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법으로 달라질까?…“66%는 처벌 어려워”

입력 2021.07.27 (21:39) 수정 2021.07.27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대 재해 처벌법의 취지는 ​노동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해 사업주의 책임을 강하게 묻겠다는 겁니다.

그래서, 앞선 사망 사례에 이 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 따져봤습니다.

한승연 기잡니다.

[리포트]

김포에 있는 한 공사 현장에서 지난 5월, 외벽 작업을 하던 하청업체 노동자가 추락해 숨졌습니다.

경찰이 안전 관리 소홀 여부를 수사 중입니다.

내년 시행될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을 가정해보면, 이곳 사업주는 처벌받지 않습 니다.

이 사업장의 공사 금액은 33억 원인데, 공사 금액이 50억 원 넘는 곳이어야 법 적용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앞서 살펴본 상반기 사망 사고가 난 341개 사업장 가운데 법 적용 대상은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해 봤습니다.

사망 사고가 난 곳 중 182개가 건설업종이었는데요.

여기서 공사 규모가 법 적용 기준인 50억 원을 넘는 곳은 63곳, 딱 1/3이었습니다.

제조업이나 다른 업종을 살펴볼까요.

이때 법 적용 기준은 근로자 수 50명 이상인데요.

올 상반기 사망 사고가 났던 159개 사업장 가운데, 50인 이상 규모인 곳은 1/3로 나타났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경영계는 처벌이 과하다 하고, 노동계는 여전히 부족한 법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사망 사고 사례 전체로 적용을 가정해 봤을 때, 처벌이 유예되는 곳이 40%, 5인 미만 사업장이라 법 적용 대상이 안 되는 곳이 1/4입니다.

사업장 셋 중 둘은 처벌을 피한다는 결론입니다.

KBS 뉴스 한승연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대재해법으로 달라질까?…“66%는 처벌 어려워”
    • 입력 2021-07-27 21:39:25
    • 수정2021-07-27 22:01:38
    뉴스 9
[앵커]

중대 재해 처벌법의 취지는 ​노동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해 사업주의 책임을 강하게 묻겠다는 겁니다.

그래서, 앞선 사망 사례에 이 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 따져봤습니다.

한승연 기잡니다.

[리포트]

김포에 있는 한 공사 현장에서 지난 5월, 외벽 작업을 하던 하청업체 노동자가 추락해 숨졌습니다.

경찰이 안전 관리 소홀 여부를 수사 중입니다.

내년 시행될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을 가정해보면, 이곳 사업주는 처벌받지 않습 니다.

이 사업장의 공사 금액은 33억 원인데, 공사 금액이 50억 원 넘는 곳이어야 법 적용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앞서 살펴본 상반기 사망 사고가 난 341개 사업장 가운데 법 적용 대상은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해 봤습니다.

사망 사고가 난 곳 중 182개가 건설업종이었는데요.

여기서 공사 규모가 법 적용 기준인 50억 원을 넘는 곳은 63곳, 딱 1/3이었습니다.

제조업이나 다른 업종을 살펴볼까요.

이때 법 적용 기준은 근로자 수 50명 이상인데요.

올 상반기 사망 사고가 났던 159개 사업장 가운데, 50인 이상 규모인 곳은 1/3로 나타났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경영계는 처벌이 과하다 하고, 노동계는 여전히 부족한 법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사망 사고 사례 전체로 적용을 가정해 봤을 때, 처벌이 유예되는 곳이 40%, 5인 미만 사업장이라 법 적용 대상이 안 되는 곳이 1/4입니다.

사업장 셋 중 둘은 처벌을 피한다는 결론입니다.

KBS 뉴스 한승연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