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옥외광고의 비밀…속사정은?

입력 2022.12.15 (19:30) 수정 2022.12.15 (21: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 내용 취재한 양창희 기자와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양 기자, 광주시 옥외광고비가 홍보비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잖아요.

그동안 예산 집행에 대해 별다른 문제 제기가 없었던 건가요?

[기자]

자치단체의 광고비 집행에 대한 문제 제기는 그간 종종 있어 왔습니다.

특히 어디에 어떤 광고를 낼지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이 많았는데요.

그런데 자치단체 광고비 가운데 비중이 큰 옥외광고를 자세히 들여다본 시도는 거의 없었습니다.

내년도 예산은 많이 삭감됐지만, 1년에 40억 원 가까운 예산을 쓰면서도 외부 감시의 눈길에서 벗어나 있었던 겁니다.

[앵커]

취재진이 옥외광고가 걸린 현장을 돌며 내용도 확인해 봤잖아요,

어떤 점이 문제였는지 다시 짚어준다면요?

[기자]

광주시가 많은 예산을 들여서 광주와 전국 곳곳에 광고를 하는 이유는 도시를 널리 알리고 정책도 홍보하기 위해서잖아요.

그런데 한 번 광고를 걸어 놓고 몇 년 동안 내용을 안 바꿀 정도로 관리를 안 하다 보니까 어떤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 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옥외광고를 통해 시책 홍보도 할 수 있는 거잖아요.

예를 들면 심각한 가뭄이 계속되고 있으니 물을 아끼자, 이런 내용도 옥외광고에 낼 수 있을 텐데, 이렇게 시의적절해 보이는 내용은 찾기 어려웠습니다.

[앵커]

쉽게 말하면 예산을 허술하게 집행한 거잖아요?

[기자]

네, 보도해 드렸듯이 취재진이 확인한 광주시 옥외광고 현황 자료만 봐도 이상한 점이 눈에 띕니다.

일단 몇 년 동안 광고를 거는 위치가 거의 안 바뀌고, 업체도 그대로입니다.

2021년과 2022년 자료를 비교해 보면 내용이 복사해서 붙여 넣은 것처럼 완벽하게 똑같습니다.

반면, 다른 자치단체를 보면 그렇지가 않습니다.

취재진이 부산시 옥외광고 현황 자료 3년치를 받아 봤는데요.

공항 같은 곳에 광고를 넣었다가 빼고, 극장에 광고를 새로 추가하고, 이런 식으로 내역이 계속 바뀝니다.

한 번 업체를 선정해서 계속 같은 위치에 광고를 맡기는 광주시의 관행은 시의원 가족 업체의 편법 계약, 언론사의 독점 등과도 무관하지 않아 보입니다.

[앵커]

오늘 리포트에서는 개선 방안에 대해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는데요.

'지역 미디어 조례'가 언급됐습니다.

어떤 의미인지 자세히 짚어준다면요?

[기자]

앞서 인터뷰에서도 한선 교수가 지역 언론사들이 자치단체의 광고와 협찬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죠.

물론 언론사도 하나의 기업이니 당연히 옥외광고 사업을 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옥외광고 사업이 언론사의 부가 사업 가운데 비교적 합리적인 것일 수 있다는 의견까지 있는데요.

문제는 현재의 방식이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느냐일 겁니다.

그러니 자치단체가 옥외광고비를 언론사 관계사에 몰아 주는 등의 방식으로 우회적인 지원을 할 게 아니라,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언론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자는 겁니다.

실제로 경상남도에서는 지역신문과 지역방송 발전 조례를 각각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기도 합니다.

다만 이 문제가 제대로 조명된 적이 없다 보니, 대안 마련 역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걸로 보입니다.

[앵커]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주시 옥외광고의 비밀…속사정은?
    • 입력 2022-12-15 19:30:24
    • 수정2022-12-15 21:29:32
    뉴스7(광주)
[앵커]

이 내용 취재한 양창희 기자와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양 기자, 광주시 옥외광고비가 홍보비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잖아요.

그동안 예산 집행에 대해 별다른 문제 제기가 없었던 건가요?

[기자]

자치단체의 광고비 집행에 대한 문제 제기는 그간 종종 있어 왔습니다.

특히 어디에 어떤 광고를 낼지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이 많았는데요.

그런데 자치단체 광고비 가운데 비중이 큰 옥외광고를 자세히 들여다본 시도는 거의 없었습니다.

내년도 예산은 많이 삭감됐지만, 1년에 40억 원 가까운 예산을 쓰면서도 외부 감시의 눈길에서 벗어나 있었던 겁니다.

[앵커]

취재진이 옥외광고가 걸린 현장을 돌며 내용도 확인해 봤잖아요,

어떤 점이 문제였는지 다시 짚어준다면요?

[기자]

광주시가 많은 예산을 들여서 광주와 전국 곳곳에 광고를 하는 이유는 도시를 널리 알리고 정책도 홍보하기 위해서잖아요.

그런데 한 번 광고를 걸어 놓고 몇 년 동안 내용을 안 바꿀 정도로 관리를 안 하다 보니까 어떤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 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옥외광고를 통해 시책 홍보도 할 수 있는 거잖아요.

예를 들면 심각한 가뭄이 계속되고 있으니 물을 아끼자, 이런 내용도 옥외광고에 낼 수 있을 텐데, 이렇게 시의적절해 보이는 내용은 찾기 어려웠습니다.

[앵커]

쉽게 말하면 예산을 허술하게 집행한 거잖아요?

[기자]

네, 보도해 드렸듯이 취재진이 확인한 광주시 옥외광고 현황 자료만 봐도 이상한 점이 눈에 띕니다.

일단 몇 년 동안 광고를 거는 위치가 거의 안 바뀌고, 업체도 그대로입니다.

2021년과 2022년 자료를 비교해 보면 내용이 복사해서 붙여 넣은 것처럼 완벽하게 똑같습니다.

반면, 다른 자치단체를 보면 그렇지가 않습니다.

취재진이 부산시 옥외광고 현황 자료 3년치를 받아 봤는데요.

공항 같은 곳에 광고를 넣었다가 빼고, 극장에 광고를 새로 추가하고, 이런 식으로 내역이 계속 바뀝니다.

한 번 업체를 선정해서 계속 같은 위치에 광고를 맡기는 광주시의 관행은 시의원 가족 업체의 편법 계약, 언론사의 독점 등과도 무관하지 않아 보입니다.

[앵커]

오늘 리포트에서는 개선 방안에 대해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는데요.

'지역 미디어 조례'가 언급됐습니다.

어떤 의미인지 자세히 짚어준다면요?

[기자]

앞서 인터뷰에서도 한선 교수가 지역 언론사들이 자치단체의 광고와 협찬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죠.

물론 언론사도 하나의 기업이니 당연히 옥외광고 사업을 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옥외광고 사업이 언론사의 부가 사업 가운데 비교적 합리적인 것일 수 있다는 의견까지 있는데요.

문제는 현재의 방식이 투명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느냐일 겁니다.

그러니 자치단체가 옥외광고비를 언론사 관계사에 몰아 주는 등의 방식으로 우회적인 지원을 할 게 아니라, 공정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언론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자는 겁니다.

실제로 경상남도에서는 지역신문과 지역방송 발전 조례를 각각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기도 합니다.

다만 이 문제가 제대로 조명된 적이 없다 보니, 대안 마련 역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걸로 보입니다.

[앵커]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