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북한은] 北 영웅 띄우는 ‘사이 프로 편집물’…방영 의도는? 외
입력 2021.10.09 (08:00)
수정 2021.10.09 (08: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조선중앙TV에는‘사이 프로 편집물’이라는 프로그램이 새롭게 등장했습니다.
프로그램 사이에 들어가는 짧은 분량의 편집물로 북한의 영웅들을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는데요.
인물을 소개하는 일종의 미니 다큐 형식입니다.
그런데 북한 TV는 왜 이런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걸까요?
지금 함께 확인해보시겠습니다.
[리포트]
최근 조선중앙TV가 방영한 ‘사이 프로 편집물’입니다.
프로그램 사이에 편성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20여 년의 방직 경력을 가진 리명순 씨 업적을 선전합니다.
고난의 행군 시기, 리명순 씨는 공장을 떠난 동료들을 대신해 헌신한 애국자라고 하는데요.
["수십 년간 누가 보건 말건 무수히 찍어 온 그의 애국의 순회 길을 우리 당은 시대의 전열에 내세우고 빛내어 주었다."]
북한 군인의 영웅담도 ‘사이 프로 편집물’에 담겼습니다.
2002년, 최전방 초소에서 몸 바쳐 수류탄을 막은 리철민 씨.
전우들을 구하고 스물한 살 나이에 안타깝게 희생됐습니다.
프로그램에선 생전의 녹취록까지 공개하며 공화국 영웅이라고 소개합니다.
[리철민 생전 녹취록 : "아버지, 어머니의 깊은 사랑에 어긋나지 않게 조국의 장한 아들이 되겠습니다."]
또 다른 편집물에서는 평양외국어대학 류송이 학생이 등장합니다.
2019년 세계 기억력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7개를 차지한 학생인데요.
[류송이/2019년 세계기억력선수권대회 1위 : "제가 처음에 속독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속독을 배우면 저의 외국어 학습에 얼마간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 하는 타산(계산)에서부터였습니다."]
최근 방영되고 있는 사이 프로 편집물들은 5분 안팎 분량입니다.
대부분 같은 형식으로 북한의 각지 영웅들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강동완/동아대 부산하나센터 교수 : "국가를 위해서 헌신하거나 희생한 개인들의 영웅담 위주로 방영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의 사상을 고취하려고 하는 그런 의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선중앙TV가 ‘사이 프로 편집물’을 방영한 건 북한 체제와 인민의 우월성을 대내외에 강조하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北 생활상 깃든 조각·공예 축전…최고의 작품은?
[앵커]
북한의 정권 수립 73주년 기념행사들이 최근까지 이어졌는데요.
유치원생부터 성인들까지 전 세대가 참여하는 조각·공예 축전도 열렸다고 합니다.
북한 주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작품 5백여 점이 전시됐다고 하는데요.
폐기물을 재활용한 조각품은 어떤 모습일까요?
함께 보시겠습니다.
[리포트]
북한을 상징하는 목란과 소나무, 풍산개가 관람객들을 맞이합니다.
북한 조각·공예 축전이 열린 평양 옥류전시관인데요.
[조선중앙TV : "이 땅에 위대한 천리마 시대를 안아온 천리마 시대 인간들의 투쟁 모습을 돌이켜보게 하는 조각 작품들도 있습니다."]
세 여성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 조각품은 <천리마 기수들>입니다.
열정적이고 낙천적인 자세로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투쟁 정신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해마다 북한 농촌에 큰 피해를 가져온 자연재해도 작품에 담았습니다.
[김국성/만수대창작사 조각가 : "지난해 태풍 피해 때 농장원들과 함께 전투에 참여하였습니다. 농장원이 강냉이를 끌어안고 있는 그 모습에서 애국의 마음을 보고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습니다."]
축사에 주렁주렁 달린 호박과 새끼 돼지의 모습을 형상화한 나무공예 <축산열풍>.
일상에서 나온 폐기물도 조각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김충혁/김철주사범대학 박사원생 : "물고기들은 합성수지 조각을 깎아 얇은 탄성이 좋은 금속 줄에 꿰어 고정함으로써 방 안의 공기 흐름에도 물고기들이 움직이도록 해서 작품의 장식적 효과를 더 살리려고 하였습니다."]
이번 축전에는 전문 공예가뿐만 아니라 유치원생까지 참여해 눈길을 끌었는데요.
[최원흥/평양 창광유치원생 : "나는 젖산유(요구르트)가 제일 맛있습니다. 그래서 젖산유를 맛있게 먹는 우리들의 모습을 색 진흙으로 빚었습니다."]
