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5세기 가야 유물 ‘마구잡이’ 도굴
입력 2005.05.25 (22:05)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가야시대 고분들이 도굴꾼들의 손에 남아나지 않고 있습니다.
어떻게 관리가 되길래 이렇게 도굴꾼들이 마음놓고 도굴을 해가고 있는 걸까요?
거래 과정에서도 도굴된 것임을 당당히 밝힐 정도입니다.
현장추적 정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5세기 대가야 유물이 다량 출토된 백천리 고분군입니다.
소나무숲을 헤치고 들어서자 나무 밑둥 아래 지름 90cm 정도의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도굴꾼이 파내려간 도굴갱입니다.
발각되지 않기 위해 입구에 나뭇가지를 덮어 위장까지 해뒀습니다.
⊙유창환(경상대 박물관 학예연구사): 흙을 파서 뚜껑을 들어내고 사람이 이 안쪽으로 딱 한 사람이 들어갈 만한 공간이죠 들어가서 유물들을 끄집어낸 것 같습니다.
⊙기자: 2, 300m 떨어진 곳에 또 다른 가야시대 고분에도 도굴꾼이 구멍을 파놓았습니다.
도굴에 앞서 유물이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탐침봉 자국이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유창환(경상대 박물관 학예연구사): 도굴꾼들이 긴 침 같은 것을 들고 다니면서 찔러서 속에 뭐가 있는지 손으로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자: 백천리 고분군의 도굴 흔적은 취재진이 확인한 곳만 10곳에 이릅니다.
이렇게 도굴된 유물들은 경남 진주시내에서 버젓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한 골동품 가게에서 전시판매중인 전형적인 가야토기는 무려 10여 점이나 됩니다.
가게 주인은 도굴로 나온 1000년이 넘은 진품이라며 가격을 흥정합니다.
⊙골동품 거래상: 가야 토기죠, 가야 토기.
싹 다 도굴된 거지, 옛날에.
⊙기자: 이런 건 얼마나 합니까?
⊙골동품 거래상: 80만원.
⊙기자: 도굴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거래까지 벌어지고 있지만 군청이 하는 일은 도굴현장에서 문화재 파편을 수습하는 게 고작입니다.
⊙정대훈(함양군청 문화재계장): 도굴 현장에 구멍이 나 있었고 저러한 물건들은 가져가고 나머지 파편들만 남아 있어서 저희들이 수거를 해 온 것입니다.
⊙기자: 지난 97년 경상남도 문화재로 지정된 백천리 고분군, 허술한 관리로 천년 역사가 깃든 가야고분이 도굴꾼의 손에 만신창이가 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정수영입니다.
어떻게 관리가 되길래 이렇게 도굴꾼들이 마음놓고 도굴을 해가고 있는 걸까요?
거래 과정에서도 도굴된 것임을 당당히 밝힐 정도입니다.
현장추적 정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5세기 대가야 유물이 다량 출토된 백천리 고분군입니다.
소나무숲을 헤치고 들어서자 나무 밑둥 아래 지름 90cm 정도의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도굴꾼이 파내려간 도굴갱입니다.
발각되지 않기 위해 입구에 나뭇가지를 덮어 위장까지 해뒀습니다.
⊙유창환(경상대 박물관 학예연구사): 흙을 파서 뚜껑을 들어내고 사람이 이 안쪽으로 딱 한 사람이 들어갈 만한 공간이죠 들어가서 유물들을 끄집어낸 것 같습니다.
⊙기자: 2, 300m 떨어진 곳에 또 다른 가야시대 고분에도 도굴꾼이 구멍을 파놓았습니다.
도굴에 앞서 유물이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탐침봉 자국이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유창환(경상대 박물관 학예연구사): 도굴꾼들이 긴 침 같은 것을 들고 다니면서 찔러서 속에 뭐가 있는지 손으로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자: 백천리 고분군의 도굴 흔적은 취재진이 확인한 곳만 10곳에 이릅니다.
이렇게 도굴된 유물들은 경남 진주시내에서 버젓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한 골동품 가게에서 전시판매중인 전형적인 가야토기는 무려 10여 점이나 됩니다.
가게 주인은 도굴로 나온 1000년이 넘은 진품이라며 가격을 흥정합니다.
⊙골동품 거래상: 가야 토기죠, 가야 토기.
싹 다 도굴된 거지, 옛날에.
⊙기자: 이런 건 얼마나 합니까?
⊙골동품 거래상: 80만원.
⊙기자: 도굴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거래까지 벌어지고 있지만 군청이 하는 일은 도굴현장에서 문화재 파편을 수습하는 게 고작입니다.
⊙정대훈(함양군청 문화재계장): 도굴 현장에 구멍이 나 있었고 저러한 물건들은 가져가고 나머지 파편들만 남아 있어서 저희들이 수거를 해 온 것입니다.
⊙기자: 지난 97년 경상남도 문화재로 지정된 백천리 고분군, 허술한 관리로 천년 역사가 깃든 가야고분이 도굴꾼의 손에 만신창이가 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정수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5세기 가야 유물 ‘마구잡이’ 도굴
-
- 입력 2005-05-25 21:24:25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가야시대 고분들이 도굴꾼들의 손에 남아나지 않고 있습니다.
어떻게 관리가 되길래 이렇게 도굴꾼들이 마음놓고 도굴을 해가고 있는 걸까요?
거래 과정에서도 도굴된 것임을 당당히 밝힐 정도입니다.
현장추적 정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5세기 대가야 유물이 다량 출토된 백천리 고분군입니다.
소나무숲을 헤치고 들어서자 나무 밑둥 아래 지름 90cm 정도의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도굴꾼이 파내려간 도굴갱입니다.
발각되지 않기 위해 입구에 나뭇가지를 덮어 위장까지 해뒀습니다.
⊙유창환(경상대 박물관 학예연구사): 흙을 파서 뚜껑을 들어내고 사람이 이 안쪽으로 딱 한 사람이 들어갈 만한 공간이죠 들어가서 유물들을 끄집어낸 것 같습니다.
⊙기자: 2, 300m 떨어진 곳에 또 다른 가야시대 고분에도 도굴꾼이 구멍을 파놓았습니다.
도굴에 앞서 유물이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탐침봉 자국이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유창환(경상대 박물관 학예연구사): 도굴꾼들이 긴 침 같은 것을 들고 다니면서 찔러서 속에 뭐가 있는지 손으로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자: 백천리 고분군의 도굴 흔적은 취재진이 확인한 곳만 10곳에 이릅니다.
이렇게 도굴된 유물들은 경남 진주시내에서 버젓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한 골동품 가게에서 전시판매중인 전형적인 가야토기는 무려 10여 점이나 됩니다.
가게 주인은 도굴로 나온 1000년이 넘은 진품이라며 가격을 흥정합니다.
⊙골동품 거래상: 가야 토기죠, 가야 토기.
싹 다 도굴된 거지, 옛날에.
⊙기자: 이런 건 얼마나 합니까?
⊙골동품 거래상: 80만원.
⊙기자: 도굴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거래까지 벌어지고 있지만 군청이 하는 일은 도굴현장에서 문화재 파편을 수습하는 게 고작입니다.
⊙정대훈(함양군청 문화재계장): 도굴 현장에 구멍이 나 있었고 저러한 물건들은 가져가고 나머지 파편들만 남아 있어서 저희들이 수거를 해 온 것입니다.
⊙기자: 지난 97년 경상남도 문화재로 지정된 백천리 고분군, 허술한 관리로 천년 역사가 깃든 가야고분이 도굴꾼의 손에 만신창이가 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정수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