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폰-디카, 시장 점유 경쟁 치열

입력 2005.05.26 (07:51) 수정 2005.05.26 (08: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디지털카메라와 이 디지털카메라를 부착한 휴대전화, 두 가지 중 어느 것을 더 선호하시나요?
현재 시장에서는 디지털카메라의 선호도가 더 높다고 합니다.
그 이유를 조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개발된 700만 화소폰입니다.
3배 광학줌과 자동초점기능 등을 갖추고 있어서 같은 급의 디지털카메라와 기능과 화질이 대응하다는 것이 개발사측 설명입니다.
⊙김수열(삼성전자 무선상품기획팀 차장): 1600만 칼라 LCD를 채택하고 있고 디지털카메라와 비교해서 전혀 손색없는 화질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기자: 이렇게 카메라폰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디지털카메라는 결국 카메라폰에 흡수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지난해 국내 디지털카메라 시장은 97만대에서 153만대로 50% 이상 급성장했고 세계시장도 30% 이상 성장했습니다.
올해도 2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유는 성능입니다.
카메라폰은 아직 100만화소 이하가 주종인데다 소비자들도 카메라폰이 디지털카메라를 완전히 대신할 거라고 여기지 않고 있습니다.
⊙신만용(삼성테크윈 부사장): 휴대폰은 적고 항상 휴대를 해야 되는 그런 필요성이 있는 것이고 디지털카메라는 언제나 사진을 찍기 위해서 여행을 갈 때라든가 이렇게 전문적으로 사진을 찍는 기능이기 때문에 별도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기자: 시장의 예측이 애매해지면서 카메라폰 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삼성조차 디지털카메라시장에도 힘을 쏟겠다는 전략입니다.
당분간 200만 화소 이하에서는 카메라폰이, 500만 화소 이하에서는 디지털카메라가 시장을 양분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카메라폰-디카, 시장 점유 경쟁 치열
    • 입력 2005-05-26 07:20:52
    • 수정2005-05-26 08:30:08
    뉴스광장
⊙앵커: 디지털카메라와 이 디지털카메라를 부착한 휴대전화, 두 가지 중 어느 것을 더 선호하시나요? 현재 시장에서는 디지털카메라의 선호도가 더 높다고 합니다. 그 이유를 조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개발된 700만 화소폰입니다. 3배 광학줌과 자동초점기능 등을 갖추고 있어서 같은 급의 디지털카메라와 기능과 화질이 대응하다는 것이 개발사측 설명입니다. ⊙김수열(삼성전자 무선상품기획팀 차장): 1600만 칼라 LCD를 채택하고 있고 디지털카메라와 비교해서 전혀 손색없는 화질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기자: 이렇게 카메라폰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디지털카메라는 결국 카메라폰에 흡수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지난해 국내 디지털카메라 시장은 97만대에서 153만대로 50% 이상 급성장했고 세계시장도 30% 이상 성장했습니다. 올해도 2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유는 성능입니다. 카메라폰은 아직 100만화소 이하가 주종인데다 소비자들도 카메라폰이 디지털카메라를 완전히 대신할 거라고 여기지 않고 있습니다. ⊙신만용(삼성테크윈 부사장): 휴대폰은 적고 항상 휴대를 해야 되는 그런 필요성이 있는 것이고 디지털카메라는 언제나 사진을 찍기 위해서 여행을 갈 때라든가 이렇게 전문적으로 사진을 찍는 기능이기 때문에 별도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기자: 시장의 예측이 애매해지면서 카메라폰 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삼성조차 디지털카메라시장에도 힘을 쏟겠다는 전략입니다. 당분간 200만 화소 이하에서는 카메라폰이, 500만 화소 이하에서는 디지털카메라가 시장을 양분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