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찬성 82% 반대 13%

입력 2025.02.19 (19:05) 수정 2025.02.20 (15: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지역민들에게 큰 상처를 남겼습니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광주공항에 임시 국제선을 띄우자는 목소리가 나왔고, 무안국제공항 시설 개선 요구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광주와 전남 지역민들의 생각도 물었습니다.

이어서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두 달 가까이 폐쇄 중인 무안국제공항.

다시 문을 열기까지 수 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안공항이 정상화될 때까지 광주공항에 국제선을 임시 운영하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물었습니다.

찬성 82%, 반대 13%로,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지역별로도 차이가 없었습니다.

광주와 전남 모두 찬성 여론이 각각 82%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무안에서는 찬성 여론이 71%로 광주 전남보다는 낮았습니다.

무안공항이 재개장하면 이용할 의향이 있는지도 물었습니다.

'있다'는 응답은 55%, '없다'는 42%로 조사됐고, 모름이나 응답거절은 3%였습니다.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도 물었습니다.

활주로 연장과 방위각 시설 등 기반 시설 개선이 28%로 가장 높았고, 광주민간공항과 통합 24%, 조류 충돌 예방 조치 강화 19%, 철도 등 공항 접근성 개선 확대가 11%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광주공항과 무안공항이 통합한다면 가장 적절한 이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습니다.

광주무안국제공항으로 변경하자는 응답이 40%, 무안국제공항 명칭 유지는 26%, 김대중국제공항은 13%, 무안광주국제공항 11% 등 순이었습니다.

광주무안국제공항이 적절하다는 응답은 광주와 전남에도 모두 1위였고, 광주가 46%, 전남은 35%로 광주가 다소 높았습니다.

반면, 무안에서는 무안국제공항 명칭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64%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번 조사는 KBS광주총국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광주와 전남은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무안은 13일부터 14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했습니다.

광주 전남에서는 천 6백 8명, 무안에서는 5백 6명이 답해, 응답률은 각각 14.7%와 14.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광주 전남이 ±2.4% 포인트, 무안이 ±4.4% 포인트입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광주·전남 조사개요]
조사기간: 2025년 2월 13~15일
표본추출: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조사대상: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608명
표본오차: ±2.4%포인트(95% 신뢰수준)
가중값 산출 및 적용: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2025년 1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접촉률: 42.7%(전체 투입 유효 번호 대비 통화 연결)
응답률: 14.7%(총 통화 10,950명 중 1,608명 응답 완료)
의뢰처: KBS광주방송총국
조사기관: 한국갤럽(Gallup Korea)
질문내용: 정당 지지도, 대선 후보 선호도, 지역 현안 등

[무안 조사개요]
조사기간: 2025년 2월 13~14일
표본추출: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조사대상: 무안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506명
표본오차: ±4.4%포인트(95% 신뢰수준)
가중값 산출 및 적용: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2025년 1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접촉률: 45.7%(전체 투입 유효 번호 대비 통화 연결)
응답률: 14.8%(총 통화 3,411명 중 506명 응답 완료)
의뢰처: KBS광주방송총국
조사기관: 한국갤럽(Gallup Korea)
질문내용: 정당 지지도, 대선 후보 선호도, 지역 현안 등

[다운로드] 한국갤럽 결과집계표_광주, 전남 지역 현안조사_전체[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5/02/20250219_1lbl33.pdf
[다운로드] 한국갤럽 결과집계표_전남 무안군 지역 현안조사_0219[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5/02/20250219_eVvj41.pdf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론조사] 광주공항 ‘임시 국제선’ 찬성 82% 반대 13%
    • 입력 2025-02-19 19:05:34
    • 수정2025-02-20 15:24:41
    뉴스7(광주)
[앵커]

보신 것처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지역민들에게 큰 상처를 남겼습니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광주공항에 임시 국제선을 띄우자는 목소리가 나왔고, 무안국제공항 시설 개선 요구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광주와 전남 지역민들의 생각도 물었습니다.

이어서 김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두 달 가까이 폐쇄 중인 무안국제공항.

다시 문을 열기까지 수 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안공항이 정상화될 때까지 광주공항에 국제선을 임시 운영하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물었습니다.

찬성 82%, 반대 13%로,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지역별로도 차이가 없었습니다.

광주와 전남 모두 찬성 여론이 각각 82%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무안에서는 찬성 여론이 71%로 광주 전남보다는 낮았습니다.

무안공항이 재개장하면 이용할 의향이 있는지도 물었습니다.

'있다'는 응답은 55%, '없다'는 42%로 조사됐고, 모름이나 응답거절은 3%였습니다.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도 물었습니다.

활주로 연장과 방위각 시설 등 기반 시설 개선이 28%로 가장 높았고, 광주민간공항과 통합 24%, 조류 충돌 예방 조치 강화 19%, 철도 등 공항 접근성 개선 확대가 11%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광주공항과 무안공항이 통합한다면 가장 적절한 이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습니다.

광주무안국제공항으로 변경하자는 응답이 40%, 무안국제공항 명칭 유지는 26%, 김대중국제공항은 13%, 무안광주국제공항 11% 등 순이었습니다.

광주무안국제공항이 적절하다는 응답은 광주와 전남에도 모두 1위였고, 광주가 46%, 전남은 35%로 광주가 다소 높았습니다.

반면, 무안에서는 무안국제공항 명칭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64%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번 조사는 KBS광주총국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광주와 전남은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무안은 13일부터 14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했습니다.

광주 전남에서는 천 6백 8명, 무안에서는 5백 6명이 답해, 응답률은 각각 14.7%와 14.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광주 전남이 ±2.4% 포인트, 무안이 ±4.4% 포인트입니다.

KBS 뉴스 김호입니다.

[광주·전남 조사개요]
조사기간: 2025년 2월 13~15일
표본추출: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조사대상: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608명
표본오차: ±2.4%포인트(95% 신뢰수준)
가중값 산출 및 적용: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2025년 1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접촉률: 42.7%(전체 투입 유효 번호 대비 통화 연결)
응답률: 14.7%(총 통화 10,950명 중 1,608명 응답 완료)
의뢰처: KBS광주방송총국
조사기관: 한국갤럽(Gallup Korea)
질문내용: 정당 지지도, 대선 후보 선호도, 지역 현안 등

[무안 조사개요]
조사기간: 2025년 2월 13~14일
표본추출: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
응답방식: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조사대상: 무안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506명
표본오차: ±4.4%포인트(95% 신뢰수준)
가중값 산출 및 적용: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치 부여(셀가중)
(2025년 1월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
접촉률: 45.7%(전체 투입 유효 번호 대비 통화 연결)
응답률: 14.8%(총 통화 3,411명 중 506명 응답 완료)
의뢰처: KBS광주방송총국
조사기관: 한국갤럽(Gallup Korea)
질문내용: 정당 지지도, 대선 후보 선호도, 지역 현안 등

[다운로드] 한국갤럽 결과집계표_광주, 전남 지역 현안조사_전체[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5/02/20250219_1lbl33.pdf
[다운로드] 한국갤럽 결과집계표_전남 무안군 지역 현안조사_0219[PDF]
https://news.kbs.co.kr/datafile/2025/02/20250219_eVvj41.pdf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