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고기 ‘씨가 마른다’

입력 2005.05.26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황금어장으로 불리던 연안어장들이 갈수록 그 명성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잡을 고기가 없다 보니 어민들은 산란기를 맞은 어미에서부터 어린 치어까지 닥치는 대로 잡아들이고 있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오종우 기자입니다.
⊙기자: 이른 아침 남해안.
때아닌 전어잡이가 한창입니다.
산란기를 맞은 어미 고기들을 마구 잡아들이고 있습니다.
가을 전어에 비해 가격이 떨어져 가격도 절반 이하이지만 어민들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전어잡이 어민: 할 것이 없는 거예요.
고데구리(소형 저인망 어선)도 못 하게 하지.
먹고 살아야는 돼지, 어떡합니까?
놀지는 못 하고, 요즘 2~3천원 하는데.
⊙기자: 황금어장으로 불리웠던 서해안 인천 앞바다.
어민들이 일주일 전에 설치한 그물을 걷어올립니다.
그물 안이 거의 비어 있습니다.
⊙황 희(어민): 계속 줄어드는 거예요, 아무거나 다 마찬가지예요.
여기 서해 이 근해쪽으로는 형편없어요.
⊙기자: 실제로 연안어족이 갈수록 고가돼 꽃게는 10여 년 전에 비해 8분의 1, 참조기는 절반 정도밖에 잡히지 않습니다.
전체 어획량도 지난 1980년 155만톤을 정점으로 줄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108만톤으로 30%나 줄었습니다.
어민들의 생계터전이었던 황금어장들이 황폐해져가고 있습니다.
KBS뉴스 오종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고기 ‘씨가 마른다’
    • 입력 2005-05-26 21:21:53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황금어장으로 불리던 연안어장들이 갈수록 그 명성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잡을 고기가 없다 보니 어민들은 산란기를 맞은 어미에서부터 어린 치어까지 닥치는 대로 잡아들이고 있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오종우 기자입니다. ⊙기자: 이른 아침 남해안. 때아닌 전어잡이가 한창입니다. 산란기를 맞은 어미 고기들을 마구 잡아들이고 있습니다. 가을 전어에 비해 가격이 떨어져 가격도 절반 이하이지만 어민들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전어잡이 어민: 할 것이 없는 거예요. 고데구리(소형 저인망 어선)도 못 하게 하지. 먹고 살아야는 돼지, 어떡합니까? 놀지는 못 하고, 요즘 2~3천원 하는데. ⊙기자: 황금어장으로 불리웠던 서해안 인천 앞바다. 어민들이 일주일 전에 설치한 그물을 걷어올립니다. 그물 안이 거의 비어 있습니다. ⊙황 희(어민): 계속 줄어드는 거예요, 아무거나 다 마찬가지예요. 여기 서해 이 근해쪽으로는 형편없어요. ⊙기자: 실제로 연안어족이 갈수록 고가돼 꽃게는 10여 년 전에 비해 8분의 1, 참조기는 절반 정도밖에 잡히지 않습니다. 전체 어획량도 지난 1980년 155만톤을 정점으로 줄기 시작해 지난해에는 108만톤으로 30%나 줄었습니다. 어민들의 생계터전이었던 황금어장들이 황폐해져가고 있습니다. KBS뉴스 오종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