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 열선 과열 추정”…산부인과 화재 조사 속도

입력 2022.03.30 (19:07) 수정 2022.03.30 (1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 충북 청주의 한 산부인과에서 큰 불이 나 하마터면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었던 사고가 있었는데요.

1차 현장조사에 나선 소방 당국은 천장 수도 배관의 동파 방지용 열선이 과열돼 불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보도에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산부인과 병원 1층 주차장 천장에서 시뻘건 불길이 일더니 폭발하듯 천장이 내려앉고 불이 치솟습니다.

불길은 순식간에 건물 전체로 확산했습니다.

충북소방본부 화재조사반이 가장 먼저 확인한 곳은 바로 건물 주차장 천장입니다.

천장을 지나는 수도 배관의 동파 방지를 위해 설치한 전기 열선이 과열돼 불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장거래/충청북도 소방본부장 : "열선에 과부하가 걸려서 열이 축적됐다가, 천장에 있는 단열재가 전체적으로 서서히 녹아 가다가, 어느 정도 하중이 있으니까, 탈락되면서 공기에 한 번에 (불이) 확 붙어 버리는…."]

천장 내부에서 시작된 불은 주차된 차량으로 옮겨 붙으며 더욱 커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화재조사반은 거세게 일어난 불길이 건물의 외장재인 알루미늄 패널을 녹인 뒤, 안쪽 단열재를 타고 빠르게 확산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찬석/서원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 "스티로폼 같은 거로 내장재가 돼 있으면, 촘촘하게 공사가 안 돼 있으면 외벽을 타고 (불이) 빠르게 진행이 되거든요."]

또, 발화 지점인 주차장에는 스프링클러 등 소화시설이 없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017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이후, 바닥 면적이 200㎡ 이상인 주차장엔 소화 시설 설치가 의무화됐습니다.

하지만, 이번 불이 시작된 병원 신관은 안전 기준 강화 이전에 증축돼 적용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건물 설계도면을 확보한 소방 당국은 다음 달 4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함께 합동 감식에 나설 예정입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 김장헌 김성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배관 열선 과열 추정”…산부인과 화재 조사 속도
    • 입력 2022-03-30 19:07:33
    • 수정2022-03-30 19:49:16
    뉴스 7
[앵커]

어제 충북 청주의 한 산부인과에서 큰 불이 나 하마터면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었던 사고가 있었는데요.

1차 현장조사에 나선 소방 당국은 천장 수도 배관의 동파 방지용 열선이 과열돼 불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보도에 정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산부인과 병원 1층 주차장 천장에서 시뻘건 불길이 일더니 폭발하듯 천장이 내려앉고 불이 치솟습니다.

불길은 순식간에 건물 전체로 확산했습니다.

충북소방본부 화재조사반이 가장 먼저 확인한 곳은 바로 건물 주차장 천장입니다.

천장을 지나는 수도 배관의 동파 방지를 위해 설치한 전기 열선이 과열돼 불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장거래/충청북도 소방본부장 : "열선에 과부하가 걸려서 열이 축적됐다가, 천장에 있는 단열재가 전체적으로 서서히 녹아 가다가, 어느 정도 하중이 있으니까, 탈락되면서 공기에 한 번에 (불이) 확 붙어 버리는…."]

천장 내부에서 시작된 불은 주차된 차량으로 옮겨 붙으며 더욱 커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화재조사반은 거세게 일어난 불길이 건물의 외장재인 알루미늄 패널을 녹인 뒤, 안쪽 단열재를 타고 빠르게 확산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찬석/서원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 "스티로폼 같은 거로 내장재가 돼 있으면, 촘촘하게 공사가 안 돼 있으면 외벽을 타고 (불이) 빠르게 진행이 되거든요."]

또, 발화 지점인 주차장에는 스프링클러 등 소화시설이 없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017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이후, 바닥 면적이 200㎡ 이상인 주차장엔 소화 시설 설치가 의무화됐습니다.

하지만, 이번 불이 시작된 병원 신관은 안전 기준 강화 이전에 증축돼 적용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건물 설계도면을 확보한 소방 당국은 다음 달 4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함께 합동 감식에 나설 예정입니다.

KBS 뉴스 정진규입니다.

촬영기자:박준규 김장헌 김성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