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 대응 ‘비수도권 거점 특례시’…여순광 통합 추진되나?

입력 2025.06.17 (09:56) 수정 2025.06.17 (10: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롭게 출범한 정부의 중요 과제로 국토 균형발전과 지역 소멸 대응이 꼽힙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역 소멸 대응을 위한 공약으로 비수도권 거점 특례시 지정과 이를 위한 지역 통합을 제시하면서 전남에서는 여수와 순천, 광양의 통합 논의가 재점화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구 백만 명 이상의 수원과 창원 등 5곳은 특례시입니다.

물류단지나 관광특구 지정, 농지전용 허가 등 광역단체로 제한된 권한 일부를 행사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역 소멸 대응 공약의 하나로 '비수도권 거점 특례시'를 제안했습니다.

인구 수가 아닌 도시 경쟁력 등을 기준으로 삼아 권역 성장을 견인토록 한다는 취지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달 15일 여수 유세 : "서울 근처만 잘 사는 나라가 아닌 모두가 함께 잘 사는 나라, 억울한 지역, 억울한 사람도 없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바로 호남 국민들이 원하는 것 아닙니까."]

아직 세부적인 공약 실행 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행정안전부의 권고안을 살펴봤습니다.

전남에서는 여수와 순천, 광양이 통합할 경우 인구 50만 명 이상 거점 도시로 성장할 수 있다고 적시했습니다.

지역에서 제기되어온 여순광 통합 여론이 반영된 겁니다.

전문가들은 석유와 철강 등 산업기반과 관광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지역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말합니다.

[하정봉/순천대 공공인재학부 행정학전공 교수 : "산업 구조를 재편하고 관광산업이나 교통, 물류를 개선하는 데 있어서 특례시가 가진 권한을 활용한다면 '이 지역의 어떤 발전이 더 촉진되지 않을까' 그런 기대를 해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넘어야 할 산은 많습니다.

지난 4월, 3개 단체장이 통합 필요성에 공감한다면서도 그 시기와 방법에 대한 생각이 달라 별다른 진전은 없기 때문입니다.

또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정가의 셈법도 제각각이다보니 통합 공론화 논의도 쉽지 않은 상황.

하지만, 새정부가 내세운 지역 주도 통합의 계기를 놓칠 경우 지역 소멸을 더욱 가속화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역소멸 대응 ‘비수도권 거점 특례시’…여순광 통합 추진되나?
    • 입력 2025-06-17 09:56:09
    • 수정2025-06-17 10:11:50
    930뉴스(광주)
[앵커]

새롭게 출범한 정부의 중요 과제로 국토 균형발전과 지역 소멸 대응이 꼽힙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역 소멸 대응을 위한 공약으로 비수도권 거점 특례시 지정과 이를 위한 지역 통합을 제시하면서 전남에서는 여수와 순천, 광양의 통합 논의가 재점화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구 백만 명 이상의 수원과 창원 등 5곳은 특례시입니다.

물류단지나 관광특구 지정, 농지전용 허가 등 광역단체로 제한된 권한 일부를 행사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역 소멸 대응 공약의 하나로 '비수도권 거점 특례시'를 제안했습니다.

인구 수가 아닌 도시 경쟁력 등을 기준으로 삼아 권역 성장을 견인토록 한다는 취지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지난달 15일 여수 유세 : "서울 근처만 잘 사는 나라가 아닌 모두가 함께 잘 사는 나라, 억울한 지역, 억울한 사람도 없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바로 호남 국민들이 원하는 것 아닙니까."]

아직 세부적인 공약 실행 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행정안전부의 권고안을 살펴봤습니다.

전남에서는 여수와 순천, 광양이 통합할 경우 인구 50만 명 이상 거점 도시로 성장할 수 있다고 적시했습니다.

지역에서 제기되어온 여순광 통합 여론이 반영된 겁니다.

전문가들은 석유와 철강 등 산업기반과 관광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통한 지역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말합니다.

[하정봉/순천대 공공인재학부 행정학전공 교수 : "산업 구조를 재편하고 관광산업이나 교통, 물류를 개선하는 데 있어서 특례시가 가진 권한을 활용한다면 '이 지역의 어떤 발전이 더 촉진되지 않을까' 그런 기대를 해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넘어야 할 산은 많습니다.

지난 4월, 3개 단체장이 통합 필요성에 공감한다면서도 그 시기와 방법에 대한 생각이 달라 별다른 진전은 없기 때문입니다.

또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정가의 셈법도 제각각이다보니 통합 공론화 논의도 쉽지 않은 상황.

하지만, 새정부가 내세운 지역 주도 통합의 계기를 놓칠 경우 지역 소멸을 더욱 가속화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