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우크라전 3년간 1천만 명 피란…200만 채 부서져”
입력 2025.02.20 (00:46)
수정 2025.02.20 (00: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는 24일로 발발 3년을 맞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체 우크라이나 인구의 4분의 1가량이 원래 살던 집을 떠났고 집 200만 채가 부서진 것으로 유엔이 파악했습니다.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2022년 2월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는 1천60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습니다. 전쟁 이전 인구의 25%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피란민 가운데 690만 명은 난민으로, 유럽 내 인접국을 비롯한 타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고 UNHCR은 전했습니다. 나머지는 국내 실향민입니다.
피란민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UNHCR은 “최근 6개월간 공습이 집중됐던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만 20만 명 넘는 사람들이 집을 떠났다”고 설명했습니다.
3년간 부서지거나 손상된 가옥 수는 200만 채로, 전체 주택 수의 10%에 해당합니다.
UNHCR은 “에너지 기반 시설이 반복적으로 공습에 노출되면서 주민을 추위와 어둠 속에 몰아넣었고 취약층은 집단 보호시설에 여전히 머무는 실정”이라며 “가족 분리 등으로 정신건강에 문제를 지닌 어린이가 150만 명에 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주민들의 경제적 사정도 갈수록 악화하는 양상입니다.
비쇼프 에베센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유럽 국장은 “우크라이나 물가는 지난해 10월과 비교해도 50% 상승했다”며 “여전히 교전 중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80%는 인도적 수요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종전 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끝나도 대규모 인도적 수요는 줄지 않을 것”이라며 “유럽의 일부 수용국이 정책을 바꾸면서 난민이 어려운 선택을 앞둔 경우도 많다. 기부국과 수용국의 관대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2022년 2월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는 1천60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습니다. 전쟁 이전 인구의 25%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피란민 가운데 690만 명은 난민으로, 유럽 내 인접국을 비롯한 타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고 UNHCR은 전했습니다. 나머지는 국내 실향민입니다.
피란민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UNHCR은 “최근 6개월간 공습이 집중됐던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만 20만 명 넘는 사람들이 집을 떠났다”고 설명했습니다.
3년간 부서지거나 손상된 가옥 수는 200만 채로, 전체 주택 수의 10%에 해당합니다.
UNHCR은 “에너지 기반 시설이 반복적으로 공습에 노출되면서 주민을 추위와 어둠 속에 몰아넣었고 취약층은 집단 보호시설에 여전히 머무는 실정”이라며 “가족 분리 등으로 정신건강에 문제를 지닌 어린이가 150만 명에 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주민들의 경제적 사정도 갈수록 악화하는 양상입니다.
비쇼프 에베센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유럽 국장은 “우크라이나 물가는 지난해 10월과 비교해도 50% 상승했다”며 “여전히 교전 중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80%는 인도적 수요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종전 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끝나도 대규모 인도적 수요는 줄지 않을 것”이라며 “유럽의 일부 수용국이 정책을 바꾸면서 난민이 어려운 선택을 앞둔 경우도 많다. 기부국과 수용국의 관대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엔 “우크라전 3년간 1천만 명 피란…200만 채 부서져”
-
- 입력 2025-02-20 00:46:53
- 수정2025-02-20 00:47:04

오는 24일로 발발 3년을 맞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체 우크라이나 인구의 4분의 1가량이 원래 살던 집을 떠났고 집 200만 채가 부서진 것으로 유엔이 파악했습니다.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2022년 2월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는 1천60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습니다. 전쟁 이전 인구의 25%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피란민 가운데 690만 명은 난민으로, 유럽 내 인접국을 비롯한 타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고 UNHCR은 전했습니다. 나머지는 국내 실향민입니다.
피란민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UNHCR은 “최근 6개월간 공습이 집중됐던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만 20만 명 넘는 사람들이 집을 떠났다”고 설명했습니다.
3년간 부서지거나 손상된 가옥 수는 200만 채로, 전체 주택 수의 10%에 해당합니다.
UNHCR은 “에너지 기반 시설이 반복적으로 공습에 노출되면서 주민을 추위와 어둠 속에 몰아넣었고 취약층은 집단 보호시설에 여전히 머무는 실정”이라며 “가족 분리 등으로 정신건강에 문제를 지닌 어린이가 150만 명에 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주민들의 경제적 사정도 갈수록 악화하는 양상입니다.
비쇼프 에베센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유럽 국장은 “우크라이나 물가는 지난해 10월과 비교해도 50% 상승했다”며 “여전히 교전 중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80%는 인도적 수요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종전 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끝나도 대규모 인도적 수요는 줄지 않을 것”이라며 “유럽의 일부 수용국이 정책을 바꾸면서 난민이 어려운 선택을 앞둔 경우도 많다. 기부국과 수용국의 관대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2022년 2월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는 1천60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습니다. 전쟁 이전 인구의 25%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피란민 가운데 690만 명은 난민으로, 유럽 내 인접국을 비롯한 타 국가에 거주하고 있다고 UNHCR은 전했습니다. 나머지는 국내 실향민입니다.
피란민은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UNHCR은 “최근 6개월간 공습이 집중됐던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만 20만 명 넘는 사람들이 집을 떠났다”고 설명했습니다.
3년간 부서지거나 손상된 가옥 수는 200만 채로, 전체 주택 수의 10%에 해당합니다.
UNHCR은 “에너지 기반 시설이 반복적으로 공습에 노출되면서 주민을 추위와 어둠 속에 몰아넣었고 취약층은 집단 보호시설에 여전히 머무는 실정”이라며 “가족 분리 등으로 정신건강에 문제를 지닌 어린이가 150만 명에 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주민들의 경제적 사정도 갈수록 악화하는 양상입니다.
비쇼프 에베센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유럽 국장은 “우크라이나 물가는 지난해 10월과 비교해도 50% 상승했다”며 “여전히 교전 중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80%는 인도적 수요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종전 협정이 체결돼 전쟁이 끝나도 대규모 인도적 수요는 줄지 않을 것”이라며 “유럽의 일부 수용국이 정책을 바꾸면서 난민이 어려운 선택을 앞둔 경우도 많다. 기부국과 수용국의 관대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유동엽 기자 imhere@kbs.co.kr
유동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울지마 키이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