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국에서 군함 건조 허용법 발의…한미 조선협력 속도
입력 2025.02.13 (00:59)
수정 2025.02.13 (01: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 해군 함정의 건조를 한국 등 동맹국에 맡기는 걸 허용하자는 법안이 미국 의회에서 발의됐습니다.
무섭게 함정 수를 늘리는 중국과의 경쟁에 맞서 동맹의 협조를 얻겠다는 차원입니다.
한미 조선 협력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해군 전력은 세계 최강이지만, 조선업계 인력난 등으로 함정 생산·보수 능력이 부족합니다.
건조보다 퇴역이 빠르다는 지적이 나온 지 오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미군 함정을 다른 나라에서 만들 수도 있다고 말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1월6일/당시 당선인 신분 : "우리는 다른 나라에 건조를 맡길 수 있고, 그렇게 해도 괜찮습니다. 우리는 준비가 될 때까지 그렇게 할 것입니다. 우리는 배도 없고, 독(건조부두)도 없습니다."]
미 의회에 트럼프의 의지를 담은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미국 내에서만 허용된 해군 함정 건조를 동맹국 조선소에도 맡길 수 있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함정 수를 급속히 늘리며 미국 턱밑까지 쫓아온 중국과의 해양 패권 경쟁에서 동맹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본 겁니다.
[최병일/이화여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1월26일/KBS 특별대담 : "미국의 조선업 생태계가 완전히 궤멸한 상태라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해군이 157척의 함정을 진수했는데 미군은 67척."]
해당 법안이 특정 국가를 명시하진 않았지만, 여러 조건에 맞춰 미군 함정을 건조할 역량이 있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 뿐입니다.
조선업계에선 기대 섞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 : "한국 조선사들이 굉장히 앞서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특히 미국이 원하는 성능이나 납기 품질 이런 측면에서 충분히 만족을 시킬 수 있을 걸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에서 "미국 조선업이 한국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지훈/자료조사:권애림
미 해군 함정의 건조를 한국 등 동맹국에 맡기는 걸 허용하자는 법안이 미국 의회에서 발의됐습니다.
무섭게 함정 수를 늘리는 중국과의 경쟁에 맞서 동맹의 협조를 얻겠다는 차원입니다.
한미 조선 협력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해군 전력은 세계 최강이지만, 조선업계 인력난 등으로 함정 생산·보수 능력이 부족합니다.
건조보다 퇴역이 빠르다는 지적이 나온 지 오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미군 함정을 다른 나라에서 만들 수도 있다고 말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1월6일/당시 당선인 신분 : "우리는 다른 나라에 건조를 맡길 수 있고, 그렇게 해도 괜찮습니다. 우리는 준비가 될 때까지 그렇게 할 것입니다. 우리는 배도 없고, 독(건조부두)도 없습니다."]
미 의회에 트럼프의 의지를 담은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미국 내에서만 허용된 해군 함정 건조를 동맹국 조선소에도 맡길 수 있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함정 수를 급속히 늘리며 미국 턱밑까지 쫓아온 중국과의 해양 패권 경쟁에서 동맹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본 겁니다.
[최병일/이화여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1월26일/KBS 특별대담 : "미국의 조선업 생태계가 완전히 궤멸한 상태라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해군이 157척의 함정을 진수했는데 미군은 67척."]
해당 법안이 특정 국가를 명시하진 않았지만, 여러 조건에 맞춰 미군 함정을 건조할 역량이 있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 뿐입니다.
조선업계에선 기대 섞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 : "한국 조선사들이 굉장히 앞서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특히 미국이 원하는 성능이나 납기 품질 이런 측면에서 충분히 만족을 시킬 수 있을 걸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에서 "미국 조선업이 한국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지훈/자료조사:권애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맹국에서 군함 건조 허용법 발의…한미 조선협력 속도
-
- 입력 2025-02-13 00:59:52
- 수정2025-02-13 01:16:45
![](/data/news/title_image/newsmp4/newsline/2025/02/12/150_8174637.jpg)
[앵커]
미 해군 함정의 건조를 한국 등 동맹국에 맡기는 걸 허용하자는 법안이 미국 의회에서 발의됐습니다.
