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빛 봄 멸치 향연…어획량 줄어 고민도
입력 2023.04.21 (21:46)
수정 2023.04.24 (13: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로 27회를 맞는 기장멸치축제가 오늘부터 사흘간 열립니다.
어민들의 멸치 털기를 구경하고, 갓 잡은 싱싱한 멸치회를 먹을 기회도 있는데요.
최근 기후 변화 문제로 어획량이 줄고 있어 걱정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옥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무료 멸치회 시식 행사를 기다리는 시민들이 길게 줄지어 서 있습니다.
멸치회를 맛보는 시민들의 입가엔 웃음꽃이 핍니다.
제27회 기장멸치축제가 오늘부터 사흘간 열립니다.
[조원영/부산 기장군 : "사람도 많이 있고, 준비된 공연도 많고, 맛있는 멸치회도 먹을 수 있어서 즐겁게 시간 보내고 있습니다."]
이른 아침부터 멸치 조업에 나선 어민들 덕분에 신선한 멸치회를 먹을 수 있습니다.
["어야디야, 어야디야."]
구호에 맞춰 어망에 걸린 멸치를 터는 모습은 기장멸치축제의 특별한 볼거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달 초에는 낮은 수온 탓에 멸치 조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축제조직위의 애를 태우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주 기장군의 배 1척당 멸치어획량이 약 3천kg으로, 평년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최일천/기장멸치축제추진위원회 위원장 : "멸치가 안 잡혀서 준비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는데, 일주일 전부터 수온이 올라가고 날씨가 좋아져 멸치가 잡히기 시작했습니다."]
은빛 봄 멸치의 향연인 27번째 기장멸치축제가 열렸지만, 기후 변화로 줄어든 어획량에 대한 고민도 함께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김소연
올해로 27회를 맞는 기장멸치축제가 오늘부터 사흘간 열립니다.
어민들의 멸치 털기를 구경하고, 갓 잡은 싱싱한 멸치회를 먹을 기회도 있는데요.
최근 기후 변화 문제로 어획량이 줄고 있어 걱정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옥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무료 멸치회 시식 행사를 기다리는 시민들이 길게 줄지어 서 있습니다.
멸치회를 맛보는 시민들의 입가엔 웃음꽃이 핍니다.
제27회 기장멸치축제가 오늘부터 사흘간 열립니다.
[조원영/부산 기장군 : "사람도 많이 있고, 준비된 공연도 많고, 맛있는 멸치회도 먹을 수 있어서 즐겁게 시간 보내고 있습니다."]
이른 아침부터 멸치 조업에 나선 어민들 덕분에 신선한 멸치회를 먹을 수 있습니다.
["어야디야, 어야디야."]
구호에 맞춰 어망에 걸린 멸치를 터는 모습은 기장멸치축제의 특별한 볼거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달 초에는 낮은 수온 탓에 멸치 조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축제조직위의 애를 태우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주 기장군의 배 1척당 멸치어획량이 약 3천kg으로, 평년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최일천/기장멸치축제추진위원회 위원장 : "멸치가 안 잡혀서 준비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는데, 일주일 전부터 수온이 올라가고 날씨가 좋아져 멸치가 잡히기 시작했습니다."]
은빛 봄 멸치의 향연인 27번째 기장멸치축제가 열렸지만, 기후 변화로 줄어든 어획량에 대한 고민도 함께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김소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은빛 봄 멸치 향연…어획량 줄어 고민도
-
- 입력 2023-04-21 21:46:47
- 수정2023-04-24 13:34:35

[앵커]
올해로 27회를 맞는 기장멸치축제가 오늘부터 사흘간 열립니다.
어민들의 멸치 털기를 구경하고, 갓 잡은 싱싱한 멸치회를 먹을 기회도 있는데요.
최근 기후 변화 문제로 어획량이 줄고 있어 걱정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옥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무료 멸치회 시식 행사를 기다리는 시민들이 길게 줄지어 서 있습니다.
멸치회를 맛보는 시민들의 입가엔 웃음꽃이 핍니다.
제27회 기장멸치축제가 오늘부터 사흘간 열립니다.
[조원영/부산 기장군 : "사람도 많이 있고, 준비된 공연도 많고, 맛있는 멸치회도 먹을 수 있어서 즐겁게 시간 보내고 있습니다."]
이른 아침부터 멸치 조업에 나선 어민들 덕분에 신선한 멸치회를 먹을 수 있습니다.
["어야디야, 어야디야."]
구호에 맞춰 어망에 걸린 멸치를 터는 모습은 기장멸치축제의 특별한 볼거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달 초에는 낮은 수온 탓에 멸치 조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축제조직위의 애를 태우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주 기장군의 배 1척당 멸치어획량이 약 3천kg으로, 평년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최일천/기장멸치축제추진위원회 위원장 : "멸치가 안 잡혀서 준비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는데, 일주일 전부터 수온이 올라가고 날씨가 좋아져 멸치가 잡히기 시작했습니다."]
은빛 봄 멸치의 향연인 27번째 기장멸치축제가 열렸지만, 기후 변화로 줄어든 어획량에 대한 고민도 함께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김소연
올해로 27회를 맞는 기장멸치축제가 오늘부터 사흘간 열립니다.
어민들의 멸치 털기를 구경하고, 갓 잡은 싱싱한 멸치회를 먹을 기회도 있는데요.
최근 기후 변화 문제로 어획량이 줄고 있어 걱정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옥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무료 멸치회 시식 행사를 기다리는 시민들이 길게 줄지어 서 있습니다.
멸치회를 맛보는 시민들의 입가엔 웃음꽃이 핍니다.
제27회 기장멸치축제가 오늘부터 사흘간 열립니다.
[조원영/부산 기장군 : "사람도 많이 있고, 준비된 공연도 많고, 맛있는 멸치회도 먹을 수 있어서 즐겁게 시간 보내고 있습니다."]
이른 아침부터 멸치 조업에 나선 어민들 덕분에 신선한 멸치회를 먹을 수 있습니다.
["어야디야, 어야디야."]
구호에 맞춰 어망에 걸린 멸치를 터는 모습은 기장멸치축제의 특별한 볼거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달 초에는 낮은 수온 탓에 멸치 조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축제조직위의 애를 태우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주 기장군의 배 1척당 멸치어획량이 약 3천kg으로, 평년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최일천/기장멸치축제추진위원회 위원장 : "멸치가 안 잡혀서 준비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는데, 일주일 전부터 수온이 올라가고 날씨가 좋아져 멸치가 잡히기 시작했습니다."]
은빛 봄 멸치의 향연인 27번째 기장멸치축제가 열렸지만, 기후 변화로 줄어든 어획량에 대한 고민도 함께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옥천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김소연
-
-
김옥천 기자 hub@kbs.co.kr
김옥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