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카에다, 이집트 대사도 살해
입력 2005.07.08 (22:0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알 카에다가 이라크에서 납치한 이집트대사를 끝내 살해해 또 한 번 세계를 경악케 했습니다.
두바이에서 용태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눈을 가린 알 샤리프 이집트 대사가 심문당하는 모습이 웹사이트에 공개됐습니다.
⊙알 샤리프(이집트 대사): 1년 동안 이스라엘에서 이집트 부대사로 복무했습니다.
⊙기자: 이라크의 알 카에다라고 주장한 단체는 이단자들의 대사인 알 샤리프에게 신의 판결이 집행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대사가 살해되는 모습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집트 정부는 대사의 죽음을 확인했습니다.
⊙마지드 압델 아지즈(유엔 이집트 대사): 우리는 오늘 대사를 잃었습니다.
그는 잔혹하게 살해됐습니다.
⊙기자: 전후 이라크에 파견된 최고위 외교관이 저항세력에 살해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은 살인자를 테러리스트라고 비난하고 이라크에 대한 지원정책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이집트의 한 외무부 관리는 바그다드에 남아 있는 외교관을 오늘 중에 모두 철수시키고 공관을 잠정적으로 폐쇄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납치살해사건을 계기로 바그다드의 외교관들은 활동이 크게 위축된 상태입니다.
어떻게든 아랍권과 외교 관계를 회복해 보려던 이라크 임시 정부의 노력도 큰 타격을 받게 됐습니다.
두바이에서 KBS뉴스 용태영입니다.
두바이에서 용태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눈을 가린 알 샤리프 이집트 대사가 심문당하는 모습이 웹사이트에 공개됐습니다.
⊙알 샤리프(이집트 대사): 1년 동안 이스라엘에서 이집트 부대사로 복무했습니다.
⊙기자: 이라크의 알 카에다라고 주장한 단체는 이단자들의 대사인 알 샤리프에게 신의 판결이 집행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대사가 살해되는 모습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집트 정부는 대사의 죽음을 확인했습니다.
⊙마지드 압델 아지즈(유엔 이집트 대사): 우리는 오늘 대사를 잃었습니다.
그는 잔혹하게 살해됐습니다.
⊙기자: 전후 이라크에 파견된 최고위 외교관이 저항세력에 살해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은 살인자를 테러리스트라고 비난하고 이라크에 대한 지원정책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이집트의 한 외무부 관리는 바그다드에 남아 있는 외교관을 오늘 중에 모두 철수시키고 공관을 잠정적으로 폐쇄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납치살해사건을 계기로 바그다드의 외교관들은 활동이 크게 위축된 상태입니다.
어떻게든 아랍권과 외교 관계를 회복해 보려던 이라크 임시 정부의 노력도 큰 타격을 받게 됐습니다.
두바이에서 KBS뉴스 용태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알 카에다, 이집트 대사도 살해
-
- 입력 2005-07-08 21:09:29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알 카에다가 이라크에서 납치한 이집트대사를 끝내 살해해 또 한 번 세계를 경악케 했습니다.
두바이에서 용태영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눈을 가린 알 샤리프 이집트 대사가 심문당하는 모습이 웹사이트에 공개됐습니다.
⊙알 샤리프(이집트 대사): 1년 동안 이스라엘에서 이집트 부대사로 복무했습니다.
⊙기자: 이라크의 알 카에다라고 주장한 단체는 이단자들의 대사인 알 샤리프에게 신의 판결이 집행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대사가 살해되는 모습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집트 정부는 대사의 죽음을 확인했습니다.
⊙마지드 압델 아지즈(유엔 이집트 대사): 우리는 오늘 대사를 잃었습니다.
그는 잔혹하게 살해됐습니다.
⊙기자: 전후 이라크에 파견된 최고위 외교관이 저항세력에 살해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은 살인자를 테러리스트라고 비난하고 이라크에 대한 지원정책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이집트의 한 외무부 관리는 바그다드에 남아 있는 외교관을 오늘 중에 모두 철수시키고 공관을 잠정적으로 폐쇄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납치살해사건을 계기로 바그다드의 외교관들은 활동이 크게 위축된 상태입니다.
어떻게든 아랍권과 외교 관계를 회복해 보려던 이라크 임시 정부의 노력도 큰 타격을 받게 됐습니다.
두바이에서 KBS뉴스 용태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