북한 매체는 주민들의 열렬한 애국심을 느낄 수 있는 전시회라고 선전했습니다.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또 한 번 내부 결속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최근 조선중앙TV에는‘사이 프로 편집물’이라는 프로그램이 새롭게 등장했습니다.
프로그램 사이에 들어가는 짧은 분량의 편집물로 북한의 영웅들을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는데요.
인물을 소개하는 일종의 미니 다큐 형식입니다.
그런데 북한 TV는 왜 이런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걸까요?
지금 함께 확인해보시겠습니다.
[리포트]
최근 조선중앙TV가 방영한 ‘사이 프로 편집물’입니다.
프로그램 사이에 편성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20여 년의 방직 경력을 가진 리명순 씨 업적을 선전합니다.
고난의 행군 시기, 리명순 씨는 공장을 떠난 동료들을 대신해 헌신한 애국자라고 하는데요.
["수십 년간 누가 보건 말건 무수히 찍어 온 그의 애국의 순회 길을 우리 당은 시대의 전열에 내세우고 빛내어 주었다."]
북한 군인의 영웅담도 ‘사이 프로 편집물’에 담겼습니다.
2002년, 최전방 초소에서 몸 바쳐 수류탄을 막은 리철민 씨.
전우들을 구하고 스물한 살 나이에 안타깝게 희생됐습니다.
프로그램에선 생전의 녹취록까지 공개하며 공화국 영웅이라고 소개합니다.
[리철민 생전 녹취록 : "아버지, 어머니의 깊은 사랑에 어긋나지 않게 조국의 장한 아들이 되겠습니다."]
또 다른 편집물에서는 평양외국어대학 류송이 학생이 등장합니다.
2019년 세계 기억력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7개를 차지한 학생인데요.
[류송이/2019년 세계기억력선수권대회 1위 : "제가 처음에 속독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속독을 배우면 저의 외국어 학습에 얼마간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 하는 타산(계산)에서부터였습니다."]
최근 방영되고 있는 사이 프로 편집물들은 5분 안팎 분량입니다.
대부분 같은 형식으로 북한의 각지 영웅들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강동완/동아대 부산하나센터 교수 : "국가를 위해서 헌신하거나 희생한 개인들의 영웅담 위주로 방영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의 사상을 고취하려고 하는 그런 의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선중앙TV가 ‘사이 프로 편집물’을 방영한 건 북한 체제와 인민의 우월성을 대내외에 강조하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北 생활상 깃든 조각·공예 축전…최고의 작품은?
[앵커]
북한의 정권 수립 73주년 기념행사들이 최근까지 이어졌는데요.
유치원생부터 성인들까지 전 세대가 참여하는 조각·공예 축전도 열렸다고 합니다.
북한 주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작품 5백여 점이 전시됐다고 하는데요.
폐기물을 재활용한 조각품은 어떤 모습일까요?
함께 보시겠습니다.
[리포트]
북한을 상징하는 목란과 소나무, 풍산개가 관람객들을 맞이합니다.
북한 조각·공예 축전이 열린 평양 옥류전시관인데요.
[조선중앙TV : "이 땅에 위대한 천리마 시대를 안아온 천리마 시대 인간들의 투쟁 모습을 돌이켜보게 하는 조각 작품들도 있습니다."]
세 여성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 조각품은 <천리마 기수들>입니다.
열정적이고 낙천적인 자세로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투쟁 정신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해마다 북한 농촌에 큰 피해를 가져온 자연재해도 작품에 담았습니다.
[김국성/만수대창작사 조각가 : "지난해 태풍 피해 때 농장원들과 함께 전투에 참여하였습니다. 농장원이 강냉이를 끌어안고 있는 그 모습에서 애국의 마음을 보고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습니다."]
축사에 주렁주렁 달린 호박과 새끼 돼지의 모습을 형상화한 나무공예 <축산열풍>.
일상에서 나온 폐기물도 조각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김충혁/김철주사범대학 박사원생 : "물고기들은 합성수지 조각을 깎아 얇은 탄성이 좋은 금속 줄에 꿰어 고정함으로써 방 안의 공기 흐름에도 물고기들이 움직이도록 해서 작품의 장식적 효과를 더 살리려고 하였습니다."]
이번 축전에는 전문 공예가뿐만 아니라 유치원생까지 참여해 눈길을 끌었는데요.
[최원흥/평양 창광유치원생 : "나는 젖산유(요구르트)가 제일 맛있습니다. 그래서 젖산유를 맛있게 먹는 우리들의 모습을 색 진흙으로 빚었습니다."]
