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만 흘렀다’…동거차도 주민들의 신음
입력 2024.04.16 (21:53)
수정 2024.04.16 (22: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월호 사고 발생시 가장 가까이서 구조에 나선 이들은 한반도 서남쪽 작은 섬 진도의 동거차도 주민들이었는데요.
사고 최초의 목격자이자 피해자이기도 했던 동거차도 주민들의 삶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여전히 고통속에 있는 섬 주민들을 김광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월호 사고 해역에서 2KM 남짓 떨어진 진도군 조도면 동거차도.
세월호가 침몰한 맹골수도 해역은 주민들의 생계원인 미역 양식장 바로 앞입니다.
그날 역시 주민들은 양식장에서 미역을 수확하느라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었습니다.
[소명영/동거차도 주민 : "그때 당시에 미역 양식. 양식장이 뒤에 있다 보니깐, 채취하면서 미역 채취하고 있는데 그 배가 그렇게 점점 기울어가고 이렇게 떠오다가 그래서 이제 (침몰)상황이 된 거죠."]
놀란 어민들은 어선을 이용해 생존자를 구조하고 물에 빠진 시신을 섬으로 옮기는데 발벗고 나섰습니다.
세월호 사고는 곧 경제적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세월호 침몰때와 3년뒤 인양 작업 때 세월호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미역 양식장을 덮쳐 큰 피해를 봤기 때문입니다.
어민들은 피해 보상을 요구하며 정부를 상대로 해상 시위와 상경 시위까지 벌였지만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소명영/동거차도 주민 : "이제 일부 (빚을) 해결하는 사람은 했고, 그것이 누적이 돼 가지고 아직도 그게 꼬리를 물고 아직도 (빚을) 못 갚은 사람들 어민들도 있고…."]
무엇보다 큰 것은 마음의 상처.
하지만 상처 치유를 위해 육지에 나가 2~3번 심리치료를 받은 게 전부였습니다.
[차정록/동거차도 동막마을 어촌계장 : "(참사 당시) 이제 계속 인제 술이나 먹고 잠을 자고 그런 실정이었는데…. (심리)치료하러 왔는데 우리 돈을 내고 가서 치료를 하라고 그러더라고요. 그쪽(사고 해역)만 가면 또 그런 생각이 나고, 항상 그쪽을 또 우리가 (미역) 작업하러 가니까 그런 생각이 나죠."]
세월호 인명 구조에 나섰던 의인들이 겪었던 트라우마처럼 진도 동거차도 주민들의 마음의 상처 또한 여전히 치유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세월호 사고 발생시 가장 가까이서 구조에 나선 이들은 한반도 서남쪽 작은 섬 진도의 동거차도 주민들이었는데요.
사고 최초의 목격자이자 피해자이기도 했던 동거차도 주민들의 삶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여전히 고통속에 있는 섬 주민들을 김광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월호 사고 해역에서 2KM 남짓 떨어진 진도군 조도면 동거차도.
세월호가 침몰한 맹골수도 해역은 주민들의 생계원인 미역 양식장 바로 앞입니다.
그날 역시 주민들은 양식장에서 미역을 수확하느라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었습니다.
[소명영/동거차도 주민 : "그때 당시에 미역 양식. 양식장이 뒤에 있다 보니깐, 채취하면서 미역 채취하고 있는데 그 배가 그렇게 점점 기울어가고 이렇게 떠오다가 그래서 이제 (침몰)상황이 된 거죠."]
놀란 어민들은 어선을 이용해 생존자를 구조하고 물에 빠진 시신을 섬으로 옮기는데 발벗고 나섰습니다.
세월호 사고는 곧 경제적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세월호 침몰때와 3년뒤 인양 작업 때 세월호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미역 양식장을 덮쳐 큰 피해를 봤기 때문입니다.
어민들은 피해 보상을 요구하며 정부를 상대로 해상 시위와 상경 시위까지 벌였지만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소명영/동거차도 주민 : "이제 일부 (빚을) 해결하는 사람은 했고, 그것이 누적이 돼 가지고 아직도 그게 꼬리를 물고 아직도 (빚을) 못 갚은 사람들 어민들도 있고…."]
무엇보다 큰 것은 마음의 상처.
하지만 상처 치유를 위해 육지에 나가 2~3번 심리치료를 받은 게 전부였습니다.
[차정록/동거차도 동막마을 어촌계장 : "(참사 당시) 이제 계속 인제 술이나 먹고 잠을 자고 그런 실정이었는데…. (심리)치료하러 왔는데 우리 돈을 내고 가서 치료를 하라고 그러더라고요. 그쪽(사고 해역)만 가면 또 그런 생각이 나고, 항상 그쪽을 또 우리가 (미역) 작업하러 가니까 그런 생각이 나죠."]
