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은 꺼졌지만”…27일 새벽 영덕 달려간 소방관이 남긴 말 [이런뉴스]
입력 2025.04.13 (07:00)
수정 2025.04.13 (0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소방동원령 발령으로 인천에서 경북 영덕군으로 급파된 계양소방서 김동석 소방위.
영덕에 도착했던 지난달 27일 아침 상황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여러 채의 집들이 동시에 다 불타서 무너져 있고 집 앞에 세워져 있는 어떤 차들 다 불에 타 있거나 아니면 이제 고온에 차가 막 녹아 있거나... 하루아침에 이제 이렇게 바뀔 수 있다는 게 좀 많이 참담하더라고요."
주불은 잡혔지만, 바람이 강한 게 문제였습니다.
축사들을 돌며, 가축의 분뇨와 짚더미에 붙은 잔불을 하나하나 헤집었습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공기가 공급이 되면서 갑자기 또 불꽃이 일어나요. 그러면 물을 뿌립니다. 거기 뒤집었으니까 그 안쪽에 또 뒤집어 보면 똑같은 상황이에요. 한 3시간 4시간을 계속 갈퀴 작업을 하는 거예요"
잔불이라 해도 뿜어져 나오는 연기는 사람 키만했다고 합니다.
쉴 새 없이 볏짚단을 뒤집느라 팔에 힘이 빠졌고, 무거운 장화가 다리를 잡아 끌었지만,
더 힘든 건 주어진 임무 때문에 도움을 청하는 주민들을 돕지 못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집 안에 어디가 불이 났다. 이런 식으로 와서 불 꺼주세요 하는데 저희는 '지금 출동 지령을 받고 다른 현장을 가고 있으니까 갈 수가 없다. 119에 신고하시면 즉시 출동을 나갈 겁니다'라고 말씀을 드렸더니 '핸드폰이 안 터져요'라고"
"정말 죄송한데 저희가 지금 다른 지령을 받고 나가고 있어서 도와드릴 수 없으니까"
아침부터 시작한 진화 작업은 다음 날 새벽 2시까지 이어졌고, 3시간의 짧은 휴식 뒤 다시 현장에 투입됐습니다.
그토록 간절히 바랐던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불이 잡혔지만...
피해 주민을 뒤로 하고 복귀해야 하는 마음은 착잡했습니다.
"소방관은 어쨌든 불을 끄고 그 불이 꺼지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데 여전히 현장에는 비록 그 불씨는 꺼졌지만 그 곳에서 다시 생계를 이어가실 국민분들은 정말 암담하실 것 같아요."
17년 차 소방대원인 자신도 이렇게 오래 진행된 산불은 처음이었다며,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하고, 산불 진화와 관련해 미비점이 보완됐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고해람입니다.
(사진, 영상 제공: 인천 계양소방서)
영덕에 도착했던 지난달 27일 아침 상황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여러 채의 집들이 동시에 다 불타서 무너져 있고 집 앞에 세워져 있는 어떤 차들 다 불에 타 있거나 아니면 이제 고온에 차가 막 녹아 있거나... 하루아침에 이제 이렇게 바뀔 수 있다는 게 좀 많이 참담하더라고요."
주불은 잡혔지만, 바람이 강한 게 문제였습니다.
축사들을 돌며, 가축의 분뇨와 짚더미에 붙은 잔불을 하나하나 헤집었습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공기가 공급이 되면서 갑자기 또 불꽃이 일어나요. 그러면 물을 뿌립니다. 거기 뒤집었으니까 그 안쪽에 또 뒤집어 보면 똑같은 상황이에요. 한 3시간 4시간을 계속 갈퀴 작업을 하는 거예요"
잔불이라 해도 뿜어져 나오는 연기는 사람 키만했다고 합니다.
쉴 새 없이 볏짚단을 뒤집느라 팔에 힘이 빠졌고, 무거운 장화가 다리를 잡아 끌었지만,
더 힘든 건 주어진 임무 때문에 도움을 청하는 주민들을 돕지 못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집 안에 어디가 불이 났다. 이런 식으로 와서 불 꺼주세요 하는데 저희는 '지금 출동 지령을 받고 다른 현장을 가고 있으니까 갈 수가 없다. 119에 신고하시면 즉시 출동을 나갈 겁니다'라고 말씀을 드렸더니 '핸드폰이 안 터져요'라고"
"정말 죄송한데 저희가 지금 다른 지령을 받고 나가고 있어서 도와드릴 수 없으니까"
아침부터 시작한 진화 작업은 다음 날 새벽 2시까지 이어졌고, 3시간의 짧은 휴식 뒤 다시 현장에 투입됐습니다.
그토록 간절히 바랐던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불이 잡혔지만...
피해 주민을 뒤로 하고 복귀해야 하는 마음은 착잡했습니다.
"소방관은 어쨌든 불을 끄고 그 불이 꺼지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데 여전히 현장에는 비록 그 불씨는 꺼졌지만 그 곳에서 다시 생계를 이어가실 국민분들은 정말 암담하실 것 같아요."
17년 차 소방대원인 자신도 이렇게 오래 진행된 산불은 처음이었다며,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하고, 산불 진화와 관련해 미비점이 보완됐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고해람입니다.
