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복구 자원봉사도 품앗이…지난해 전북, 올해는 전남·광주
입력 2025.07.23 (19:05)
수정 2025.07.23 (19: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전북에서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을 때 이웃의 광주·전남 주민들이 달려와 피해 복구를 도왔는데요.
올해는 반대로 큰 피해가 난 광주·전남에 전북 주민들이 가서 복구 작업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 담양의 한 딸기 비닐하우스.
바닥은 온통 흙과 덤불로 뒤덮였고, 딸기 모종을 심고 얹는 스티로폼 상자와 철근은 모두 망가지고 녹슬어 갑니다.
지난 집중호우 때 3백 밀리미터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이 지역 비닐하우스들이 2미터가량 물에 잠겼기 때문입니다.
망연자실하던 농민은 복구에 엄두조차 내지 못하다가 자원봉사자들이 나타나자 다시 힘을 얻었습니다.
[오지인/담양군 대전면 : "뭐 어떻게 할지도 잘 모르겠고 그래서 좀 있다가 일손도 좀 있고 그래서 오늘부터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복구에 나선 자원봉사자들은 대부분 전남이 아닌 전북 주민들.
도움이 필요하다는 말에 새벽부터 달려와, 흙과 오물을 치우는 등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김경리/부안군 백산면 : "집에서 7시 10분 정도에 출발했어요. 정말 나와 보니까 참담하네요. 이 일을 어떻게 다 처리할지 농가 분들께서 아주 고생이 심하실 것 같아서…."]
지난해 전북에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자 광주·전남 주민들이 전북을 찾아 복구에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습니다.
이번 자원봉사는 그 보답이기도 합니다.
[최순주/익산시 동산동 : "하루아침에 이렇게 물난리가 나갔고 이러면 진짜 힘이 빠져요. 요청하면 참말로 한 달이라도 해주고 싶은 심정이에요."]
고령화로 인력이 없어 수해를 당해도 제때 복구가 힘든 농촌.
우리 전통의 상부상조, '품앗이'가 이를 극복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지난해 전북에서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을 때 이웃의 광주·전남 주민들이 달려와 피해 복구를 도왔는데요.
올해는 반대로 큰 피해가 난 광주·전남에 전북 주민들이 가서 복구 작업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 담양의 한 딸기 비닐하우스.
바닥은 온통 흙과 덤불로 뒤덮였고, 딸기 모종을 심고 얹는 스티로폼 상자와 철근은 모두 망가지고 녹슬어 갑니다.
지난 집중호우 때 3백 밀리미터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이 지역 비닐하우스들이 2미터가량 물에 잠겼기 때문입니다.
망연자실하던 농민은 복구에 엄두조차 내지 못하다가 자원봉사자들이 나타나자 다시 힘을 얻었습니다.
[오지인/담양군 대전면 : "뭐 어떻게 할지도 잘 모르겠고 그래서 좀 있다가 일손도 좀 있고 그래서 오늘부터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복구에 나선 자원봉사자들은 대부분 전남이 아닌 전북 주민들.
도움이 필요하다는 말에 새벽부터 달려와, 흙과 오물을 치우는 등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김경리/부안군 백산면 : "집에서 7시 10분 정도에 출발했어요. 정말 나와 보니까 참담하네요. 이 일을 어떻게 다 처리할지 농가 분들께서 아주 고생이 심하실 것 같아서…."]
지난해 전북에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자 광주·전남 주민들이 전북을 찾아 복구에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습니다.
이번 자원봉사는 그 보답이기도 합니다.
[최순주/익산시 동산동 : "하루아침에 이렇게 물난리가 나갔고 이러면 진짜 힘이 빠져요. 요청하면 참말로 한 달이라도 해주고 싶은 심정이에요."]
고령화로 인력이 없어 수해를 당해도 제때 복구가 힘든 농촌.
