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추적]시민 편의 무시하는 배짱 공사
입력 2004.10.05 (21:5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서울 지하철을 타보면 곳곳에서 편의시설 공사가 한창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공사기간이 처음 약속과는 달리 계속 연기되면서 승객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현장추적, 최서희 기자입니다.
⊙기자: 하루 15만명이 이용하는 강남의 지하철역입니다.
지하철에서 내린 승객들이 출구로 몰리지만 몸을 움직이는 것도 어렵습니다.
지난해 여름부터 엘리베이터를 설치한다며 한쪽 출구를 막아놓았기 때문입니다.
⊙나주선(회사원): 좀 짜증나죠.
출근시간 늦었는데 3, 4분 정도 늦으면 그것 때문에 불편한 것도 많고요.
⊙기자: 이 때문에 바쁜 승객들이 다른 출구나 횡단보도를 찾아 수백 미터를 돌아가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 3월 끝내기로 했던 공사는 올해 연말로, 또 최근에는 내년으로 자꾸만 연기되고 있습니다.
서울 강동의 이 역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6월부터 공사를 하고 있지만 아직도 언제 끝날지 모릅니다.
⊙노정호(주부): 진행을 안 하고 그냥 그대로 방치돼 있는 것 같아요.
⊙기자: 이처럼 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것은 잘못 그려진 매설물 지도 때문입니다.
통신선과 상하수도관 등 매설물의 위치가 지도와 다르다 보니 공사에 시간을 허비하기 일쑤입니다.
⊙시공사 관계자: 땅을 파잖아요?
도면에 나와 있는 거하고 실질적으로 묻혀 있는 게 똑같지 않으니깐요.
⊙기자: 서울시는 지난 99년부터 3억원을 들여 매설시설 통합지도를 완성했지만 실제 공사에서는 무용지물입니다.
각종 공사를 하며 바뀐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서로 공유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자: 하수도 옮기고...
그런 과정에서 (도면이) 바뀌면 여기로 통보하지 않나요?
⊙서울시 관계자: 그건 통보를 안 하죠.
우리가 사업(공사)을 할 때 가서 확인을 하게 되죠.
⊙기자: 현재 편의시설 공사를 벌이는 지하철역은 모두 100여 곳.
언제 끝날지 모르는 공사 탓에 600만 이용객들만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최서희입니다.
그런데 공사기간이 처음 약속과는 달리 계속 연기되면서 승객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현장추적, 최서희 기자입니다.
⊙기자: 하루 15만명이 이용하는 강남의 지하철역입니다.
지하철에서 내린 승객들이 출구로 몰리지만 몸을 움직이는 것도 어렵습니다.
지난해 여름부터 엘리베이터를 설치한다며 한쪽 출구를 막아놓았기 때문입니다.
⊙나주선(회사원): 좀 짜증나죠.
출근시간 늦었는데 3, 4분 정도 늦으면 그것 때문에 불편한 것도 많고요.
⊙기자: 이 때문에 바쁜 승객들이 다른 출구나 횡단보도를 찾아 수백 미터를 돌아가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 3월 끝내기로 했던 공사는 올해 연말로, 또 최근에는 내년으로 자꾸만 연기되고 있습니다.
서울 강동의 이 역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6월부터 공사를 하고 있지만 아직도 언제 끝날지 모릅니다.
⊙노정호(주부): 진행을 안 하고 그냥 그대로 방치돼 있는 것 같아요.
⊙기자: 이처럼 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것은 잘못 그려진 매설물 지도 때문입니다.
통신선과 상하수도관 등 매설물의 위치가 지도와 다르다 보니 공사에 시간을 허비하기 일쑤입니다.
⊙시공사 관계자: 땅을 파잖아요?
도면에 나와 있는 거하고 실질적으로 묻혀 있는 게 똑같지 않으니깐요.
⊙기자: 서울시는 지난 99년부터 3억원을 들여 매설시설 통합지도를 완성했지만 실제 공사에서는 무용지물입니다.
각종 공사를 하며 바뀐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서로 공유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자: 하수도 옮기고...
그런 과정에서 (도면이) 바뀌면 여기로 통보하지 않나요?
⊙서울시 관계자: 그건 통보를 안 하죠.
우리가 사업(공사)을 할 때 가서 확인을 하게 되죠.
⊙기자: 현재 편의시설 공사를 벌이는 지하철역은 모두 100여 곳.
언제 끝날지 모르는 공사 탓에 600만 이용객들만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최서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 추적]시민 편의 무시하는 배짱 공사
-
- 입력 2004-10-05 21:24:36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요즘 서울 지하철을 타보면 곳곳에서 편의시설 공사가 한창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공사기간이 처음 약속과는 달리 계속 연기되면서 승객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현장추적, 최서희 기자입니다.
⊙기자: 하루 15만명이 이용하는 강남의 지하철역입니다.
지하철에서 내린 승객들이 출구로 몰리지만 몸을 움직이는 것도 어렵습니다.
지난해 여름부터 엘리베이터를 설치한다며 한쪽 출구를 막아놓았기 때문입니다.
⊙나주선(회사원): 좀 짜증나죠.
출근시간 늦었는데 3, 4분 정도 늦으면 그것 때문에 불편한 것도 많고요.
⊙기자: 이 때문에 바쁜 승객들이 다른 출구나 횡단보도를 찾아 수백 미터를 돌아가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 3월 끝내기로 했던 공사는 올해 연말로, 또 최근에는 내년으로 자꾸만 연기되고 있습니다.
서울 강동의 이 역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6월부터 공사를 하고 있지만 아직도 언제 끝날지 모릅니다.
⊙노정호(주부): 진행을 안 하고 그냥 그대로 방치돼 있는 것 같아요.
⊙기자: 이처럼 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것은 잘못 그려진 매설물 지도 때문입니다.
통신선과 상하수도관 등 매설물의 위치가 지도와 다르다 보니 공사에 시간을 허비하기 일쑤입니다.
⊙시공사 관계자: 땅을 파잖아요?
도면에 나와 있는 거하고 실질적으로 묻혀 있는 게 똑같지 않으니깐요.
⊙기자: 서울시는 지난 99년부터 3억원을 들여 매설시설 통합지도를 완성했지만 실제 공사에서는 무용지물입니다.
각종 공사를 하며 바뀐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서로 공유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자: 하수도 옮기고...
그런 과정에서 (도면이) 바뀌면 여기로 통보하지 않나요?
⊙서울시 관계자: 그건 통보를 안 하죠.
우리가 사업(공사)을 할 때 가서 확인을 하게 되죠.
⊙기자: 현재 편의시설 공사를 벌이는 지하철역은 모두 100여 곳.
언제 끝날지 모르는 공사 탓에 600만 이용객들만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최서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