(사진, 영상 제공: 인천 계양소방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은 꺼졌지만”…27일 새벽 영덕 달려간 소방관이 남긴 말 [이런뉴스]
-
- 입력 2025-04-13 07:00:54
- 수정2025-04-13 07:56:52

국가소방동원령 발령으로 인천에서 경북 영덕군으로 급파된 계양소방서 김동석 소방위.
영덕에 도착했던 지난달 27일 아침 상황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여러 채의 집들이 동시에 다 불타서 무너져 있고 집 앞에 세워져 있는 어떤 차들 다 불에 타 있거나 아니면 이제 고온에 차가 막 녹아 있거나... 하루아침에 이제 이렇게 바뀔 수 있다는 게 좀 많이 참담하더라고요."
주불은 잡혔지만, 바람이 강한 게 문제였습니다.
축사들을 돌며, 가축의 분뇨와 짚더미에 붙은 잔불을 하나하나 헤집었습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공기가 공급이 되면서 갑자기 또 불꽃이 일어나요. 그러면 물을 뿌립니다. 거기 뒤집었으니까 그 안쪽에 또 뒤집어 보면 똑같은 상황이에요. 한 3시간 4시간을 계속 갈퀴 작업을 하는 거예요"
잔불이라 해도 뿜어져 나오는 연기는 사람 키만했다고 합니다.
쉴 새 없이 볏짚단을 뒤집느라 팔에 힘이 빠졌고, 무거운 장화가 다리를 잡아 끌었지만,
더 힘든 건 주어진 임무 때문에 도움을 청하는 주민들을 돕지 못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집 안에 어디가 불이 났다. 이런 식으로 와서 불 꺼주세요 하는데 저희는 '지금 출동 지령을 받고 다른 현장을 가고 있으니까 갈 수가 없다. 119에 신고하시면 즉시 출동을 나갈 겁니다'라고 말씀을 드렸더니 '핸드폰이 안 터져요'라고"
"정말 죄송한데 저희가 지금 다른 지령을 받고 나가고 있어서 도와드릴 수 없으니까"
아침부터 시작한 진화 작업은 다음 날 새벽 2시까지 이어졌고, 3시간의 짧은 휴식 뒤 다시 현장에 투입됐습니다.
그토록 간절히 바랐던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불이 잡혔지만...
피해 주민을 뒤로 하고 복귀해야 하는 마음은 착잡했습니다.
"소방관은 어쨌든 불을 끄고 그 불이 꺼지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데 여전히 현장에는 비록 그 불씨는 꺼졌지만 그 곳에서 다시 생계를 이어가실 국민분들은 정말 암담하실 것 같아요."
17년 차 소방대원인 자신도 이렇게 오래 진행된 산불은 처음이었다며,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하고, 산불 진화와 관련해 미비점이 보완됐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고해람입니다.
(사진, 영상 제공: 인천 계양소방서)
영덕에 도착했던 지난달 27일 아침 상황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여러 채의 집들이 동시에 다 불타서 무너져 있고 집 앞에 세워져 있는 어떤 차들 다 불에 타 있거나 아니면 이제 고온에 차가 막 녹아 있거나... 하루아침에 이제 이렇게 바뀔 수 있다는 게 좀 많이 참담하더라고요."
주불은 잡혔지만, 바람이 강한 게 문제였습니다.
축사들을 돌며, 가축의 분뇨와 짚더미에 붙은 잔불을 하나하나 헤집었습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공기가 공급이 되면서 갑자기 또 불꽃이 일어나요. 그러면 물을 뿌립니다. 거기 뒤집었으니까 그 안쪽에 또 뒤집어 보면 똑같은 상황이에요. 한 3시간 4시간을 계속 갈퀴 작업을 하는 거예요"
잔불이라 해도 뿜어져 나오는 연기는 사람 키만했다고 합니다.
쉴 새 없이 볏짚단을 뒤집느라 팔에 힘이 빠졌고, 무거운 장화가 다리를 잡아 끌었지만,
더 힘든 건 주어진 임무 때문에 도움을 청하는 주민들을 돕지 못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김동석/인천계양소방서 소방위]
"집 안에 어디가 불이 났다. 이런 식으로 와서 불 꺼주세요 하는데 저희는 '지금 출동 지령을 받고 다른 현장을 가고 있으니까 갈 수가 없다. 119에 신고하시면 즉시 출동을 나갈 겁니다'라고 말씀을 드렸더니 '핸드폰이 안 터져요'라고"
"정말 죄송한데 저희가 지금 다른 지령을 받고 나가고 있어서 도와드릴 수 없으니까"
아침부터 시작한 진화 작업은 다음 날 새벽 2시까지 이어졌고, 3시간의 짧은 휴식 뒤 다시 현장에 투입됐습니다.
그토록 간절히 바랐던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불이 잡혔지만...
피해 주민을 뒤로 하고 복귀해야 하는 마음은 착잡했습니다.
"소방관은 어쨌든 불을 끄고 그 불이 꺼지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데 여전히 현장에는 비록 그 불씨는 꺼졌지만 그 곳에서 다시 생계를 이어가실 국민분들은 정말 암담하실 것 같아요."
17년 차 소방대원인 자신도 이렇게 오래 진행된 산불은 처음이었다며,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하고, 산불 진화와 관련해 미비점이 보완됐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고해람입니다.
(사진, 영상 제공: 인천 계양소방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피해 복구 총력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