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Talk] 요양원 창 너머 90대 부부의 ‘애틋한 만남’
입력 2021.04.26 (10:55)
수정 2021.04.26 (11: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스페인에서는 지난해 코로나 대유행 초기에 요양 시설 노인들의 상당수가 사망하는 등 피해가 컸습니다.
그 이후 지금까지도 요양시설의 면회와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는데요,
창문을 사이에 둔 90대 노부부의 애틋한 사연을 소개합니다.
<지구촌 톡>에서 함께 보시죠.
[리포트]
올해 아흔살인 자비에 안토 씨가 창가에 의자를 두고 앉아 안쪽을 유심히 들여다보는데요,
보고 또 봐도 그리운 아내의 얼굴을 보기 위해섭니다.
두 살 연상인 아내 카르멘 판자노 씨는 알츠하이머로 이곳 요양원에 머물고 있는데요,
안토 씨가 일주일에 서너 번씩 찾아와 창문을 사이에 두고 애틋한 만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자비에 안토/남편 : “최대한 자주 오려고 합니다. 몸이 허락하는 한, 계속 하고 싶어요. 만약 상황이 바뀌어 제가 아팠다면 아내도 똑같이 하거나 더 잘했을 겁니다.”]
두 사람 모두 코로나19 백신 접종도 마쳤지만, 여전히 엄격한 통제 탓에 손 한 번 다시 잡지 못했는데요,
부부가 이토록 오랜 기간 서로 떨어져 있는 건, 결혼 6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 영상통화로도 그리움을 달래지 못해 직접 찾아오고 있다고 하네요,
스페인에서는 지난해 코로나 대유행 초기에 요양 시설 노인들의 상당수가 사망하는 등 피해가 컸습니다.
그 이후 지금까지도 요양시설의 면회와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는데요,
창문을 사이에 둔 90대 노부부의 애틋한 사연을 소개합니다.
<지구촌 톡>에서 함께 보시죠.
[리포트]
올해 아흔살인 자비에 안토 씨가 창가에 의자를 두고 앉아 안쪽을 유심히 들여다보는데요,
보고 또 봐도 그리운 아내의 얼굴을 보기 위해섭니다.
두 살 연상인 아내 카르멘 판자노 씨는 알츠하이머로 이곳 요양원에 머물고 있는데요,
안토 씨가 일주일에 서너 번씩 찾아와 창문을 사이에 두고 애틋한 만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자비에 안토/남편 : “최대한 자주 오려고 합니다. 몸이 허락하는 한, 계속 하고 싶어요. 만약 상황이 바뀌어 제가 아팠다면 아내도 똑같이 하거나 더 잘했을 겁니다.”]
두 사람 모두 코로나19 백신 접종도 마쳤지만, 여전히 엄격한 통제 탓에 손 한 번 다시 잡지 못했는데요,
부부가 이토록 오랜 기간 서로 떨어져 있는 건, 결혼 6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 영상통화로도 그리움을 달래지 못해 직접 찾아오고 있다고 하네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구촌 Talk] 요양원 창 너머 90대 부부의 ‘애틋한 만남’
-
- 입력 2021-04-26 10:55:30
- 수정2021-04-26 11:20:51

[앵커]
스페인에서는 지난해 코로나 대유행 초기에 요양 시설 노인들의 상당수가 사망하는 등 피해가 컸습니다.
그 이후 지금까지도 요양시설의 면회와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는데요,
창문을 사이에 둔 90대 노부부의 애틋한 사연을 소개합니다.
<지구촌 톡>에서 함께 보시죠.
[리포트]
올해 아흔살인 자비에 안토 씨가 창가에 의자를 두고 앉아 안쪽을 유심히 들여다보는데요,
보고 또 봐도 그리운 아내의 얼굴을 보기 위해섭니다.
두 살 연상인 아내 카르멘 판자노 씨는 알츠하이머로 이곳 요양원에 머물고 있는데요,
안토 씨가 일주일에 서너 번씩 찾아와 창문을 사이에 두고 애틋한 만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자비에 안토/남편 : “최대한 자주 오려고 합니다. 몸이 허락하는 한, 계속 하고 싶어요. 만약 상황이 바뀌어 제가 아팠다면 아내도 똑같이 하거나 더 잘했을 겁니다.”]
두 사람 모두 코로나19 백신 접종도 마쳤지만, 여전히 엄격한 통제 탓에 손 한 번 다시 잡지 못했는데요,
부부가 이토록 오랜 기간 서로 떨어져 있는 건, 결혼 6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 영상통화로도 그리움을 달래지 못해 직접 찾아오고 있다고 하네요,
스페인에서는 지난해 코로나 대유행 초기에 요양 시설 노인들의 상당수가 사망하는 등 피해가 컸습니다.
그 이후 지금까지도 요양시설의 면회와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는데요,
창문을 사이에 둔 90대 노부부의 애틋한 사연을 소개합니다.
<지구촌 톡>에서 함께 보시죠.
[리포트]
올해 아흔살인 자비에 안토 씨가 창가에 의자를 두고 앉아 안쪽을 유심히 들여다보는데요,
보고 또 봐도 그리운 아내의 얼굴을 보기 위해섭니다.
두 살 연상인 아내 카르멘 판자노 씨는 알츠하이머로 이곳 요양원에 머물고 있는데요,
안토 씨가 일주일에 서너 번씩 찾아와 창문을 사이에 두고 애틋한 만남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자비에 안토/남편 : “최대한 자주 오려고 합니다. 몸이 허락하는 한, 계속 하고 싶어요. 만약 상황이 바뀌어 제가 아팠다면 아내도 똑같이 하거나 더 잘했을 겁니다.”]
두 사람 모두 코로나19 백신 접종도 마쳤지만, 여전히 엄격한 통제 탓에 손 한 번 다시 잡지 못했는데요,
부부가 이토록 오랜 기간 서로 떨어져 있는 건, 결혼 6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 영상통화로도 그리움을 달래지 못해 직접 찾아오고 있다고 하네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