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엔데믹’ 가능?…선결 조건은?
입력 2022.04.01 (23:47)
수정 2022.04.02 (0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 거리두기 완화를 발표하면서 김부겸 총리는, 대한민국이 엔데믹으로 전환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와 함께 이 가능성,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와 함께한 봄이 벌써 세 번쨉니다.
이번엔 정말 '마지막 거리두기'가 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김부겸 총리가 언급한 첫 번째 엔데믹 전환의 가능성, 사실 외신에서 먼저 언급이 됐었죠.
보시는 것처럼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전망한 내용인데요.
그 근거가 뭡니까?
[앵커]
그러면 팬데믹과 엔데믹을 나누는 기준은 어떤 겁니까?
[앵커]
오미크론 사례에서도 봤지만, 바이러스는 국경을 넘나들잖아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팬데믹으로 지속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만 엔데믹으로 전환되는 게, 가능한 겁니까?
[앵커]
결국 변이 바이러스가 엔데믹 전환의 가장 큰 변수가 되겠군요.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도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새 전망을 내놓기도 했는데요.
어떤 가능성들이 언급되고 있습니까?
[앵커]
그런가하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소아과 질환으로 토착화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죠.
소아청소년은 코로나에 걸려도 중증 위험이 낮다고 알려져 왔었잖아요.
이 연구결과는 어떤 의밉니까?
[앵커]
어쨌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통해, 일상 회복, 또 더 나아가 엔데믹 전환을 준비해야 할 텐데요.
꼭 필요한 선결 조건은 뭐라고 보십니까?
오늘 거리두기 완화를 발표하면서 김부겸 총리는, 대한민국이 엔데믹으로 전환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와 함께 이 가능성,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와 함께한 봄이 벌써 세 번쨉니다.
이번엔 정말 '마지막 거리두기'가 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김부겸 총리가 언급한 첫 번째 엔데믹 전환의 가능성, 사실 외신에서 먼저 언급이 됐었죠.
보시는 것처럼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전망한 내용인데요.
그 근거가 뭡니까?
[앵커]
그러면 팬데믹과 엔데믹을 나누는 기준은 어떤 겁니까?
[앵커]
오미크론 사례에서도 봤지만, 바이러스는 국경을 넘나들잖아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팬데믹으로 지속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만 엔데믹으로 전환되는 게, 가능한 겁니까?
[앵커]
결국 변이 바이러스가 엔데믹 전환의 가장 큰 변수가 되겠군요.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도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새 전망을 내놓기도 했는데요.
어떤 가능성들이 언급되고 있습니까?
[앵커]
그런가하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소아과 질환으로 토착화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죠.
소아청소년은 코로나에 걸려도 중증 위험이 낮다고 알려져 왔었잖아요.
이 연구결과는 어떤 의밉니까?
[앵커]
어쨌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통해, 일상 회복, 또 더 나아가 엔데믹 전환을 준비해야 할 텐데요.
꼭 필요한 선결 조건은 뭐라고 보십니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인터뷰] ‘엔데믹’ 가능?…선결 조건은?
-
- 입력 2022-04-01 23:47:44
- 수정2022-04-02 00:04:25
[앵커]
오늘 거리두기 완화를 발표하면서 김부겸 총리는, 대한민국이 엔데믹으로 전환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와 함께 이 가능성,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와 함께한 봄이 벌써 세 번쨉니다.
이번엔 정말 '마지막 거리두기'가 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김부겸 총리가 언급한 첫 번째 엔데믹 전환의 가능성, 사실 외신에서 먼저 언급이 됐었죠.
보시는 것처럼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전망한 내용인데요.
그 근거가 뭡니까?
[앵커]
그러면 팬데믹과 엔데믹을 나누는 기준은 어떤 겁니까?
[앵커]
오미크론 사례에서도 봤지만, 바이러스는 국경을 넘나들잖아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팬데믹으로 지속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만 엔데믹으로 전환되는 게, 가능한 겁니까?
[앵커]
결국 변이 바이러스가 엔데믹 전환의 가장 큰 변수가 되겠군요.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도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새 전망을 내놓기도 했는데요.
어떤 가능성들이 언급되고 있습니까?
[앵커]
그런가하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소아과 질환으로 토착화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죠.
소아청소년은 코로나에 걸려도 중증 위험이 낮다고 알려져 왔었잖아요.
이 연구결과는 어떤 의밉니까?
[앵커]
어쨌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통해, 일상 회복, 또 더 나아가 엔데믹 전환을 준비해야 할 텐데요.
꼭 필요한 선결 조건은 뭐라고 보십니까?
오늘 거리두기 완화를 발표하면서 김부겸 총리는, 대한민국이 엔데믹으로 전환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와 함께 이 가능성,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와 함께한 봄이 벌써 세 번쨉니다.
이번엔 정말 '마지막 거리두기'가 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앵커]
김부겸 총리가 언급한 첫 번째 엔데믹 전환의 가능성, 사실 외신에서 먼저 언급이 됐었죠.
보시는 것처럼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전망한 내용인데요.
그 근거가 뭡니까?
[앵커]
그러면 팬데믹과 엔데믹을 나누는 기준은 어떤 겁니까?
[앵커]
오미크론 사례에서도 봤지만, 바이러스는 국경을 넘나들잖아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팬데믹으로 지속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만 엔데믹으로 전환되는 게, 가능한 겁니까?
[앵커]
결국 변이 바이러스가 엔데믹 전환의 가장 큰 변수가 되겠군요.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도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새 전망을 내놓기도 했는데요.
어떤 가능성들이 언급되고 있습니까?
[앵커]
그런가하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소아과 질환으로 토착화될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죠.
소아청소년은 코로나에 걸려도 중증 위험이 낮다고 알려져 왔었잖아요.
이 연구결과는 어떤 의밉니까?
[앵커]
어쨌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통해, 일상 회복, 또 더 나아가 엔데믹 전환을 준비해야 할 텐데요.
꼭 필요한 선결 조건은 뭐라고 보십니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