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부실 대응, 민·형사 책임은?

입력 2022.11.02 (21:25) 수정 2022.11.02 (21: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럼 경찰은 법적으로 어떤 책임을 지게 되는 걸가요?

압사당할 것 같다는 신고에도 질서유지를 담당하는 기동대를 이태원 현장에 투입하지 않았고, 지휘 보고 체계도 미흡했습니다.

이 부분, 민·형사 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이승철 기자가 자세히 들여다봤습니다.

[리포트]

신고가 집중된 시각은 밤 9시 전후입니다.

11건 중 5건이 사고 지점과 이어진 해밀톤 호텔 뒤편에서 걸려왔습니다.

이때만 해도 '골든 타임' 1시간 가량이 남아 있었습니다.

[김수아/목격자 : "대피할 수가 없고 오히려 이제 앞뒤로 압박이 오니까 숨을 못 쉬고 이제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모르고…"]

출동한 건수는 4건. 그나마도 사고를 막진 못했습니다.

애당초 10만 명 넘게 몰릴 곳에 130여 명을 투입한 게 적절했는지도 논란입니다.

감찰과 수사를 거쳐 민·형사 책임론까지 제기되는데, 법률가들은 우선 '형사' 책임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찰관 직무집행법 5조.

사람의 생명 또는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경찰이 안전조치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지만, 실제 이 법 위반으로 경찰이 기소된 사례는 찾기 어렵습니다.

대신 직무유기나 업무상과실치사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마저도 '적극적인 방치' 행위가 있었거나 경찰 과실이 사고의 '직접 원인'이 된 경우에만 처벌할 수 있습니다.

[양승국/KBS 자문 변호사 : "의식적인 직무 유기가 아닌 한 단순한 직무 태만이나 착각 등만으로는 형사적인 직무 유기의 책임까지 묻기는 미흡하다고 생각됩니다."]

기본적으로 경찰 수뇌부가 안전 사고를 막기 위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못 했는데, 말단 현장 인력에게 형사 책임을 묻는 건 경계해야 한단 지적도 있습니다.

[김남근/변호사/참여연대 정책위원장 : "보고를 받고도 전문 인력 관리들을 하는 경비 인력들을 파견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지 그 파출소에 있는 직원들에게 책임을 돌리는 식으로 책임 규명이 이루어지면 안 될 것입니다."]

다만 형사와 달리 '민사' 책임이 인정될 가능성은 높다는 게 중론입니다.

압사 위험을 알린 반복된 신고에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국가의 '배상' 책임은 피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 이제우 류재현/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찰 부실 대응, 민·형사 책임은?
    • 입력 2022-11-02 21:25:29
    • 수정2022-11-02 21:32:57
    뉴스 9
[앵커]

그럼 경찰은 법적으로 어떤 책임을 지게 되는 걸가요?

압사당할 것 같다는 신고에도 질서유지를 담당하는 기동대를 이태원 현장에 투입하지 않았고, 지휘 보고 체계도 미흡했습니다.

이 부분, 민·형사 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이승철 기자가 자세히 들여다봤습니다.

[리포트]

신고가 집중된 시각은 밤 9시 전후입니다.

11건 중 5건이 사고 지점과 이어진 해밀톤 호텔 뒤편에서 걸려왔습니다.

이때만 해도 '골든 타임' 1시간 가량이 남아 있었습니다.

[김수아/목격자 : "대피할 수가 없고 오히려 이제 앞뒤로 압박이 오니까 숨을 못 쉬고 이제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모르고…"]

출동한 건수는 4건. 그나마도 사고를 막진 못했습니다.

애당초 10만 명 넘게 몰릴 곳에 130여 명을 투입한 게 적절했는지도 논란입니다.

감찰과 수사를 거쳐 민·형사 책임론까지 제기되는데, 법률가들은 우선 '형사' 책임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찰관 직무집행법 5조.

사람의 생명 또는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경찰이 안전조치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지만, 실제 이 법 위반으로 경찰이 기소된 사례는 찾기 어렵습니다.

대신 직무유기나 업무상과실치사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마저도 '적극적인 방치' 행위가 있었거나 경찰 과실이 사고의 '직접 원인'이 된 경우에만 처벌할 수 있습니다.

[양승국/KBS 자문 변호사 : "의식적인 직무 유기가 아닌 한 단순한 직무 태만이나 착각 등만으로는 형사적인 직무 유기의 책임까지 묻기는 미흡하다고 생각됩니다."]

기본적으로 경찰 수뇌부가 안전 사고를 막기 위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못 했는데, 말단 현장 인력에게 형사 책임을 묻는 건 경계해야 한단 지적도 있습니다.

[김남근/변호사/참여연대 정책위원장 : "보고를 받고도 전문 인력 관리들을 하는 경비 인력들을 파견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지 그 파출소에 있는 직원들에게 책임을 돌리는 식으로 책임 규명이 이루어지면 안 될 것입니다."]

다만 형사와 달리 '민사' 책임이 인정될 가능성은 높다는 게 중론입니다.

압사 위험을 알린 반복된 신고에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국가의 '배상' 책임은 피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 이제우 류재현/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이근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