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톡] 제주 첫 장애인 체육대회…성과와 과제는?
입력 2025.04.14 (19:34)
수정 2025.04.14 (2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지난 주말 동안 열린 '제1회 제주도 장애인체육대회' 소식을 알아 보겠습니다.
22개 종목, 2,000여 명의 선수단이 사흘 동안 치열한 경기를 펼쳤는데요.
이번 대회는 도민체전 장애인부에서 독립해 처음 개최된 행사여서 그 의미를 더했습니다.
김철희 제주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사무처장님, 안녕하세요.
도민체전에서 분리해서 처음으로 치른 장애인체육대회, 총평을 좀 해주신다면요?
[앵커]
이번 체전을 통해 장애인선수를 위한 전문적인 대회 운영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됐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게 느끼셨나요?
[앵커]
아무래도 첫 대회다 보니 시행착오나 이런 저런 부족한 점 등도 눈에 띄었을 것 같은데, 혹시 내년도 제2회 장애인체전 준비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었을까요?
[앵커]
제1회 장애인체전 개최를 계기로 장애인 체육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선 어떤 지원과 뒷받침이 필요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장애인 체육은 단순한 신체 활동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을 것 같은데, 어떤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될까요?
[앵커]
네, 앞으로도 장애인 체육 활성화를 위해 힘써주시길 바라면서,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에는 지난 주말 동안 열린 '제1회 제주도 장애인체육대회' 소식을 알아 보겠습니다.
22개 종목, 2,000여 명의 선수단이 사흘 동안 치열한 경기를 펼쳤는데요.
이번 대회는 도민체전 장애인부에서 독립해 처음 개최된 행사여서 그 의미를 더했습니다.
김철희 제주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사무처장님, 안녕하세요.
도민체전에서 분리해서 처음으로 치른 장애인체육대회, 총평을 좀 해주신다면요?
[앵커]
이번 체전을 통해 장애인선수를 위한 전문적인 대회 운영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됐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게 느끼셨나요?
[앵커]
아무래도 첫 대회다 보니 시행착오나 이런 저런 부족한 점 등도 눈에 띄었을 것 같은데, 혹시 내년도 제2회 장애인체전 준비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었을까요?
[앵커]
제1회 장애인체전 개최를 계기로 장애인 체육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선 어떤 지원과 뒷받침이 필요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장애인 체육은 단순한 신체 활동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을 것 같은데, 어떤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될까요?
[앵커]
네, 앞으로도 장애인 체육 활성화를 위해 힘써주시길 바라면서,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톡] 제주 첫 장애인 체육대회…성과와 과제는?
-
- 입력 2025-04-14 19:34:27
- 수정2025-04-14 20:10:09

[앵커]
이번에는 지난 주말 동안 열린 '제1회 제주도 장애인체육대회' 소식을 알아 보겠습니다.
22개 종목, 2,000여 명의 선수단이 사흘 동안 치열한 경기를 펼쳤는데요.
이번 대회는 도민체전 장애인부에서 독립해 처음 개최된 행사여서 그 의미를 더했습니다.
김철희 제주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사무처장님, 안녕하세요.
도민체전에서 분리해서 처음으로 치른 장애인체육대회, 총평을 좀 해주신다면요?
[앵커]
이번 체전을 통해 장애인선수를 위한 전문적인 대회 운영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됐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게 느끼셨나요?
[앵커]
아무래도 첫 대회다 보니 시행착오나 이런 저런 부족한 점 등도 눈에 띄었을 것 같은데, 혹시 내년도 제2회 장애인체전 준비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었을까요?
[앵커]
제1회 장애인체전 개최를 계기로 장애인 체육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선 어떤 지원과 뒷받침이 필요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장애인 체육은 단순한 신체 활동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을 것 같은데, 어떤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될까요?
[앵커]
네, 앞으로도 장애인 체육 활성화를 위해 힘써주시길 바라면서,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에는 지난 주말 동안 열린 '제1회 제주도 장애인체육대회' 소식을 알아 보겠습니다.
22개 종목, 2,000여 명의 선수단이 사흘 동안 치열한 경기를 펼쳤는데요.
이번 대회는 도민체전 장애인부에서 독립해 처음 개최된 행사여서 그 의미를 더했습니다.
김철희 제주장애인체육회 사무처장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사무처장님, 안녕하세요.
도민체전에서 분리해서 처음으로 치른 장애인체육대회, 총평을 좀 해주신다면요?
[앵커]
이번 체전을 통해 장애인선수를 위한 전문적인 대회 운영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됐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게 느끼셨나요?
[앵커]
아무래도 첫 대회다 보니 시행착오나 이런 저런 부족한 점 등도 눈에 띄었을 것 같은데, 혹시 내년도 제2회 장애인체전 준비를 위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었을까요?
[앵커]
제1회 장애인체전 개최를 계기로 장애인 체육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선 어떤 지원과 뒷받침이 필요할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장애인 체육은 단순한 신체 활동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을 것 같은데, 어떤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될까요?
[앵커]
네, 앞으로도 장애인 체육 활성화를 위해 힘써주시길 바라면서,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