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가장’ 복지 사각지대…실태조사 시급
입력 2025.07.09 (19:23)
수정 2025.07.09 (19: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주변에는 학업을 하면서 가족 간병에 집안 살림까지 도맡는 '청년 가장'들이 힘겨운 삶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 가장'.
그 수가 얼마나 되는지, 어떤 환경인지를 알아야 지원할 텐데요, 여태껏 현황 실태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김아르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기준 부산지역 24세 미만 아동·청소년은 64만여 명.
이 중 7%인 5만여 명이 차상위계층 이하여서 생활고를 겪는 거로 추정됩니다.
한창 공부할 때 가족 생계까지 책임져야 하는 '청년 가장'.
2020년 기준으로 전국에 15만 명으로 추산됐을 뿐, 부산에서는 제대로 된 실태조사조차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부산시가 뒤늦게, 이르면 내년부터 '청년 가장'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조사 결과가 나오면 즉시 지원할 수 있게, 일부 기초단체는 처음으로 지원 조례를 만들었습니다.
[성현옥/부산진구의원 :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그런 아동 청소년들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그런 위기 상황에 놓인 아동 청소년들을 좀 더 폭넓게 우리가 발굴해서 지원하자는 취지에서…."]
돌봄을 받을 나이에 가족 돌봄을 책임져야 한다면 청년 가장, 그 가난이 대물림될 수밖에 없습니다.
[손지현/신라대 상담복지치료학과 교수 : "제도 밖에 있는 청년들이라고 봐야 하고, 본인들이 선택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그 책임을 오롯이 지고 있다면, 사회적 책임이 더 크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청년 가장이 조금이나마, 가족 생계비 고민을 덜고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정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김희나
우리 주변에는 학업을 하면서 가족 간병에 집안 살림까지 도맡는 '청년 가장'들이 힘겨운 삶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 가장'.
그 수가 얼마나 되는지, 어떤 환경인지를 알아야 지원할 텐데요, 여태껏 현황 실태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김아르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기준 부산지역 24세 미만 아동·청소년은 64만여 명.
이 중 7%인 5만여 명이 차상위계층 이하여서 생활고를 겪는 거로 추정됩니다.
한창 공부할 때 가족 생계까지 책임져야 하는 '청년 가장'.
2020년 기준으로 전국에 15만 명으로 추산됐을 뿐, 부산에서는 제대로 된 실태조사조차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부산시가 뒤늦게, 이르면 내년부터 '청년 가장'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조사 결과가 나오면 즉시 지원할 수 있게, 일부 기초단체는 처음으로 지원 조례를 만들었습니다.
[성현옥/부산진구의원 :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그런 아동 청소년들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그런 위기 상황에 놓인 아동 청소년들을 좀 더 폭넓게 우리가 발굴해서 지원하자는 취지에서…."]
돌봄을 받을 나이에 가족 돌봄을 책임져야 한다면 청년 가장, 그 가난이 대물림될 수밖에 없습니다.
[손지현/신라대 상담복지치료학과 교수 : "제도 밖에 있는 청년들이라고 봐야 하고, 본인들이 선택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그 책임을 오롯이 지고 있다면, 사회적 책임이 더 크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청년 가장이 조금이나마, 가족 생계비 고민을 덜고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정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김희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년 가장’ 복지 사각지대…실태조사 시급
-
- 입력 2025-07-09 19:23:16
- 수정2025-07-09 19:28:10

[앵커]
우리 주변에는 학업을 하면서 가족 간병에 집안 살림까지 도맡는 '청년 가장'들이 힘겨운 삶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 가장'.
그 수가 얼마나 되는지, 어떤 환경인지를 알아야 지원할 텐데요, 여태껏 현황 실태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김아르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기준 부산지역 24세 미만 아동·청소년은 64만여 명.
이 중 7%인 5만여 명이 차상위계층 이하여서 생활고를 겪는 거로 추정됩니다.
한창 공부할 때 가족 생계까지 책임져야 하는 '청년 가장'.
2020년 기준으로 전국에 15만 명으로 추산됐을 뿐, 부산에서는 제대로 된 실태조사조차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부산시가 뒤늦게, 이르면 내년부터 '청년 가장'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조사 결과가 나오면 즉시 지원할 수 있게, 일부 기초단체는 처음으로 지원 조례를 만들었습니다.
[성현옥/부산진구의원 :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그런 아동 청소년들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그런 위기 상황에 놓인 아동 청소년들을 좀 더 폭넓게 우리가 발굴해서 지원하자는 취지에서…."]
돌봄을 받을 나이에 가족 돌봄을 책임져야 한다면 청년 가장, 그 가난이 대물림될 수밖에 없습니다.
[손지현/신라대 상담복지치료학과 교수 : "제도 밖에 있는 청년들이라고 봐야 하고, 본인들이 선택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그 책임을 오롯이 지고 있다면, 사회적 책임이 더 크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청년 가장이 조금이나마, 가족 생계비 고민을 덜고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정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김희나
우리 주변에는 학업을 하면서 가족 간병에 집안 살림까지 도맡는 '청년 가장'들이 힘겨운 삶을 이어가고 있는데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 가장'.
그 수가 얼마나 되는지, 어떤 환경인지를 알아야 지원할 텐데요, 여태껏 현황 실태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김아르내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기준 부산지역 24세 미만 아동·청소년은 64만여 명.
이 중 7%인 5만여 명이 차상위계층 이하여서 생활고를 겪는 거로 추정됩니다.
한창 공부할 때 가족 생계까지 책임져야 하는 '청년 가장'.
2020년 기준으로 전국에 15만 명으로 추산됐을 뿐, 부산에서는 제대로 된 실태조사조차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
부산시가 뒤늦게, 이르면 내년부터 '청년 가장'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조사 결과가 나오면 즉시 지원할 수 있게, 일부 기초단체는 처음으로 지원 조례를 만들었습니다.
[성현옥/부산진구의원 :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그런 아동 청소년들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그런 위기 상황에 놓인 아동 청소년들을 좀 더 폭넓게 우리가 발굴해서 지원하자는 취지에서…."]
돌봄을 받을 나이에 가족 돌봄을 책임져야 한다면 청년 가장, 그 가난이 대물림될 수밖에 없습니다.
[손지현/신라대 상담복지치료학과 교수 : "제도 밖에 있는 청년들이라고 봐야 하고, 본인들이 선택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그 책임을 오롯이 지고 있다면, 사회적 책임이 더 크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청년 가장이 조금이나마, 가족 생계비 고민을 덜고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정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아르내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김희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