무섭게 함정 수를 늘리는 중국과의 경쟁에 맞서 동맹의 협조를 얻겠다는 차원입니다.
한미 조선 협력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해군 전력은 세계 최강이지만, 조선업계 인력난 등으로 함정 생산·보수 능력이 부족합니다.
건조보다 퇴역이 빠르다는 지적이 나온 지 오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미군 함정을 다른 나라에서 만들 수도 있다고 말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1월6일/당시 당선인 신분 : "우리는 다른 나라에 건조를 맡길 수 있고, 그렇게 해도 괜찮습니다. 우리는 준비가 될 때까지 그렇게 할 것입니다. 우리는 배도 없고, 독(건조부두)도 없습니다."]
미 의회에 트럼프의 의지를 담은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미국 내에서만 허용된 해군 함정 건조를 동맹국 조선소에도 맡길 수 있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함정 수를 급속히 늘리며 미국 턱밑까지 쫓아온 중국과의 해양 패권 경쟁에서 동맹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본 겁니다.
[최병일/이화여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1월26일/KBS 특별대담 : "미국의 조선업 생태계가 완전히 궤멸한 상태라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해군이 157척의 함정을 진수했는데 미군은 67척."]
해당 법안이 특정 국가를 명시하진 않았지만, 여러 조건에 맞춰 미군 함정을 건조할 역량이 있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 뿐입니다.
조선업계에선 기대 섞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 : "한국 조선사들이 굉장히 앞서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특히 미국이 원하는 성능이나 납기 품질 이런 측면에서 충분히 만족을 시킬 수 있을 걸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에서 "미국 조선업이 한국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지훈/자료조사:권애림
미 해군 함정의 건조를 한국 등 동맹국에 맡기는 걸 허용하자는 법안이 미국 의회에서 발의됐습니다.
무섭게 함정 수를 늘리는 중국과의 경쟁에 맞서 동맹의 협조를 얻겠다는 차원입니다.
한미 조선 협력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김귀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해군 전력은 세계 최강이지만, 조선업계 인력난 등으로 함정 생산·보수 능력이 부족합니다.
건조보다 퇴역이 빠르다는 지적이 나온 지 오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미군 함정을 다른 나라에서 만들 수도 있다고 말해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지난 1월6일/당시 당선인 신분 : "우리는 다른 나라에 건조를 맡길 수 있고, 그렇게 해도 괜찮습니다. 우리는 준비가 될 때까지 그렇게 할 것입니다. 우리는 배도 없고, 독(건조부두)도 없습니다."]
미 의회에 트럼프의 의지를 담은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미국 내에서만 허용된 해군 함정 건조를 동맹국 조선소에도 맡길 수 있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함정 수를 급속히 늘리며 미국 턱밑까지 쫓아온 중국과의 해양 패권 경쟁에서 동맹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본 겁니다.
[최병일/이화여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1월26일/KBS 특별대담 : "미국의 조선업 생태계가 완전히 궤멸한 상태라서.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해군이 157척의 함정을 진수했는데 미군은 67척."]
해당 법안이 특정 국가를 명시하진 않았지만, 여러 조건에 맞춰 미군 함정을 건조할 역량이 있는 나라는 한국과 일본 뿐입니다.
조선업계에선 기대 섞인 전망이 나왔습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 : "한국 조선사들이 굉장히 앞서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특히 미국이 원하는 성능이나 납기 품질 이런 측면에서 충분히 만족을 시킬 수 있을 걸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에서 "미국 조선업이 한국의 도움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KBS 뉴스 김귀수입니다.
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지훈/자료조사:권애림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