북한 매체는 주민들의 열렬한 애국심을 느낄 수 있는 전시회라고 선전했습니다.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또 한 번 내부 결속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요즘 북한은] 北 영웅 띄우는 ‘사이 프로 편집물’…방영 의도는? 외
-
- 입력 2021-10-09 08:00:55
- 수정2021-10-09 08:30:49

[앵커]
최근 조선중앙TV에는‘사이 프로 편집물’이라는 프로그램이 새롭게 등장했습니다.
프로그램 사이에 들어가는 짧은 분량의 편집물로 북한의 영웅들을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는데요.
인물을 소개하는 일종의 미니 다큐 형식입니다.
그런데 북한 TV는 왜 이런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걸까요?
지금 함께 확인해보시겠습니다.
[리포트]
최근 조선중앙TV가 방영한 ‘사이 프로 편집물’입니다.
프로그램 사이에 편성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20여 년의 방직 경력을 가진 리명순 씨 업적을 선전합니다.
고난의 행군 시기, 리명순 씨는 공장을 떠난 동료들을 대신해 헌신한 애국자라고 하는데요.
["수십 년간 누가 보건 말건 무수히 찍어 온 그의 애국의 순회 길을 우리 당은 시대의 전열에 내세우고 빛내어 주었다."]
북한 군인의 영웅담도 ‘사이 프로 편집물’에 담겼습니다.
2002년, 최전방 초소에서 몸 바쳐 수류탄을 막은 리철민 씨.
전우들을 구하고 스물한 살 나이에 안타깝게 희생됐습니다.
프로그램에선 생전의 녹취록까지 공개하며 공화국 영웅이라고 소개합니다.
[리철민 생전 녹취록 : "아버지, 어머니의 깊은 사랑에 어긋나지 않게 조국의 장한 아들이 되겠습니다."]
또 다른 편집물에서는 평양외국어대학 류송이 학생이 등장합니다.
2019년 세계 기억력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7개를 차지한 학생인데요.
[류송이/2019년 세계기억력선수권대회 1위 : "제가 처음에 속독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속독을 배우면 저의 외국어 학습에 얼마간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 하는 타산(계산)에서부터였습니다."]
최근 방영되고 있는 사이 프로 편집물들은 5분 안팎 분량입니다.
대부분 같은 형식으로 북한의 각지 영웅들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강동완/동아대 부산하나센터 교수 : "국가를 위해서 헌신하거나 희생한 개인들의 영웅담 위주로 방영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의 사상을 고취하려고 하는 그런 의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선중앙TV가 ‘사이 프로 편집물’을 방영한 건 북한 체제와 인민의 우월성을 대내외에 강조하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北 생활상 깃든 조각·공예 축전…최고의 작품은?
[앵커]
북한의 정권 수립 73주년 기념행사들이 최근까지 이어졌는데요.
유치원생부터 성인들까지 전 세대가 참여하는 조각·공예 축전도 열렸다고 합니다.
북한 주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작품 5백여 점이 전시됐다고 하는데요.
폐기물을 재활용한 조각품은 어떤 모습일까요?
함께 보시겠습니다.
[리포트]
북한을 상징하는 목란과 소나무, 풍산개가 관람객들을 맞이합니다.
북한 조각·공예 축전이 열린 평양 옥류전시관인데요.
[조선중앙TV : "이 땅에 위대한 천리마 시대를 안아온 천리마 시대 인간들의 투쟁 모습을 돌이켜보게 하는 조각 작품들도 있습니다."]
세 여성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 조각품은 <천리마 기수들>입니다.
열정적이고 낙천적인 자세로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투쟁 정신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해마다 북한 농촌에 큰 피해를 가져온 자연재해도 작품에 담았습니다.
[김국성/만수대창작사 조각가 : "지난해 태풍 피해 때 농장원들과 함께 전투에 참여하였습니다. 농장원이 강냉이를 끌어안고 있는 그 모습에서 애국의 마음을 보고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습니다."]
축사에 주렁주렁 달린 호박과 새끼 돼지의 모습을 형상화한 나무공예 <축산열풍>.
일상에서 나온 폐기물도 조각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김충혁/김철주사범대학 박사원생 : "물고기들은 합성수지 조각을 깎아 얇은 탄성이 좋은 금속 줄에 꿰어 고정함으로써 방 안의 공기 흐름에도 물고기들이 움직이도록 해서 작품의 장식적 효과를 더 살리려고 하였습니다."]
이번 축전에는 전문 공예가뿐만 아니라 유치원생까지 참여해 눈길을 끌었는데요.
[최원흥/평양 창광유치원생 : "나는 젖산유(요구르트)가 제일 맛있습니다. 그래서 젖산유를 맛있게 먹는 우리들의 모습을 색 진흙으로 빚었습니다."]
