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인터뷰] ‘역대 최악의 산불’…산불 대피 어떻게?

입력 2025.03.27 (19:22) 수정 2025.03.27 (1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산불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인명 피해도 속출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전보건대 재난소방·건설안전학과 김동은 교수 모시고 산불 발생 시 대응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중대본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사상자가 56명으로 집계가 됐는데요.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87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이렇게 인명 피해가 커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가 산불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 더 피해를 키우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상황별로 대처법을 알아보죠.

먼저, 산불은 초기 대응이 중요하지 않습니까?

우리가 산불이 난 걸 발견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앵커]

그렇다면, 산을 오르내리다가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산 옆 도로에서 주행 중에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산불 예방을 위해 아예 ‘입산도 하지 마라’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요.

화재 예방을 위해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인터뷰] ‘역대 최악의 산불’…산불 대피 어떻게?
    • 입력 2025-03-27 19:22:32
    • 수정2025-03-27 19:59:13
    뉴스7(대전)
[앵커]

산불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인명 피해도 속출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전보건대 재난소방·건설안전학과 김동은 교수 모시고 산불 발생 시 대응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중대본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사상자가 56명으로 집계가 됐는데요.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87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이렇게 인명 피해가 커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가 산불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 더 피해를 키우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상황별로 대처법을 알아보죠.

먼저, 산불은 초기 대응이 중요하지 않습니까?

우리가 산불이 난 걸 발견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앵커]

그렇다면, 산을 오르내리다가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산 옆 도로에서 주행 중에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산불 예방을 위해 아예 ‘입산도 하지 마라’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요.

화재 예방을 위해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