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인터뷰] ‘역대 최악의 산불’…산불 대피 어떻게?
입력 2025.03.27 (19:22)
수정 2025.03.27 (1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산불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인명 피해도 속출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전보건대 재난소방·건설안전학과 김동은 교수 모시고 산불 발생 시 대응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중대본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사상자가 56명으로 집계가 됐는데요.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87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이렇게 인명 피해가 커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가 산불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 더 피해를 키우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상황별로 대처법을 알아보죠.
먼저, 산불은 초기 대응이 중요하지 않습니까?
우리가 산불이 난 걸 발견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앵커]
그렇다면, 산을 오르내리다가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산 옆 도로에서 주행 중에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산불 예방을 위해 아예 ‘입산도 하지 마라’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요.
화재 예방을 위해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산불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인명 피해도 속출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전보건대 재난소방·건설안전학과 김동은 교수 모시고 산불 발생 시 대응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중대본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사상자가 56명으로 집계가 됐는데요.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87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이렇게 인명 피해가 커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가 산불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 더 피해를 키우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상황별로 대처법을 알아보죠.
먼저, 산불은 초기 대응이 중요하지 않습니까?
우리가 산불이 난 걸 발견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앵커]
그렇다면, 산을 오르내리다가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산 옆 도로에서 주행 중에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산불 예방을 위해 아예 ‘입산도 하지 마라’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요.
화재 예방을 위해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인터뷰] ‘역대 최악의 산불’…산불 대피 어떻게?
-
- 입력 2025-03-27 19:22:32
- 수정2025-03-27 19:59:13

[앵커]
산불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인명 피해도 속출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전보건대 재난소방·건설안전학과 김동은 교수 모시고 산불 발생 시 대응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중대본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사상자가 56명으로 집계가 됐는데요.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87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이렇게 인명 피해가 커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가 산불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 더 피해를 키우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상황별로 대처법을 알아보죠.
먼저, 산불은 초기 대응이 중요하지 않습니까?
우리가 산불이 난 걸 발견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앵커]
그렇다면, 산을 오르내리다가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산 옆 도로에서 주행 중에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산불 예방을 위해 아예 ‘입산도 하지 마라’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요.
화재 예방을 위해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산불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인명 피해도 속출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대전보건대 재난소방·건설안전학과 김동은 교수 모시고 산불 발생 시 대응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중대본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사상자가 56명으로 집계가 됐는데요.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87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이렇게 인명 피해가 커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앵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우리가 산불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잘 몰라서 더 피해를 키우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상황별로 대처법을 알아보죠.
먼저, 산불은 초기 대응이 중요하지 않습니까?
우리가 산불이 난 걸 발견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앵커]
그렇다면, 산을 오르내리다가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산 옆 도로에서 주행 중에 산불을 마주했을 때는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산불 예방을 위해 아예 ‘입산도 하지 마라’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요.
화재 예방을 위해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재난사태 선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