북한 매체는 주민들의 열렬한 애국심을 느낄 수 있는 전시회라고 선전했습니다.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또 한 번 내부 결속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최근 조선중앙TV에는‘사이 프로 편집물’이라는 프로그램이 새롭게 등장했습니다.
프로그램 사이에 들어가는 짧은 분량의 편집물로 북한의 영웅들을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는데요.
인물을 소개하는 일종의 미니 다큐 형식입니다.
그런데 북한 TV는 왜 이런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걸까요?
지금 함께 확인해보시겠습니다.
[리포트]
최근 조선중앙TV가 방영한 ‘사이 프로 편집물’입니다.
프로그램 사이에 편성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요.
20여 년의 방직 경력을 가진 리명순 씨 업적을 선전합니다.
고난의 행군 시기, 리명순 씨는 공장을 떠난 동료들을 대신해 헌신한 애국자라고 하는데요.
["수십 년간 누가 보건 말건 무수히 찍어 온 그의 애국의 순회 길을 우리 당은 시대의 전열에 내세우고 빛내어 주었다."]
북한 군인의 영웅담도 ‘사이 프로 편집물’에 담겼습니다.
2002년, 최전방 초소에서 몸 바쳐 수류탄을 막은 리철민 씨.
전우들을 구하고 스물한 살 나이에 안타깝게 희생됐습니다.
프로그램에선 생전의 녹취록까지 공개하며 공화국 영웅이라고 소개합니다.
[리철민 생전 녹취록 : "아버지, 어머니의 깊은 사랑에 어긋나지 않게 조국의 장한 아들이 되겠습니다."]
또 다른 편집물에서는 평양외국어대학 류송이 학생이 등장합니다.
2019년 세계 기억력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7개를 차지한 학생인데요.
[류송이/2019년 세계기억력선수권대회 1위 : "제가 처음에 속독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속독을 배우면 저의 외국어 학습에 얼마간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 하는 타산(계산)에서부터였습니다."]
최근 방영되고 있는 사이 프로 편집물들은 5분 안팎 분량입니다.
대부분 같은 형식으로 북한의 각지 영웅들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강동완/동아대 부산하나센터 교수 : "국가를 위해서 헌신하거나 희생한 개인들의 영웅담 위주로 방영함으로써 북한 주민들의 사상을 고취하려고 하는 그런 의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선중앙TV가 ‘사이 프로 편집물’을 방영한 건 북한 체제와 인민의 우월성을 대내외에 강조하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
北 생활상 깃든 조각·공예 축전…최고의 작품은?
[앵커]
북한의 정권 수립 73주년 기념행사들이 최근까지 이어졌는데요.
유치원생부터 성인들까지 전 세대가 참여하는 조각·공예 축전도 열렸다고 합니다.
북한 주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작품 5백여 점이 전시됐다고 하는데요.
폐기물을 재활용한 조각품은 어떤 모습일까요?
함께 보시겠습니다.
[리포트]
북한을 상징하는 목란과 소나무, 풍산개가 관람객들을 맞이합니다.
북한 조각·공예 축전이 열린 평양 옥류전시관인데요.
[조선중앙TV : "이 땅에 위대한 천리마 시대를 안아온 천리마 시대 인간들의 투쟁 모습을 돌이켜보게 하는 조각 작품들도 있습니다."]
세 여성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 조각품은 <천리마 기수들>입니다.
열정적이고 낙천적인 자세로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투쟁 정신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해마다 북한 농촌에 큰 피해를 가져온 자연재해도 작품에 담았습니다.
[김국성/만수대창작사 조각가 : "지난해 태풍 피해 때 농장원들과 함께 전투에 참여하였습니다. 농장원이 강냉이를 끌어안고 있는 그 모습에서 애국의 마음을 보고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습니다."]
축사에 주렁주렁 달린 호박과 새끼 돼지의 모습을 형상화한 나무공예 <축산열풍>.
일상에서 나온 폐기물도 조각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김충혁/김철주사범대학 박사원생 : "물고기들은 합성수지 조각을 깎아 얇은 탄성이 좋은 금속 줄에 꿰어 고정함으로써 방 안의 공기 흐름에도 물고기들이 움직이도록 해서 작품의 장식적 효과를 더 살리려고 하였습니다."]
이번 축전에는 전문 공예가뿐만 아니라 유치원생까지 참여해 눈길을 끌었는데요.
[최원흥/평양 창광유치원생 : "나는 젖산유(요구르트)가 제일 맛있습니다. 그래서 젖산유를 맛있게 먹는 우리들의 모습을 색 진흙으로 빚었습니다."]
북한 매체는 주민들의 열렬한 애국심을 느낄 수 있는 전시회라고 선전했습니다.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또 한 번 내부 결속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