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노, 전교조 대응에 정부 강력 대응
입력 2004.04.07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공무원의 정치 활동 보장 문제로 관련 단체와 정부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조성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전국공무원노조와 전국교직원노조, 민주노총 등이 공무원과 교사의 정치 참여 보장을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들은 민주노동당 지지의사를 밝힌 공무원노조와 전교조지도부에 대해 정부가 사법처리에 나선 것은 국민의 기본권인 정치활동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공동 대응방침을 밝혔습니다.
⊙황상익(전국교수운동조합 위원장): 국민이면 당연히 누려야 될 정치적 자유, 정치적 권리가 교사와 공무원들에게 당장 주어져야 할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입니다.
⊙기자: 이들은 오는 10일 서울 광화문 앞에서 정치참여 보장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선거기간중 정치집회를 불허한다는 방침에 따라 집회 자체를 원천봉쇄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경찰은 특히 공무원노조 지도부가 주말 집회에 참석할 경우 강제 연행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공무원의 선거중립 위반에 대해 엄중 문책방침을 거듭 밝혀온 정부는 현재 공무원노조 지도부와 관련 공무원 400여 명에 대해 파면과 해임 등 징계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공무원의 정치 참여를 둘러싼 양측간의 긴장관계는 주말집회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KBS뉴스 조성훈입니다.
조성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전국공무원노조와 전국교직원노조, 민주노총 등이 공무원과 교사의 정치 참여 보장을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들은 민주노동당 지지의사를 밝힌 공무원노조와 전교조지도부에 대해 정부가 사법처리에 나선 것은 국민의 기본권인 정치활동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공동 대응방침을 밝혔습니다.
⊙황상익(전국교수운동조합 위원장): 국민이면 당연히 누려야 될 정치적 자유, 정치적 권리가 교사와 공무원들에게 당장 주어져야 할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입니다.
⊙기자: 이들은 오는 10일 서울 광화문 앞에서 정치참여 보장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선거기간중 정치집회를 불허한다는 방침에 따라 집회 자체를 원천봉쇄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경찰은 특히 공무원노조 지도부가 주말 집회에 참석할 경우 강제 연행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공무원의 선거중립 위반에 대해 엄중 문책방침을 거듭 밝혀온 정부는 현재 공무원노조 지도부와 관련 공무원 400여 명에 대해 파면과 해임 등 징계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공무원의 정치 참여를 둘러싼 양측간의 긴장관계는 주말집회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KBS뉴스 조성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공노, 전교조 대응에 정부 강력 대응
-
- 입력 2004-04-07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data/fckeditor/vod/multi/kbs9/2004/20040407/1500K_new/280.jpg)
⊙앵커: 공무원의 정치 활동 보장 문제로 관련 단체와 정부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조성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전국공무원노조와 전국교직원노조, 민주노총 등이 공무원과 교사의 정치 참여 보장을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들은 민주노동당 지지의사를 밝힌 공무원노조와 전교조지도부에 대해 정부가 사법처리에 나선 것은 국민의 기본권인 정치활동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공동 대응방침을 밝혔습니다.
⊙황상익(전국교수운동조합 위원장): 국민이면 당연히 누려야 될 정치적 자유, 정치적 권리가 교사와 공무원들에게 당장 주어져야 할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입니다.
⊙기자: 이들은 오는 10일 서울 광화문 앞에서 정치참여 보장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경찰은 선거기간중 정치집회를 불허한다는 방침에 따라 집회 자체를 원천봉쇄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경찰은 특히 공무원노조 지도부가 주말 집회에 참석할 경우 강제 연행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공무원의 선거중립 위반에 대해 엄중 문책방침을 거듭 밝혀온 정부는 현재 공무원노조 지도부와 관련 공무원 400여 명에 대해 파면과 해임 등 징계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공무원의 정치 참여를 둘러싼 양측간의 긴장관계는 주말집회가 최대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KBS뉴스 조성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