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통대전 1년…캐시백 넘어 플랫폼으로!
입력 2021.05.14 (21:42)
수정 2021.05.14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이 출시 1년을 맞았습니다.
대전시민 3명 중 1명이 가입하는 등 인기를 얻으며 지역 경제 선순환 효과도 있었지만, 캐시백 혜택에 기댄 일회성 소비라는 한계 때문에 지속 가능한 대책을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출시 1년을 맞은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
대전시민 56만 명이 가입해 3명 중 1명 꼴로 이용하면서 누적 사용액은 1조 4천억 원을 넘었습니다.
대전시는 '온통대전'으로 순 소비가 3천5백억 원 늘었고, 다른 지역에서 대전으로 전환된 소비도 2천억 원 넘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대형마트에서 골목상권으로 전환된 소비는 4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허태정/대전시장 : “코로나19로 어려운 지역경제에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이제 우리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생활필수품이 됐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10% 캐시백 혜택에 기댄 일회성 소비라는 한계는 풀어야 할 숙제로 지적됩니다.
'온통대전'과 연계한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 플랫폼 출시로 외연 확장을 노렸지만, 민간업체와의 경쟁에서 밀려 아직 사용률은 저조한 상태입니다.
[유철/대전시 일자리경제국 과장 : “시민 생활에 밀접한 그런 정책 기능들을 강화해서 '온통대전'을 통해서 시민 생활이 발전할 수 있도록...”]
출시 초기부터 지적됐던 신·구도심 간 소비 불균형 문제나 특정 업종 쏠림현상은 여전했고, 올해 초엔 이른바 '현금 깡'으로 불리는 불법 환전 사례까지 드러나면서 뒤늦게 단속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또 지역화폐의 캐시백 혜택이 국비 지원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반복되는 상황.
때문에 '온통대전'이 앞으로도 지금처럼 캐시백 혜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이 출시 1년을 맞았습니다.
대전시민 3명 중 1명이 가입하는 등 인기를 얻으며 지역 경제 선순환 효과도 있었지만, 캐시백 혜택에 기댄 일회성 소비라는 한계 때문에 지속 가능한 대책을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출시 1년을 맞은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
대전시민 56만 명이 가입해 3명 중 1명 꼴로 이용하면서 누적 사용액은 1조 4천억 원을 넘었습니다.
대전시는 '온통대전'으로 순 소비가 3천5백억 원 늘었고, 다른 지역에서 대전으로 전환된 소비도 2천억 원 넘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대형마트에서 골목상권으로 전환된 소비는 4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허태정/대전시장 : “코로나19로 어려운 지역경제에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이제 우리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생활필수품이 됐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10% 캐시백 혜택에 기댄 일회성 소비라는 한계는 풀어야 할 숙제로 지적됩니다.
'온통대전'과 연계한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 플랫폼 출시로 외연 확장을 노렸지만, 민간업체와의 경쟁에서 밀려 아직 사용률은 저조한 상태입니다.
[유철/대전시 일자리경제국 과장 : “시민 생활에 밀접한 그런 정책 기능들을 강화해서 '온통대전'을 통해서 시민 생활이 발전할 수 있도록...”]
출시 초기부터 지적됐던 신·구도심 간 소비 불균형 문제나 특정 업종 쏠림현상은 여전했고, 올해 초엔 이른바 '현금 깡'으로 불리는 불법 환전 사례까지 드러나면서 뒤늦게 단속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또 지역화폐의 캐시백 혜택이 국비 지원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반복되는 상황.
때문에 '온통대전'이 앞으로도 지금처럼 캐시백 혜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온통대전 1년…캐시백 넘어 플랫폼으로!
-
- 입력 2021-05-14 21:42:23
- 수정2021-05-14 21:58:35

[앵커]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이 출시 1년을 맞았습니다.
대전시민 3명 중 1명이 가입하는 등 인기를 얻으며 지역 경제 선순환 효과도 있었지만, 캐시백 혜택에 기댄 일회성 소비라는 한계 때문에 지속 가능한 대책을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출시 1년을 맞은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
대전시민 56만 명이 가입해 3명 중 1명 꼴로 이용하면서 누적 사용액은 1조 4천억 원을 넘었습니다.
대전시는 '온통대전'으로 순 소비가 3천5백억 원 늘었고, 다른 지역에서 대전으로 전환된 소비도 2천억 원 넘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대형마트에서 골목상권으로 전환된 소비는 4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허태정/대전시장 : “코로나19로 어려운 지역경제에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이제 우리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생활필수품이 됐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10% 캐시백 혜택에 기댄 일회성 소비라는 한계는 풀어야 할 숙제로 지적됩니다.
'온통대전'과 연계한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 플랫폼 출시로 외연 확장을 노렸지만, 민간업체와의 경쟁에서 밀려 아직 사용률은 저조한 상태입니다.
[유철/대전시 일자리경제국 과장 : “시민 생활에 밀접한 그런 정책 기능들을 강화해서 '온통대전'을 통해서 시민 생활이 발전할 수 있도록...”]
출시 초기부터 지적됐던 신·구도심 간 소비 불균형 문제나 특정 업종 쏠림현상은 여전했고, 올해 초엔 이른바 '현금 깡'으로 불리는 불법 환전 사례까지 드러나면서 뒤늦게 단속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또 지역화폐의 캐시백 혜택이 국비 지원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반복되는 상황.
때문에 '온통대전'이 앞으로도 지금처럼 캐시백 혜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이 출시 1년을 맞았습니다.
대전시민 3명 중 1명이 가입하는 등 인기를 얻으며 지역 경제 선순환 효과도 있었지만, 캐시백 혜택에 기댄 일회성 소비라는 한계 때문에 지속 가능한 대책을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출시 1년을 맞은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
대전시민 56만 명이 가입해 3명 중 1명 꼴로 이용하면서 누적 사용액은 1조 4천억 원을 넘었습니다.
대전시는 '온통대전'으로 순 소비가 3천5백억 원 늘었고, 다른 지역에서 대전으로 전환된 소비도 2천억 원 넘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대형마트에서 골목상권으로 전환된 소비는 4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허태정/대전시장 : “코로나19로 어려운 지역경제에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이제 우리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생활필수품이 됐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10% 캐시백 혜택에 기댄 일회성 소비라는 한계는 풀어야 할 숙제로 지적됩니다.
'온통대전'과 연계한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 플랫폼 출시로 외연 확장을 노렸지만, 민간업체와의 경쟁에서 밀려 아직 사용률은 저조한 상태입니다.
[유철/대전시 일자리경제국 과장 : “시민 생활에 밀접한 그런 정책 기능들을 강화해서 '온통대전'을 통해서 시민 생활이 발전할 수 있도록...”]
출시 초기부터 지적됐던 신·구도심 간 소비 불균형 문제나 특정 업종 쏠림현상은 여전했고, 올해 초엔 이른바 '현금 깡'으로 불리는 불법 환전 사례까지 드러나면서 뒤늦게 단속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또 지역화폐의 캐시백 혜택이 국비 지원에 의존하고 있어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반복되는 상황.
때문에 '온통대전'이 앞으로도 지금처럼 캐시백 혜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촬영기자:서창석
-
-
이정은 기자 mulan8@kbs.co.kr
이정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