우리 전통의 상부상조, '품앗이'가 이를 극복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해복구 자원봉사도 품앗이…지난해 전북, 올해는 전남·광주
-
- 입력 2025-07-23 19:05:13
- 수정2025-07-23 19:16:29

[앵커]
지난해 전북에서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을 때 이웃의 광주·전남 주민들이 달려와 피해 복구를 도왔는데요.
올해는 반대로 큰 피해가 난 광주·전남에 전북 주민들이 가서 복구 작업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 담양의 한 딸기 비닐하우스.
바닥은 온통 흙과 덤불로 뒤덮였고, 딸기 모종을 심고 얹는 스티로폼 상자와 철근은 모두 망가지고 녹슬어 갑니다.
지난 집중호우 때 3백 밀리미터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이 지역 비닐하우스들이 2미터가량 물에 잠겼기 때문입니다.
망연자실하던 농민은 복구에 엄두조차 내지 못하다가 자원봉사자들이 나타나자 다시 힘을 얻었습니다.
[오지인/담양군 대전면 : "뭐 어떻게 할지도 잘 모르겠고 그래서 좀 있다가 일손도 좀 있고 그래서 오늘부터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복구에 나선 자원봉사자들은 대부분 전남이 아닌 전북 주민들.
도움이 필요하다는 말에 새벽부터 달려와, 흙과 오물을 치우는 등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김경리/부안군 백산면 : "집에서 7시 10분 정도에 출발했어요. 정말 나와 보니까 참담하네요. 이 일을 어떻게 다 처리할지 농가 분들께서 아주 고생이 심하실 것 같아서…."]
지난해 전북에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자 광주·전남 주민들이 전북을 찾아 복구에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습니다.
이번 자원봉사는 그 보답이기도 합니다.
[최순주/익산시 동산동 : "하루아침에 이렇게 물난리가 나갔고 이러면 진짜 힘이 빠져요. 요청하면 참말로 한 달이라도 해주고 싶은 심정이에요."]
고령화로 인력이 없어 수해를 당해도 제때 복구가 힘든 농촌.
우리 전통의 상부상조, '품앗이'가 이를 극복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지난해 전북에서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을 때 이웃의 광주·전남 주민들이 달려와 피해 복구를 도왔는데요.
올해는 반대로 큰 피해가 난 광주·전남에 전북 주민들이 가서 복구 작업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남 담양의 한 딸기 비닐하우스.
바닥은 온통 흙과 덤불로 뒤덮였고, 딸기 모종을 심고 얹는 스티로폼 상자와 철근은 모두 망가지고 녹슬어 갑니다.
지난 집중호우 때 3백 밀리미터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이 지역 비닐하우스들이 2미터가량 물에 잠겼기 때문입니다.
망연자실하던 농민은 복구에 엄두조차 내지 못하다가 자원봉사자들이 나타나자 다시 힘을 얻었습니다.
[오지인/담양군 대전면 : "뭐 어떻게 할지도 잘 모르겠고 그래서 좀 있다가 일손도 좀 있고 그래서 오늘부터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복구에 나선 자원봉사자들은 대부분 전남이 아닌 전북 주민들.
도움이 필요하다는 말에 새벽부터 달려와, 흙과 오물을 치우는 등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김경리/부안군 백산면 : "집에서 7시 10분 정도에 출발했어요. 정말 나와 보니까 참담하네요. 이 일을 어떻게 다 처리할지 농가 분들께서 아주 고생이 심하실 것 같아서…."]
지난해 전북에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자 광주·전남 주민들이 전북을 찾아 복구에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습니다.
이번 자원봉사는 그 보답이기도 합니다.
[최순주/익산시 동산동 : "하루아침에 이렇게 물난리가 나갔고 이러면 진짜 힘이 빠져요. 요청하면 참말로 한 달이라도 해주고 싶은 심정이에요."]
고령화로 인력이 없어 수해를 당해도 제때 복구가 힘든 농촌.
우리 전통의 상부상조, '품앗이'가 이를 극복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
-
서승신 기자 sss4854@kbs.co.kr
서승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