세월호 인명 구조에 나섰던 의인들이 겪었던 트라우마처럼 진도 동거차도 주민들의 마음의 상처 또한 여전히 치유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만 흘렀다’…동거차도 주민들의 신음
-
- 입력 2024-04-16 21:53:24
- 수정2024-04-16 22:34:05
[앵커]
세월호 사고 발생시 가장 가까이서 구조에 나선 이들은 한반도 서남쪽 작은 섬 진도의 동거차도 주민들이었는데요.
사고 최초의 목격자이자 피해자이기도 했던 동거차도 주민들의 삶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여전히 고통속에 있는 섬 주민들을 김광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월호 사고 해역에서 2KM 남짓 떨어진 진도군 조도면 동거차도.
세월호가 침몰한 맹골수도 해역은 주민들의 생계원인 미역 양식장 바로 앞입니다.
그날 역시 주민들은 양식장에서 미역을 수확하느라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었습니다.
[소명영/동거차도 주민 : "그때 당시에 미역 양식. 양식장이 뒤에 있다 보니깐, 채취하면서 미역 채취하고 있는데 그 배가 그렇게 점점 기울어가고 이렇게 떠오다가 그래서 이제 (침몰)상황이 된 거죠."]
놀란 어민들은 어선을 이용해 생존자를 구조하고 물에 빠진 시신을 섬으로 옮기는데 발벗고 나섰습니다.
세월호 사고는 곧 경제적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세월호 침몰때와 3년뒤 인양 작업 때 세월호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미역 양식장을 덮쳐 큰 피해를 봤기 때문입니다.
어민들은 피해 보상을 요구하며 정부를 상대로 해상 시위와 상경 시위까지 벌였지만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소명영/동거차도 주민 : "이제 일부 (빚을) 해결하는 사람은 했고, 그것이 누적이 돼 가지고 아직도 그게 꼬리를 물고 아직도 (빚을) 못 갚은 사람들 어민들도 있고…."]
무엇보다 큰 것은 마음의 상처.
하지만 상처 치유를 위해 육지에 나가 2~3번 심리치료를 받은 게 전부였습니다.
[차정록/동거차도 동막마을 어촌계장 : "(참사 당시) 이제 계속 인제 술이나 먹고 잠을 자고 그런 실정이었는데…. (심리)치료하러 왔는데 우리 돈을 내고 가서 치료를 하라고 그러더라고요. 그쪽(사고 해역)만 가면 또 그런 생각이 나고, 항상 그쪽을 또 우리가 (미역) 작업하러 가니까 그런 생각이 나죠."]
세월호 인명 구조에 나섰던 의인들이 겪었던 트라우마처럼 진도 동거차도 주민들의 마음의 상처 또한 여전히 치유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세월호 사고 발생시 가장 가까이서 구조에 나선 이들은 한반도 서남쪽 작은 섬 진도의 동거차도 주민들이었는데요.
사고 최초의 목격자이자 피해자이기도 했던 동거차도 주민들의 삶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여전히 고통속에 있는 섬 주민들을 김광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세월호 사고 해역에서 2KM 남짓 떨어진 진도군 조도면 동거차도.
세월호가 침몰한 맹골수도 해역은 주민들의 생계원인 미역 양식장 바로 앞입니다.
그날 역시 주민들은 양식장에서 미역을 수확하느라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었습니다.
[소명영/동거차도 주민 : "그때 당시에 미역 양식. 양식장이 뒤에 있다 보니깐, 채취하면서 미역 채취하고 있는데 그 배가 그렇게 점점 기울어가고 이렇게 떠오다가 그래서 이제 (침몰)상황이 된 거죠."]
놀란 어민들은 어선을 이용해 생존자를 구조하고 물에 빠진 시신을 섬으로 옮기는데 발벗고 나섰습니다.
세월호 사고는 곧 경제적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세월호 침몰때와 3년뒤 인양 작업 때 세월호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미역 양식장을 덮쳐 큰 피해를 봤기 때문입니다.
어민들은 피해 보상을 요구하며 정부를 상대로 해상 시위와 상경 시위까지 벌였지만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소명영/동거차도 주민 : "이제 일부 (빚을) 해결하는 사람은 했고, 그것이 누적이 돼 가지고 아직도 그게 꼬리를 물고 아직도 (빚을) 못 갚은 사람들 어민들도 있고…."]
무엇보다 큰 것은 마음의 상처.
하지만 상처 치유를 위해 육지에 나가 2~3번 심리치료를 받은 게 전부였습니다.
[차정록/동거차도 동막마을 어촌계장 : "(참사 당시) 이제 계속 인제 술이나 먹고 잠을 자고 그런 실정이었는데…. (심리)치료하러 왔는데 우리 돈을 내고 가서 치료를 하라고 그러더라고요. 그쪽(사고 해역)만 가면 또 그런 생각이 나고, 항상 그쪽을 또 우리가 (미역) 작업하러 가니까 그런 생각이 나죠."]
세월호 인명 구조에 나섰던 의인들이 겪었던 트라우마처럼 진도 동거차도 주민들의 마음의 상처 또한 여전히 치유되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광진입니다.
촬영기자:이우재
-
-
김광진 기자 powjnl@kbs.co.kr
김광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