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달라졌나?

입력 2005.06.30 (21:5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내일이면 지방자치제가 출범한 지 10년을 맞습니다.
지방자치제가 거둔 성과와 문제점, 개선방안을 연속기획보도로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홍성철 기자가 지방자치제 이후 무엇이 달라졌는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에 있는 한 구청의 구청장실입니다.
이 방 바로 옆에는 주민들이 민원을 호소하는 대화방이 있습니다.
구청장실로 통하는 모든 문은 유리입니다.
행정처리 과정도 자연스럽게 공개됩니다.
⊙강옥희(서울시 종암동): 많이 좋아졌어요.
친절하고 또 신속하게 일도 잘 되고...
⊙기자: 이렇게 지난 10년 동안 지역관공서의 문턱은 크게 낮아졌습니다.
경실련의 여론조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합니다.
지방자치 10년 동안 가장 좋아진 것은 민원서비스 확대와 행정정보 공개,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윤순철(경실련 정책실장): 민원이나 주민 중심의 행정을 펴려고 하기 때문에 그런 차원에서 보면 상당히 긍정적인 점으로 민주주의 가치가 많이 확산됐다...
⊙기자: 그러나 중앙정부의 권한이양은 여전히 풀어나가야 할 과제입니다.
자치경찰제와 교육자치제는 논의만 되풀이하고 있고 재정분권은 거의 진척이 없는 상태입니다.
또 자치단체의 선심성 행사와 무분별한 난개발, 그리고 지역이기주의 등은 오히려 악화됐습니다.
비리단체장들의 대거 등장도 시빗거리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무려 160명의 단체장들이 형사처벌을 받았습니다.
⊙김병국(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실장): 자치단체장들의 선심행정이 지금 언론에 많이 부각되고 있는데 이런 면을 좀 탈피해서 책임을 구현할 수 있는 스스로의 노력도 필요하지 않느냐...
⊙기자: 아직까지는 정착하지 못한 지방자치, 앞으로가 더욱 중요합니다.
KBS뉴스 홍성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엇이 달라졌나?
    • 입력 2005-06-30 21:39:01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내일이면 지방자치제가 출범한 지 10년을 맞습니다. 지방자치제가 거둔 성과와 문제점, 개선방안을 연속기획보도로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홍성철 기자가 지방자치제 이후 무엇이 달라졌는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에 있는 한 구청의 구청장실입니다. 이 방 바로 옆에는 주민들이 민원을 호소하는 대화방이 있습니다. 구청장실로 통하는 모든 문은 유리입니다. 행정처리 과정도 자연스럽게 공개됩니다. ⊙강옥희(서울시 종암동): 많이 좋아졌어요. 친절하고 또 신속하게 일도 잘 되고... ⊙기자: 이렇게 지난 10년 동안 지역관공서의 문턱은 크게 낮아졌습니다. 경실련의 여론조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합니다. 지방자치 10년 동안 가장 좋아진 것은 민원서비스 확대와 행정정보 공개,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윤순철(경실련 정책실장): 민원이나 주민 중심의 행정을 펴려고 하기 때문에 그런 차원에서 보면 상당히 긍정적인 점으로 민주주의 가치가 많이 확산됐다... ⊙기자: 그러나 중앙정부의 권한이양은 여전히 풀어나가야 할 과제입니다. 자치경찰제와 교육자치제는 논의만 되풀이하고 있고 재정분권은 거의 진척이 없는 상태입니다. 또 자치단체의 선심성 행사와 무분별한 난개발, 그리고 지역이기주의 등은 오히려 악화됐습니다. 비리단체장들의 대거 등장도 시빗거리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무려 160명의 단체장들이 형사처벌을 받았습니다. ⊙김병국(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실장): 자치단체장들의 선심행정이 지금 언론에 많이 부각되고 있는데 이런 면을 좀 탈피해서 책임을 구현할 수 있는 스스로의 노력도 필요하지 않느냐... ⊙기자: 아직까지는 정착하지 못한 지방자치, 앞으로가 더욱 중요합니다. KBS뉴스 홍성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