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탈 대구 만든다”더니…수장 부재에 손 놓았나?

입력 2025.07.28 (19:13) 수정 2025.07.28 (19: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를 위해 대구시의회가 치의학산업 지원 조례를 마련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하지만 홍준표 시장 사퇴 이후 대구시는 적극적인 대응 없이 뒷짐만 지고 있어 유치가 가능하겠냐는 비판이 나옵니다.

정혜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4년부터 지역 의료계 중심으로 추진돼 온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 2023년, 대구시는 추진단을 꾸리고 '덴탈 시티'를 앞세워 연구원을 선제적으로 유치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최운백/대구시 미래혁신실장/2023년 8월 : "저희가 공모 나가기 전에 우리 강점을 최대한 발굴해내고 그걸 사업화해서 중앙정부를 설득하는…."]

이후 1년여간, 정책 연구와 홍보 활동 등을 했지만 지난해 홍준표 시장 사퇴 이후 활동은 사실상 중단됐습니다.

추진단 인원은 절반으로 줄었고, 지난 4월 여야에 대선 공약 반영을 건의한 게 마지막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는 9월 연구원 설립 타당성 용역 결과를 발표하고 공모 방식을 결정하기로 하는 등 추진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이원혁/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유치위원장 : "곧 공모냐 선정이냐가 결정되는 시점인데, 이때마저 대구시에서 손을 놓고 있다면 저희가 그동안 10년 동안 일해왔던 게 다 물거품이 되고…."]

반면 후발 경쟁 지자체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치의학 산업계 전문가들을 포섭해 전담 조직을 확대했고, 천안시는 시민 절반이 참여한 서명을 정부에 전달하는 등 여론전에 나선 상황, 대구가 비수도권 최대 치의학 인프라를 갖춘 만큼,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 정부와 정치권을 설득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강대식/국민의힘 국회의원 : "대구시라든지, 유치위원회, 국회, 대구 시민들이 함께 최적의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더욱 적극적으로 유치 활동을 해야…."]

2조 원대 경제 유발 효과가 예상되는 국립치의학연구원, 10년 넘게 들인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덴탈 대구 만든다”더니…수장 부재에 손 놓았나?
    • 입력 2025-07-28 19:13:35
    • 수정2025-07-28 19:35:28
    뉴스7(대구)
[앵커]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를 위해 대구시의회가 치의학산업 지원 조례를 마련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하지만 홍준표 시장 사퇴 이후 대구시는 적극적인 대응 없이 뒷짐만 지고 있어 유치가 가능하겠냐는 비판이 나옵니다.

정혜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4년부터 지역 의료계 중심으로 추진돼 온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 2023년, 대구시는 추진단을 꾸리고 '덴탈 시티'를 앞세워 연구원을 선제적으로 유치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최운백/대구시 미래혁신실장/2023년 8월 : "저희가 공모 나가기 전에 우리 강점을 최대한 발굴해내고 그걸 사업화해서 중앙정부를 설득하는…."]

이후 1년여간, 정책 연구와 홍보 활동 등을 했지만 지난해 홍준표 시장 사퇴 이후 활동은 사실상 중단됐습니다.

추진단 인원은 절반으로 줄었고, 지난 4월 여야에 대선 공약 반영을 건의한 게 마지막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오는 9월 연구원 설립 타당성 용역 결과를 발표하고 공모 방식을 결정하기로 하는 등 추진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이원혁/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유치위원장 : "곧 공모냐 선정이냐가 결정되는 시점인데, 이때마저 대구시에서 손을 놓고 있다면 저희가 그동안 10년 동안 일해왔던 게 다 물거품이 되고…."]

반면 후발 경쟁 지자체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치의학 산업계 전문가들을 포섭해 전담 조직을 확대했고, 천안시는 시민 절반이 참여한 서명을 정부에 전달하는 등 여론전에 나선 상황, 대구가 비수도권 최대 치의학 인프라를 갖춘 만큼,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 정부와 정치권을 설득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강대식/국민의힘 국회의원 : "대구시라든지, 유치위원회, 국회, 대구 시민들이 함께 최적의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더욱 적극적으로 유치 활동을 해야…."]

2조 원대 경제 유발 효과가 예상되는 국립치의학연구원, 10년 넘게 들인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촬영기자:최동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