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강릉] 세계산림엑스포 D-100…열기 고조 과제

입력 2023.06.14 (19:23) 수정 2023.06.14 (2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는 9월 개막하는 2023강원세계산림엑스포가 이제 10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엑스포 랜드마크가 최근 준공되는 등 시설적으로는 막바지 단계인데요.

좀처럼 뜨거워지지 않는 열기는 남은 기간 채워야 할 과제입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솔방울과 씨앗을 주제로 2년 만에 완성된 세계산림엑스포 랜드마크입니다.

높이 45미터 규모로 중간중간 전망대 26곳이 설치됐습니다.

한 번에 최대 500명이 울산바위와 설악산, 바다까지 조망할 수 있습니다.

엑스포 주 무대인 세계잼버리수련장의 기반시설 정비도 사실상 마무리됐습니다.

산림과 관련된 모든 것을 담아낼 8천여 제곱미터 규모의 5개 전시관은 다음 달(7월)부터 마련될 예정입니다.

세계산림엑스포는 오는 9월 22일부터 한 달 동안 설악권 4개 시군에서 진행됩니다.

강원도 면적의 80%가 넘는 산림의 역사와 문화, 생태 등을 아우르는 산림 관련 첫 엑스포입니다.

시설 분야가 막바지 단계고, 후원과 협찬 금액도 이미 목표액의 두 배를 초과했지만, 엑스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아직 부족합니다.

100만 명 넘는 관람객이 목표지만, 현재 판매된 입장권은 3만여 장 정도에 머물고 있습니다.

[송선영/강원세계산림엑스포조직위원회 부장 : "(외국인 대상) 관광상품을 개발하였고, 인근 리조트, 콘도 등 숙박업체와 협의해서 가을 단풍철 관광객이 저희 산림엑스포장에 오실 수 있도록 연계상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산림 엑스포와 연계한 지역 축제와 문화제 등 20개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설악권 4개 시군도 열기 고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수원/고성군 산림과장 : "엑스포 붐 조성을 위해 거리경관 조성, 국도변 광고시설물 설치, 각종 행사 시 홍보 등 이미지 개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엑스포 조직위는 34개 기관과 협약을 맺은 데 이어 70개 넘는 기업 등도 참여 예정이라며, 엑스포가 다가올수록 관심이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강릉시, 폐기물 소각시설 종합 시운전

강릉시가 올 9월 폐기물 소각시설 준공을 앞두고, 종합 시운전을 진행합니다.

종합 시운전은 오늘(14일)부터 시작돼 오는 8월 중순까지 석 달 동안 7천 톤 이상의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면서 각종 기기와 소각로 성능을 점검합니다.

강릉시는 사업비 736억 원을 들여 강릉시 강동면 자원순환센터 내에 하루 190톤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소각 시설을 짓고 있으며, 현재 공정률은 97%에 이릅니다.

강원 남부권에 ‘산림·목재 클러스터’ 조성

강원 남부권에 청정 수소 생산 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산림·목재 클러스터'가 조성됩니다.

강원 남부권 5개 시군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 동안 사업비 420억 원을 들여 태백에는 목재 종합가공센터를, 삼척과 정선, 평창, 영월 등 4곳에는 목재 수집센터를 조성한다고 밝혔습니다.

'산림·목재 클러스터'는 수소 생산에 필요한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를 공급하게 됩니다.

정의당,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대응 촉구

정의당 강원도당은 오늘(14일) 강릉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정부가 오염수 투기를 반대하고 국제해양재판소에 일본 정부를 제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의당은 또, 강원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강원도와 강원도의회도 해양투기 반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경찰, 건축법 위반 혐의 강릉시 공무원 사무실 압수 수색

강원경찰청은 오늘(14일) 건축법 위반 혐의로 입건된 강릉시 공무원 55살 A 씨가 근무한 시청 사무실을 압수 수색했습니다.

건축 허가 관련 업무를 담당한 A 씨는 지난해 9월 강릉시 사천면 일원 자신 소유의 밭 1,300여 제곱미터의 지목을 대지로 바꿔 스스로 승인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경찰은 지목 변경 이후 A 씨의 땅 공시 지가가 3배 이상 오른 것으로 파악된다며, A 씨의 지목 변경 승인이 적절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강릉] 세계산림엑스포 D-100…열기 고조 과제
    • 입력 2023-06-14 19:23:19
    • 수정2023-06-14 20:04:45
    뉴스7(춘천)
[앵커]

오는 9월 개막하는 2023강원세계산림엑스포가 이제 10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엑스포 랜드마크가 최근 준공되는 등 시설적으로는 막바지 단계인데요.

