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EP 영향은?…“우리 수출에 중대한 디딤돌”

입력 2022.02.02 (07:27) 수정 2022.02.02 (07: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인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 알셉(RCEP)이 어제 국내에서 발효됐습니다.

한국과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아세안 10개국 까지 모두 15개 나라가 하나의 무역공동체로 묶여 우리 수출길이 한층 넓어졌습니다.

정새배 기자가 그 의미를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건축용 철강구조물을 만드는 업체입니다.

한해 6천 톤의 구조물을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베트남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각 나라별로 수출용 서류를 따로 만들어야 했지만 앞으로 이런 불편을 덜게 됐습니다.

RCEP 회원국 사이에서는 동일한 원산지 규정을 적용받기 때문입니다.

[이승환/수출 업체 대표 : "하나의 서류만 제출하면 되고, (정부 기관이 아닌) 저희가 제출한 서류로도 인증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굉장히 좀 행정적으로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동남아에 진출한 이 피자업체는 모방 업체가 나올지 모른단 우려를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됩니다.

RCEP에 지식재산권 기준이 마련돼 있어섭니다.

[이영존/프랜차이즈 업체 대표 : "프랜차이즈니까 지식재산권이 제일 중요합니다. (기준이) 간소화되고 일괄화 된다면 저희가 더 집중해서 사업을 전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회원국끼리 나누게 된 관세혜택도 상당합니다.

우리가 경쟁력이 높은 자동차, 철강은 물론 섬유, 기계부품 등에서 관세혜택이 추가돼 중소기업의 수출 길이 한층 넓어질 걸로 보입니다.

특히 그간 자유무역협정 FTA를 맺지 않았던 일본과 상호시장을 개방한다는 점은 의미가 큽니다.

일본과 거래해온 품목 가운데 83%에서 관세 혜택을 누리게 됩니다.

[조성대/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실장 : "최초의 무역협정을 맺었다는 것 자체가 어떻게 보면 상징성을 가질 수 있을 것 같고요. 이후에 이제 한중일 FTA가 됐든 새로운 무역협정을 할 때 출발점을 하나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하지만 RCEP 회원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양이 수출의 두배에 달하는 농업 분야는 타격이 우려됩니다.

또 노동과 환경 관련 조항. 투자자와 국가간 분쟁 해결 절차가 반영되지 못한 점도 한계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 조은경/영상편집:박주연/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RCEP 영향은?…“우리 수출에 중대한 디딤돌”
    • 입력 2022-02-02 07:27:25
    • 수정2022-02-02 07:33:19
    뉴스광장
[앵커]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인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 알셉(RCEP)이 어제 국내에서 발효됐습니다.

한국과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그리고 아세안 10개국 까지 모두 15개 나라가 하나의 무역공동체로 묶여 우리 수출길이 한층 넓어졌습니다.

정새배 기자가 그 의미를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건축용 철강구조물을 만드는 업체입니다.

한해 6천 톤의 구조물을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베트남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각 나라별로 수출용 서류를 따로 만들어야 했지만 앞으로 이런 불편을 덜게 됐습니다.

RCEP 회원국 사이에서는 동일한 원산지 규정을 적용받기 때문입니다.

[이승환/수출 업체 대표 : "하나의 서류만 제출하면 되고, (정부 기관이 아닌) 저희가 제출한 서류로도 인증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굉장히 좀 행정적으로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동남아에 진출한 이 피자업체는 모방 업체가 나올지 모른단 우려를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됩니다.

RCEP에 지식재산권 기준이 마련돼 있어섭니다.

[이영존/프랜차이즈 업체 대표 : "프랜차이즈니까 지식재산권이 제일 중요합니다. (기준이) 간소화되고 일괄화 된다면 저희가 더 집중해서 사업을 전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회원국끼리 나누게 된 관세혜택도 상당합니다.

우리가 경쟁력이 높은 자동차, 철강은 물론 섬유, 기계부품 등에서 관세혜택이 추가돼 중소기업의 수출 길이 한층 넓어질 걸로 보입니다.

특히 그간 자유무역협정 FTA를 맺지 않았던 일본과 상호시장을 개방한다는 점은 의미가 큽니다.

일본과 거래해온 품목 가운데 83%에서 관세 혜택을 누리게 됩니다.

[조성대/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실장 : "최초의 무역협정을 맺었다는 것 자체가 어떻게 보면 상징성을 가질 수 있을 것 같고요. 이후에 이제 한중일 FTA가 됐든 새로운 무역협정을 할 때 출발점을 하나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하지만 RCEP 회원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양이 수출의 두배에 달하는 농업 분야는 타격이 우려됩니다.

또 노동과 환경 관련 조항. 투자자와 국가간 분쟁 해결 절차가 반영되지 못한 점도 한계로 꼽히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 조은경/영상편집:박주연/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