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고(最古) 인공 연못 발굴
입력 2005.05.31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가 경북 안동에서 발견됐습니다.
기원전 7, 8세기 청동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정인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북 안동과 영주 사이 국도5호선 확장공사 구간에서 청동기시대의 저수지가 발굴됐습니다.
저수지 바닥과 퇴적단층에는 물이 있었던 뻘의 흔적이 검게 나타나 있고 곳곳에서 무문토기 등 부서진 토기조각이 다량 출토됐습니다.
이 가운데는 청동기시대 전기를 대표하는 공열문토기, 즉 구멍무늬토기가 확인됐습니다.
⊙이한상(교수/동양대 박물관장): 양상으로 본다면 기원전 7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저수지가 만들어졌다고 생각됩니다.
⊙기자: 이 저수지는 전체길이가 50m, 최대 너비가 15m, 최대 깊이는 2m 규모입니다.
저수지가 폐기된 이후 새로운 도랑이 생긴 흔적이 보이며 이곳에서도 청동기시대 전기의 토기가 집중적으로 출토된 것입니다.
이는 저수지 조성연대가 최소한 2600년 전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
⊙이한상(교수/동양대 박물관장): 물을 가두어놓는 시설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아마도 앞으로 청동기시대를 연구함에 있어서 논, 수로에 더해서 이 저수지도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것으로...
⊙기자: 그동안 발굴된 고대 저수지는 제천의 유림지와 상주의 공금지 등 대부분 서기 3, 4세기 것이었으나 이번 발굴을 계기로 저수지 축조역사가 선사시대까지로 올라가게 됐습니다.
KBS뉴스 정인수입니다.
기원전 7, 8세기 청동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정인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북 안동과 영주 사이 국도5호선 확장공사 구간에서 청동기시대의 저수지가 발굴됐습니다.
저수지 바닥과 퇴적단층에는 물이 있었던 뻘의 흔적이 검게 나타나 있고 곳곳에서 무문토기 등 부서진 토기조각이 다량 출토됐습니다.
이 가운데는 청동기시대 전기를 대표하는 공열문토기, 즉 구멍무늬토기가 확인됐습니다.
⊙이한상(교수/동양대 박물관장): 양상으로 본다면 기원전 7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저수지가 만들어졌다고 생각됩니다.
⊙기자: 이 저수지는 전체길이가 50m, 최대 너비가 15m, 최대 깊이는 2m 규모입니다.
저수지가 폐기된 이후 새로운 도랑이 생긴 흔적이 보이며 이곳에서도 청동기시대 전기의 토기가 집중적으로 출토된 것입니다.
이는 저수지 조성연대가 최소한 2600년 전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
⊙이한상(교수/동양대 박물관장): 물을 가두어놓는 시설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아마도 앞으로 청동기시대를 연구함에 있어서 논, 수로에 더해서 이 저수지도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것으로...
⊙기자: 그동안 발굴된 고대 저수지는 제천의 유림지와 상주의 공금지 등 대부분 서기 3, 4세기 것이었으나 이번 발굴을 계기로 저수지 축조역사가 선사시대까지로 올라가게 됐습니다.
KBS뉴스 정인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내 최고(最古) 인공 연못 발굴
-
- 입력 2005-05-31 21:35:15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가 경북 안동에서 발견됐습니다.
기원전 7, 8세기 청동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정인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북 안동과 영주 사이 국도5호선 확장공사 구간에서 청동기시대의 저수지가 발굴됐습니다.
저수지 바닥과 퇴적단층에는 물이 있었던 뻘의 흔적이 검게 나타나 있고 곳곳에서 무문토기 등 부서진 토기조각이 다량 출토됐습니다.
이 가운데는 청동기시대 전기를 대표하는 공열문토기, 즉 구멍무늬토기가 확인됐습니다.
⊙이한상(교수/동양대 박물관장): 양상으로 본다면 기원전 7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저수지가 만들어졌다고 생각됩니다.
⊙기자: 이 저수지는 전체길이가 50m, 최대 너비가 15m, 최대 깊이는 2m 규모입니다.
저수지가 폐기된 이후 새로운 도랑이 생긴 흔적이 보이며 이곳에서도 청동기시대 전기의 토기가 집중적으로 출토된 것입니다.
이는 저수지 조성연대가 최소한 2600년 전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뒷받침해 주고 있습니다.
⊙이한상(교수/동양대 박물관장): 물을 가두어놓는 시설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아마도 앞으로 청동기시대를 연구함에 있어서 논, 수로에 더해서 이 저수지도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것으로...
⊙기자: 그동안 발굴된 고대 저수지는 제천의 유림지와 상주의 공금지 등 대부분 서기 3, 4세기 것이었으나 이번 발굴을 계기로 저수지 축조역사가 선사시대까지로 올라가게 됐습니다.
KBS뉴스 정인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