좀처럼 뜨거워지지 않는 열기는 남은 기간 채워야 할 과제입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솔방울과 씨앗을 주제로 2년 만에 완성된 세계산림엑스포 랜드마크입니다.

높이 45미터 규모로 중간중간 전망대 26곳이 설치됐습니다.

한 번에 최대 500명이 울산바위와 설악산, 바다까지 조망할 수 있습니다.

엑스포 주 무대인 세계잼버리수련장의 기반시설 정비도 사실상 마무리됐습니다.

산림과 관련된 모든 것을 담아낼 8천여 제곱미터 규모의 5개 전시관은 다음 달(7월)부터 마련될 예정입니다.

세계산림엑스포는 오는 9월 22일부터 한 달 동안 설악권 4개 시군에서 진행됩니다.

강원도 면적의 80%가 넘는 산림의 역사와 문화, 생태 등을 아우르는 산림 관련 첫 엑스포입니다.

시설 분야가 막바지 단계고, 후원과 협찬 금액도 이미 목표액의 두 배를 초과했지만, 엑스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아직 부족합니다.

100만 명 넘는 관람객이 목표지만, 현재 판매된 입장권은 3만여 장 정도에 머물고 있습니다.

[송선영/강원세계산림엑스포조직위원회 부장 : "(외국인 대상) 관광상품을 개발하였고, 인근 리조트, 콘도 등 숙박업체와 협의해서 가을 단풍철 관광객이 저희 산림엑스포장에 오실 수 있도록 연계상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산림 엑스포와 연계한 지역 축제와 문화제 등 20개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설악권 4개 시군도 열기 고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수원/고성군 산림과장 : "엑스포 붐 조성을 위해 거리경관 조성, 국도변 광고시설물 설치, 각종 행사 시 홍보 등 이미지 개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엑스포 조직위는 34개 기관과 협약을 맺은 데 이어 70개 넘는 기업 등도 참여 예정이라며, 엑스포가 다가올수록 관심이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강릉시, 폐기물 소각시설 종합 시운전

강릉시가 올 9월 폐기물 소각시설 준공을 앞두고, 종합 시운전을 진행합니다.

종합 시운전은 오늘(14일)부터 시작돼 오는 8월 중순까지 석 달 동안 7천 톤 이상의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면서 각종 기기와 소각로 성능을 점검합니다.

강릉시는 사업비 736억 원을 들여 강릉시 강동면 자원순환센터 내에 하루 190톤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소각 시설을 짓고 있으며, 현재 공정률은 97%에 이릅니다.

강원 남부권에 ‘산림·목재 클러스터’ 조성

강원 남부권에 청정 수소 생산 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산림·목재 클러스터'가 조성됩니다.

강원 남부권 5개 시군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 5년 동안 사업비 420억 원을 들여 태백에는 목재 종합가공센터를, 삼척과 정선, 평창, 영월 등 4곳에는 목재 수집센터를 조성한다고 밝혔습니다.

'산림·목재 클러스터'는 수소 생산에 필요한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를 공급하게 됩니다.

정의당,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 대응 촉구

정의당 강원도당은 오늘(14일) 강릉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정부가 오염수 투기를 반대하고 국제해양재판소에 일본 정부를 제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의당은 또, 강원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강원도와 강원도의회도 해양투기 반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경찰, 건축법 위반 혐의 강릉시 공무원 사무실 압수 수색

강원경찰청은 오늘(14일) 건축법 위반 혐의로 입건된 강릉시 공무원 55살 A 씨가 근무한 시청 사무실을 압수 수색했습니다.

건축 허가 관련 업무를 담당한 A 씨는 지난해 9월 강릉시 사천면 일원 자신 소유의 밭 1,300여 제곱미터의 지목을 대지로 바꿔 스스로 승인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경찰은 지목 변경 이후 A 씨의 땅 공시 지가가 3배 이상 오른 것으로 파악된다며, A 씨의 지목 변경 승인이 적절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