 핫라인이 끊겨, 유엔사를 거쳐 북한에 사실관계 확인을 위한 통지문을 보내야 했고, 이마저 답이 없어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국민이 분노할 일이다, 있는 그대로 국민에게 알리라고 지시했다며 유엔 연설 관련 야당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靑, 우리 국민 피격 사망에 ‘당혹’ 속 대응 분주
-
- 입력 2020-09-24 21:15:09
- 수정2020-09-24 21:26:20

[앵커]
청와대 연결해 현재 상황, 또 유엔총회 연설 관련 논란, 알아보겠습니다.
홍성희 기자, 청와대 지금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청와대는 당혹스러운 모습이 역력합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만행이 벌어졌다” “상황이 대단히 엄중하다”는 말로 내부 분위기를 전했는데요, 또,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찾으려고 애를 쓰는 와중에 이런 일이 벌어져 낙담하는 분위기도 역력합니다.
[앵커]
문 대통령이 어제(23일) 새벽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에 '종전선언'을 제안했죠,
실종 공무원이 살해된 상황에서 연설을 수정했어야 했다는 주장도 나오는데, 청와대 입장은 뭡니까?
[기자]
먼저, 청와대가 공개한 시간 순서를 따져보면요, 실종 공무원이 살해됐다는 첩보가 청와대에 보고된 시점이 22일 밤 10시 반입니다.
이로부터 3시간 뒤인 23일 새벽 1시 반에, 문 대통령이 영상으로 유엔총회 연설을 했습니다.
즉, 3시간의 틈이 있었던 건데요,
이때 ‘연설 취소를 고려했었냐’는 기자 질문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당시는 첩보의 신빙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설 수정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문 대통령의 연설 영상은 실종 사건이 발생하기 전인 지난 15일 녹화됐고 18일, 유엔에 이미 보낸 상황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야당에서는 청와대가 문 대통령 연설 때문에 사건 공개를 늦춘 것 아니냐고도 주장하는데요?
[기자]
네. 국민의힘은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도 유엔 연설에 흠집을 내지 않으려고 사건 공개를 오늘(24일)로 늦춘 것이 아니냐고 주장하는데요.
네, 먼저 야당 주장, 들어보시죠.
[배현진 : “대통령이 인지한 시점이 언제이며, 자국민 총격사건을 보고받은 후 대통령이 취한 조치는 무엇인지 국민들께 소상히 밝혀야 한다.”]
청와대가 총격 살해 첩보를 입수한 게 22일 밤이니까, 오늘 공식 발표까지 이틀이 걸린 건데요, 이에 대해 청와대는 정보의 신뢰성과 사실관계 파악에 대한 검증 과정에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남북 간 핫라인이 끊겨, 유엔사를 거쳐 북한에 사실관계 확인을 위한 통지문을 보내야 했고, 이마저 답이 없어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국민이 분노할 일이다, 있는 그대로 국민에게 알리라고 지시했다며 유엔 연설 관련 야당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청와대 연결해 현재 상황, 또 유엔총회 연설 관련 논란, 알아보겠습니다.
홍성희 기자, 청와대 지금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기자]
청와대는 당혹스러운 모습이 역력합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만행이 벌어졌다” “상황이 대단히 엄중하다”는 말로 내부 분위기를 전했는데요, 또,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찾으려고 애를 쓰는 와중에 이런 일이 벌어져 낙담하는 분위기도 역력합니다.
[앵커]
문 대통령이 어제(23일) 새벽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에 '종전선언'을 제안했죠,
실종 공무원이 살해된 상황에서 연설을 수정했어야 했다는 주장도 나오는데, 청와대 입장은 뭡니까?
[기자]
먼저, 청와대가 공개한 시간 순서를 따져보면요, 실종 공무원이 살해됐다는 첩보가 청와대에 보고된 시점이 22일 밤 10시 반입니다.
이로부터 3시간 뒤인 23일 새벽 1시 반에, 문 대통령이 영상으로 유엔총회 연설을 했습니다.
즉, 3시간의 틈이 있었던 건데요,
이때 ‘연설 취소를 고려했었냐’는 기자 질문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당시는 첩보의 신빙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설 수정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문 대통령의 연설 영상은 실종 사건이 발생하기 전인 지난 15일 녹화됐고 18일, 유엔에 이미 보낸 상황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야당에서는 청와대가 문 대통령 연설 때문에 사건 공개를 늦춘 것 아니냐고도 주장하는데요?
[기자]
네. 국민의힘은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도 유엔 연설에 흠집을 내지 않으려고 사건 공개를 오늘(24일)로 늦춘 것이 아니냐고 주장하는데요.
네, 먼저 야당 주장, 들어보시죠.
[배현진 : “대통령이 인지한 시점이 언제이며, 자국민 총격사건을 보고받은 후 대통령이 취한 조치는 무엇인지 국민들께 소상히 밝혀야 한다.”]
청와대가 총격 살해 첩보를 입수한 게 22일 밤이니까, 오늘 공식 발표까지 이틀이 걸린 건데요, 이에 대해 청와대는 정보의 신뢰성과 사실관계 파악에 대한 검증 과정에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남북 간 핫라인이 끊겨, 유엔사를 거쳐 북한에 사실관계 확인을 위한 통지문을 보내야 했고, 이마저 답이 없어 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국민이 분노할 일이다, 있는 그대로 국민에게 알리라고 지시했다며 유엔 연설 관련 야당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
홍성희 기자 bombom@kbs.co.kr
홍성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 공무원 피살 사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