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동산 투기·전쟁

입력 2005.07.05 (22: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계 부동산시장의 과열 현상을 분석해보는 시간.
오늘은 중국입니다.
주택사유제가 실시된 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는데 중국의 부동산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진홍순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50년 또는 70년 임대형식으로 사실상 매매가 이루어지는 중국의 토지 국유제는 이름뿐입니다.
지난 98년 주택사유가 허용되고 많게는 집값의 100%까지 주택융자가 활성화되면서 자기 돈 없이 집을 장만할 수 있게 되자 주택수요는 날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기자: 기다린 지 얼마나 됐나요?
⊙인터뷰: 한 달 넘게 기다렸어요.
⊙기자: 집값이 천정부지로 뛰자 중국정부는 지난 5월 11일 주택 융자 축소와 전매금지, 최고 20%까지의 양도세 부과 등 중국 최초의 부동산투기억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해마다 농촌 인구의 1700만명이 도시로 이주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 부동산 시장의 열기는 적어도 앞으로 20년 동안은 고조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또 위안화 평가절상이 임박했다고 판단한 외국 자본들이 대거 중국의 부동산 시장에 유입되고 있습니다.
⊙장융웨(화동사대 동방부동산학원장): 상하이의 경우 최근 몇 년 새 외국인과 대만, 홍콩 사람들이 부동산 시장에 투자해 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자: 과열되는 부동산 시장을 어떻게 조정하느냐가 중국 경제정책의 핵심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뉴스 진홍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부동산 투기·전쟁
    • 입력 2005-07-05 21:38:53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세계 부동산시장의 과열 현상을 분석해보는 시간. 오늘은 중국입니다. 주택사유제가 실시된 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는데 중국의 부동산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진홍순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50년 또는 70년 임대형식으로 사실상 매매가 이루어지는 중국의 토지 국유제는 이름뿐입니다. 지난 98년 주택사유가 허용되고 많게는 집값의 100%까지 주택융자가 활성화되면서 자기 돈 없이 집을 장만할 수 있게 되자 주택수요는 날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기자: 기다린 지 얼마나 됐나요? ⊙인터뷰: 한 달 넘게 기다렸어요. ⊙기자: 집값이 천정부지로 뛰자 중국정부는 지난 5월 11일 주택 융자 축소와 전매금지, 최고 20%까지의 양도세 부과 등 중국 최초의 부동산투기억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해마다 농촌 인구의 1700만명이 도시로 이주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 부동산 시장의 열기는 적어도 앞으로 20년 동안은 고조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또 위안화 평가절상이 임박했다고 판단한 외국 자본들이 대거 중국의 부동산 시장에 유입되고 있습니다. ⊙장융웨(화동사대 동방부동산학원장): 상하이의 경우 최근 몇 년 새 외국인과 대만, 홍콩 사람들이 부동산 시장에 투자해 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자: 과열되는 부동산 시장을 어떻게 조정하느냐가 중국 경제정책의 핵심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뉴스 진홍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