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장관 업무 복귀…“야당 책임져야” “면죄부 아냐”

입력 2023.07.25 (19:07) 수정 2023.07.25 (19: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대해 대통령실과 여당은 탄핵 소추권 남용으로 혼란을 야기한 더불어민주당이 책임져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야당은 탄핵이 되지 않았다고 해서 면죄부를 받은 건 아니라며 책임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이현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헌법재판소 결정 직후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입장문을 통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들에게 위로의 뜻을 밝혔습니다.

탄핵소추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하다면서 복귀 후 첫 일정으로 충남 청양군 수해 현장을 찾았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탄핵 소추는 거대 야당의 탄핵 소추권 남용이자, 반헌법적 행태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어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국민의힘도 야당에 정치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날을 세웠습니다.

당리당략이자 습관적 탄핵병으로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콘트롤 타워를 해체시켜서 혼란을 야기했다는 겁니다.

[김기현/국민의힘 대표 : "지휘관을 무력화시켜놓고 재난 안전에 대비를 하라고 하는 것 자체가 앞뒤가 안 맞는 모순 아니겠습니까."]

민주당은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이 장관이 모든 책임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대통령실이 탄핵소추를 반헌법적이라고 규정한 것에 대해선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박광온/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탄핵이 기각됐다고 해서 탄핵을 추진한 것이 반헌법적 작태라고 하면 헌법에 규정된 행위를 국회가 해선 안 된다는 주장과도 같은 얘기가 될 겁니다."]

정의당도 탄핵 소추가 기각됐다고 해서 면죄부를 받은 것은 결코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이 더욱 중요해졌다면서 유가족과 시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윤대민/영상편집:최근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상민 장관 업무 복귀…“야당 책임져야” “면죄부 아냐”
    • 입력 2023-07-25 19:07:37
    • 수정2023-07-25 19:15:49
    뉴스 7
[앵커]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대해 대통령실과 여당은 탄핵 소추권 남용으로 혼란을 야기한 더불어민주당이 책임져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야당은 탄핵이 되지 않았다고 해서 면죄부를 받은 건 아니라며 책임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이현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헌법재판소 결정 직후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입장문을 통해 이태원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들에게 위로의 뜻을 밝혔습니다.

탄핵소추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하다면서 복귀 후 첫 일정으로 충남 청양군 수해 현장을 찾았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탄핵 소추는 거대 야당의 탄핵 소추권 남용이자, 반헌법적 행태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어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국민의힘도 야당에 정치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날을 세웠습니다.

당리당략이자 습관적 탄핵병으로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콘트롤 타워를 해체시켜서 혼란을 야기했다는 겁니다.

[김기현/국민의힘 대표 : "지휘관을 무력화시켜놓고 재난 안전에 대비를 하라고 하는 것 자체가 앞뒤가 안 맞는 모순 아니겠습니까."]

민주당은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이 장관이 모든 책임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대통령실이 탄핵소추를 반헌법적이라고 규정한 것에 대해선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섰습니다.

[박광온/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탄핵이 기각됐다고 해서 탄핵을 추진한 것이 반헌법적 작태라고 하면 헌법에 규정된 행위를 국회가 해선 안 된다는 주장과도 같은 얘기가 될 겁니다."]

정의당도 탄핵 소추가 기각됐다고 해서 면죄부를 받은 것은 결코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이태원 참사 특별법 제정이 더욱 중요해졌다면서 유가족과 시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이현준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윤대민/영상편집:최근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