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 씨, 투쟁 중 생애 마지막 작품 투혼
입력 2004.10.07 (21:5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계적인 전위예술가 백남준 씨가 뇌졸중 투병 와중에도 새로운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아리랑을 연주하며 귀향의 꿈도 전했습니다.
뉴욕에서 김만석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
⊙기자: 8년 전 뇌졸중으로 쓰러졌던 백남준 씨가 새로운 퍼포먼스에 도전했습니다.
피아노 건반과 물체다가 물감을 칠하기 시작합니다.
그것도 모자라 조카의 옷과 모자에도 색칠을 합니다.
백 씨의 반주에 맞춰 일본인 조카가 한국의 민요 아리랑을 부릅니다.
노래도 반주도 제멋대로입니다.
⊙백남준(72세): 아리랑이 아리랑이지 뭐...
대표적인 민요 아니에요?
⊙기자: 노래를 끝내고는 악보를 찢어 삼킵니다.
관객들에게도 먹어보라고 나눠줍니다.
작품 발표회는 피아노를 쓰러뜨리는 것으로 끝이 났습니다.
⊙기자: 피아노는 왜 쓰러뜨리셨어요?
⊙백남준(72세): 할 일이 없어서 했죠.
⊙기자: 미국의 스미소니언미술관은 오는 2006년부터 백 씨의 작품을 영구 소장할 예정입니다.
⊙엘리자베스 브룬(미 스미소니언 미술관장): 르네상스에는 미켈란젤로를 20, 21세기에는 백남준을 기억할 것입니다.
⊙기자: 백 씨는 오는 12월 자신의 서울 스튜디오 개관에 맞춰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생애 마지막이 될지도 모를 작품 발표회를 끝내고 백남준 선생은 고향인 한국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했습니다.
뉴욕 소호에서 KBS뉴스 김만석입니다.
아리랑을 연주하며 귀향의 꿈도 전했습니다.
뉴욕에서 김만석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
⊙기자: 8년 전 뇌졸중으로 쓰러졌던 백남준 씨가 새로운 퍼포먼스에 도전했습니다.
피아노 건반과 물체다가 물감을 칠하기 시작합니다.
그것도 모자라 조카의 옷과 모자에도 색칠을 합니다.
백 씨의 반주에 맞춰 일본인 조카가 한국의 민요 아리랑을 부릅니다.
노래도 반주도 제멋대로입니다.
⊙백남준(72세): 아리랑이 아리랑이지 뭐...
대표적인 민요 아니에요?
⊙기자: 노래를 끝내고는 악보를 찢어 삼킵니다.
관객들에게도 먹어보라고 나눠줍니다.
작품 발표회는 피아노를 쓰러뜨리는 것으로 끝이 났습니다.
⊙기자: 피아노는 왜 쓰러뜨리셨어요?
⊙백남준(72세): 할 일이 없어서 했죠.
⊙기자: 미국의 스미소니언미술관은 오는 2006년부터 백 씨의 작품을 영구 소장할 예정입니다.
⊙엘리자베스 브룬(미 스미소니언 미술관장): 르네상스에는 미켈란젤로를 20, 21세기에는 백남준을 기억할 것입니다.
⊙기자: 백 씨는 오는 12월 자신의 서울 스튜디오 개관에 맞춰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생애 마지막이 될지도 모를 작품 발표회를 끝내고 백남준 선생은 고향인 한국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했습니다.
뉴욕 소호에서 KBS뉴스 김만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남준 씨, 투쟁 중 생애 마지막 작품 투혼
-
- 입력 2004-10-07 21:44:57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세계적인 전위예술가 백남준 씨가 뇌졸중 투병 와중에도 새로운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아리랑을 연주하며 귀향의 꿈도 전했습니다.
뉴욕에서 김만석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
⊙기자: 8년 전 뇌졸중으로 쓰러졌던 백남준 씨가 새로운 퍼포먼스에 도전했습니다.
피아노 건반과 물체다가 물감을 칠하기 시작합니다.
그것도 모자라 조카의 옷과 모자에도 색칠을 합니다.
백 씨의 반주에 맞춰 일본인 조카가 한국의 민요 아리랑을 부릅니다.
노래도 반주도 제멋대로입니다.
⊙백남준(72세): 아리랑이 아리랑이지 뭐...
대표적인 민요 아니에요?
⊙기자: 노래를 끝내고는 악보를 찢어 삼킵니다.
관객들에게도 먹어보라고 나눠줍니다.
작품 발표회는 피아노를 쓰러뜨리는 것으로 끝이 났습니다.
⊙기자: 피아노는 왜 쓰러뜨리셨어요?
⊙백남준(72세): 할 일이 없어서 했죠.
⊙기자: 미국의 스미소니언미술관은 오는 2006년부터 백 씨의 작품을 영구 소장할 예정입니다.
⊙엘리자베스 브룬(미 스미소니언 미술관장): 르네상스에는 미켈란젤로를 20, 21세기에는 백남준을 기억할 것입니다.
⊙기자: 백 씨는 오는 12월 자신의 서울 스튜디오 개관에 맞춰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생애 마지막이 될지도 모를 작품 발표회를 끝내고 백남준 선생은 고향인 한국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했습니다.
뉴욕 소호에서 KBS뉴스 김만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