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로 캠핑장으로…방치된 폐교 활용안 공모

입력 2025.05.23 (23:01) 수정 2025.05.23 (23: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학령인구가 빠르게 줄면서 문 닫는 학교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폐교를 재활용하려는 시도는 더디고 방치되는 학교는 늘고 있는데요.

충남교육청이 지역 자산으로 되살릴 방법을 찾기 위해 아이디어 공개 모집에 나섰습니다

박병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문을 지나자 화사한 조경 사이로 세련된 단층 건물이 눈에 들어옵니다.

옛 교실 마루가 그대로 남은 실내는 열대 식물과 어우러져 이국적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학생 수 감소로 문 닫은 학교를 마을회가 매입한 뒤 4년 전 지역 출신 청년에게 임대하면서 변화가 시작됐습니다.

[조아름·허태현/경기도 안양시 : "폐교라서 공간이 버려져 있을 수도 있는데 이렇게 좀 예쁘게 꾸며 놓고 나니까 저희도 뭐 관광객으로서 오면 공간도 여유롭고."]

SNS를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카페로 떠올랐고,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해수/카페 대표 : "(주민들이) 마을에 활기도 돌고 또 이렇게 아름답게 정돈된 모습으로 있는 것도 너무 좋다고 말씀해 주셔서 저희가 더 열심히 하게 되는 것 같아요."]

6년 전 문을 닫은 홍성의 이 학교는 체험형 재난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임광섭/홍성교육지원청 교육장 : "학생, 학부모, 교직원, 지역 주민 등 (연간) 총 만여 명이 방문하면서 체험 중심 복합 교육 공간으로..."]

모든 학교가 재활용법을 찾은 건 아닙니다.

현재 폐교 상태로 방치된 학교는 충남에만 29곳, 이 중 8곳이 올해 문을 닫았습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폐교가 빠르게 늘 것으로 예상되자 교육 당국이 활용 아이디어를 공개 모집하기로 했습니다.

[현미영/충남교육청 재무과장 : "(충남교육청) 누리집을 통해서 폐교 재산에 대한 현황이나 매각 방법 등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상시 활용 협의가 가능하니까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문의주시면..."]

폐교는 교육이나 사회복지, 공공 체육이나 마을 소득 증대 시설 등으로만 활용할 수 있으며 향락이나 혐오, 환경오염 시설은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카페로 캠핑장으로…방치된 폐교 활용안 공모
    • 입력 2025-05-23 23:01:51
    • 수정2025-05-23 23:07:55
    뉴스9(대전)
[앵커]

학령인구가 빠르게 줄면서 문 닫는 학교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폐교를 재활용하려는 시도는 더디고 방치되는 학교는 늘고 있는데요.

충남교육청이 지역 자산으로 되살릴 방법을 찾기 위해 아이디어 공개 모집에 나섰습니다

박병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문을 지나자 화사한 조경 사이로 세련된 단층 건물이 눈에 들어옵니다.

옛 교실 마루가 그대로 남은 실내는 열대 식물과 어우러져 이국적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학생 수 감소로 문 닫은 학교를 마을회가 매입한 뒤 4년 전 지역 출신 청년에게 임대하면서 변화가 시작됐습니다.

[조아름·허태현/경기도 안양시 : "폐교라서 공간이 버려져 있을 수도 있는데 이렇게 좀 예쁘게 꾸며 놓고 나니까 저희도 뭐 관광객으로서 오면 공간도 여유롭고."]

SNS를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카페로 떠올랐고,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해수/카페 대표 : "(주민들이) 마을에 활기도 돌고 또 이렇게 아름답게 정돈된 모습으로 있는 것도 너무 좋다고 말씀해 주셔서 저희가 더 열심히 하게 되는 것 같아요."]

6년 전 문을 닫은 홍성의 이 학교는 체험형 재난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임광섭/홍성교육지원청 교육장 : "학생, 학부모, 교직원, 지역 주민 등 (연간) 총 만여 명이 방문하면서 체험 중심 복합 교육 공간으로..."]

모든 학교가 재활용법을 찾은 건 아닙니다.

현재 폐교 상태로 방치된 학교는 충남에만 29곳, 이 중 8곳이 올해 문을 닫았습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폐교가 빠르게 늘 것으로 예상되자 교육 당국이 활용 아이디어를 공개 모집하기로 했습니다.

[현미영/충남교육청 재무과장 : "(충남교육청) 누리집을 통해서 폐교 재산에 대한 현황이나 매각 방법 등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상시 활용 협의가 가능하니까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문의주시면..."]

폐교는 교육이나 사회복지, 공공 체육이나 마을 소득 증대 시설 등으로만 활용할 수 있으며 향락이나 혐오, 환경오염 시설은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