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① 청년이 떠나는 경남…일자리·창업 지원 부족

입력 2021.01.01 (10:05) 수정 2021.01.05 (10: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경남이 새해를 맞아 경남을 떠나는 청년의 현실과 청년 정착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짚어보는 신년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경남에 머물고 싶어도 경남을 떠나야 하는 청년들의 현주소를 차주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음 달(2월) 대학 졸업을 앞둔 22살 우인화 씨.

경남에 머물며 방송 진행자로 활동하는 게 목표입니다.

하지만 경남에서는 취업 교육을 받을 곳이 없는 데다, 일자리도 수도권에 몰려 있어 서울생활을 해야 할 지 고민입니다.

[우인화/취업준비생 : "어렵게 (배울 곳을) 찾은 게 그나마 가까운 부산이었어요. 보통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보니까. 수도권 학생들이 준비하는 거랑 비교해보면 내가 좀 부족하게 준비하고 있는 건 아닌가 걱정도 돼요."]

창원에 사는 24살 김유미 씨는 직업상담사 자격증을 땄지만 넉 달째 일자리를 찾지 못해 부산과 대구지역 회사 면접을 보고 있습니다.

[김유미/취업준비생 : "채용 정보가 창원만 한정해서 검색하면 몇 개 안 떠서 그나마 집에서 다니기 쉽고 친근한 도시인 부산이랑 대구까지 합쳐서 (구직 중이에요.)"]

지난 2011년 진주에서 플랫폼 사업을 창업한 박현호 씨는 인재와 투자자를 찾기 어려워 결국, 서울로 옮겼습니다.

[박현호/청년 창업가 : "지방에 개발자 채용이 힘들어서 일을 놓고 본다면 아마 거기 있었으면 지금 크몽 정도까지는 안 됐을 것 같아요."]

경남을 떠난 20~30대 청년은 지난 2018년 한해 6만 7천여 명!

열 명 가운데 6명이 '직업' 때문에 떠났고, 주로 수도권과 부산으로 갔습니다.

경남 전체 인구 가운데 청년 비율도 줄어들어 지난해 말(2020.11) 17.6%로 전국 평균보다 2.7%p 낮았습니다.

이대로라면 20년 뒤 15% 밑으로 떨어진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경남의 산업이 제조업 위주여서 다양한 일자리가 부족한 데다 창업 지원이나 인턴 기회가 적기 때문입니다.

[강지윤/경남청년유니온 위원장 : "사회 전체가 안고 있는 문제를 청년들이 정면에 노출돼서 이걸 다 받아내고 있다고…. 근본적인 것들을 바꿔야만 이 문제가 해결되겠다."]

경남의 청년 인구는 61만여 명, 경남에서 기회를 얻고 성장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그래픽:박부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년기획]① 청년이 떠나는 경남…일자리·창업 지원 부족
    • 입력 2021-01-01 10:05:38
    • 수정2021-01-05 10:26:52
    930뉴스(창원)
[앵커]

KBS경남이 새해를 맞아 경남을 떠나는 청년의 현실과 청년 정착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짚어보는 신년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경남에 머물고 싶어도 경남을 떠나야 하는 청년들의 현주소를 차주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음 달(2월) 대학 졸업을 앞둔 22살 우인화 씨.

경남에 머물며 방송 진행자로 활동하는 게 목표입니다.

하지만 경남에서는 취업 교육을 받을 곳이 없는 데다, 일자리도 수도권에 몰려 있어 서울생활을 해야 할 지 고민입니다.

[우인화/취업준비생 : "어렵게 (배울 곳을) 찾은 게 그나마 가까운 부산이었어요. 보통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보니까. 수도권 학생들이 준비하는 거랑 비교해보면 내가 좀 부족하게 준비하고 있는 건 아닌가 걱정도 돼요."]

창원에 사는 24살 김유미 씨는 직업상담사 자격증을 땄지만 넉 달째 일자리를 찾지 못해 부산과 대구지역 회사 면접을 보고 있습니다.

[김유미/취업준비생 : "채용 정보가 창원만 한정해서 검색하면 몇 개 안 떠서 그나마 집에서 다니기 쉽고 친근한 도시인 부산이랑 대구까지 합쳐서 (구직 중이에요.)"]

지난 2011년 진주에서 플랫폼 사업을 창업한 박현호 씨는 인재와 투자자를 찾기 어려워 결국, 서울로 옮겼습니다.

[박현호/청년 창업가 : "지방에 개발자 채용이 힘들어서 일을 놓고 본다면 아마 거기 있었으면 지금 크몽 정도까지는 안 됐을 것 같아요."]

경남을 떠난 20~30대 청년은 지난 2018년 한해 6만 7천여 명!

열 명 가운데 6명이 '직업' 때문에 떠났고, 주로 수도권과 부산으로 갔습니다.

경남 전체 인구 가운데 청년 비율도 줄어들어 지난해 말(2020.11) 17.6%로 전국 평균보다 2.7%p 낮았습니다.

이대로라면 20년 뒤 15% 밑으로 떨어진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경남의 산업이 제조업 위주여서 다양한 일자리가 부족한 데다 창업 지원이나 인턴 기회가 적기 때문입니다.

[강지윤/경남청년유니온 위원장 : "사회 전체가 안고 있는 문제를 청년들이 정면에 노출돼서 이걸 다 받아내고 있다고…. 근본적인 것들을 바꿔야만 이 문제가 해결되겠다."]

경남의 청년 인구는 61만여 명, 경남에서 기회를 얻고 성장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차주하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그래픽:박부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