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 ‘北 평화적 핵 이용’ 의견 접근
입력 2005.08.24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핵문제 해결의 주변수가 되고 있는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에 대해서 미국이 기존보다 유연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미 두 나라는 오늘 열린 외무장관회담에서 이 문제에 대해 충분한 교감을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이선재 특파원입니다.
⊙앵커: 올 들어 5번째인 한미 외무장관회담은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 문제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반기문 장관은 협상이 진행중이라며 구체적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긍정적 진전이 있음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반기문(외교통상부 장관):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과 관련해서는 이번에 미측과 유익한 협의를 통해서 충분한 교감을 가졌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미측에서도 긍정적 신호가 이어졌습니다.
힐 차관보는 평화적 핵이용은 결정적 장애물이 아니라며 한층 유연해진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무부는 이번 주 북한과 뉴욕채널을 통한 접촉을 더 가질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같은 한미간 의견접근은 다음주 속개될 것으로 보이는 6자회담의 기대치를 높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에 긍정적인 한국도 NPT 복귀와 IAEA사찰, 투명성과 국제사회의 신뢰 제고 등 구체적인 전제조건들을 분명히 하고 있어서 여전히 만만치 않은 공방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뉴스 이선재입니다.
한미 두 나라는 오늘 열린 외무장관회담에서 이 문제에 대해 충분한 교감을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이선재 특파원입니다.
⊙앵커: 올 들어 5번째인 한미 외무장관회담은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 문제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반기문 장관은 협상이 진행중이라며 구체적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긍정적 진전이 있음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반기문(외교통상부 장관):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과 관련해서는 이번에 미측과 유익한 협의를 통해서 충분한 교감을 가졌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미측에서도 긍정적 신호가 이어졌습니다.
힐 차관보는 평화적 핵이용은 결정적 장애물이 아니라며 한층 유연해진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무부는 이번 주 북한과 뉴욕채널을 통한 접촉을 더 가질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같은 한미간 의견접근은 다음주 속개될 것으로 보이는 6자회담의 기대치를 높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에 긍정적인 한국도 NPT 복귀와 IAEA사찰, 투명성과 국제사회의 신뢰 제고 등 구체적인 전제조건들을 분명히 하고 있어서 여전히 만만치 않은 공방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뉴스 이선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韓-美, ‘北 평화적 핵 이용’ 의견 접근
-
- 입력 2005-08-24 21:09:21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북핵문제 해결의 주변수가 되고 있는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에 대해서 미국이 기존보다 유연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미 두 나라는 오늘 열린 외무장관회담에서 이 문제에 대해 충분한 교감을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이선재 특파원입니다.
⊙앵커: 올 들어 5번째인 한미 외무장관회담은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 문제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반기문 장관은 협상이 진행중이라며 구체적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긍정적 진전이 있음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반기문(외교통상부 장관):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과 관련해서는 이번에 미측과 유익한 협의를 통해서 충분한 교감을 가졌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미측에서도 긍정적 신호가 이어졌습니다.
힐 차관보는 평화적 핵이용은 결정적 장애물이 아니라며 한층 유연해진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무부는 이번 주 북한과 뉴욕채널을 통한 접촉을 더 가질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같은 한미간 의견접근은 다음주 속개될 것으로 보이는 6자회담의 기대치를 높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의 평화적 핵이용에 긍정적인 한국도 NPT 복귀와 IAEA사찰, 투명성과 국제사회의 신뢰 제고 등 구체적인 전제조건들을 분명히 하고 있어서 여전히 만만치 않은 공방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뉴스 이선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