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 공사 중 추락사 잇따라…‘안전불감증’ 여전

입력 2025.08.04 (21:49) 수정 2025.08.04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붕 공사를 하다가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간단한 장비만 갖췄어도 막을 수 있었지만, 현장에서 기본적인 안전수칙조차 지켜지지 않으면서 사고가 반복되는 상황입니다.

이자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음성의 한 물류창고입니다.

출입구가 막혀있고, 창고 지붕의 패널은 꺾여 있습니다.

지난달 31일, 이곳 지붕에서 작업하던 50대 노동자가 밟고 있던 패널이 무너지면서 추락해 숨졌습니다.

[소방대원 : "현장 도착했을 때는 그 동료분들이 가슴 압박 중이었거든요. 동공 반응도 없고 호흡 맥박도 없고, 이제 눈하고 얼굴 쪽에 출혈도 상당히 있는 상태였고요."]

숨진 50대 노동자는 일용직으로, 안전장치 하나 없이 5m 높이에서 작업을 하다 변을 당했습니다.

지난달 전북 전주에서도 지붕 보수 작업을 하던 60대 노동자가 추락해 숨졌습니다.

이처럼 지붕공사 중 추락하는 사고는 주로 축사, 공장 등 소규모·초단기공사 현장에서 발생합니다.

3년간 지붕공사 추락 사고 사망자 125명 가운데 약 74%가 공사비 1억 원 미만인 소규모 현장에서 숨졌습니다.

채광창 덮개, 안전대, 추락방지망 등 안전 장비만 설치하면 사고를 막을 수 있지만 현장에서 기본적인 안전 수칙조차 지켜지지 않은 겁니다.

실제 지난달 경기 고양의 한 건설 현장에서 지붕 공사를 하던 노동자 4명이 7m 높이에서 추락했지만 추락방지망 덕에 모두 무사했습니다.

[김영남/고용노동부 청주지청 산재예방지도과장 : "안전관리 능력이 부족한 영세업체가 대부분이고, 공사 기간도 짧아서 안전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고 급하게 작업을 하다가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추락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사고 위험이 높은 현장을 불시에 점검하고 농장, 축사를 보유한 사업주를 대상으로 예방 대책을 안내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자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그래픽:김선영/화면제공:경기 고양소방서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붕 공사 중 추락사 잇따라…‘안전불감증’ 여전
    • 입력 2025-08-04 21:49:42
    • 수정2025-08-04 22:00:00
    뉴스9(청주)
[앵커]

지붕 공사를 하다가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간단한 장비만 갖췄어도 막을 수 있었지만, 현장에서 기본적인 안전수칙조차 지켜지지 않으면서 사고가 반복되는 상황입니다.

이자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음성의 한 물류창고입니다.

출입구가 막혀있고, 창고 지붕의 패널은 꺾여 있습니다.

지난달 31일, 이곳 지붕에서 작업하던 50대 노동자가 밟고 있던 패널이 무너지면서 추락해 숨졌습니다.

[소방대원 : "현장 도착했을 때는 그 동료분들이 가슴 압박 중이었거든요. 동공 반응도 없고 호흡 맥박도 없고, 이제 눈하고 얼굴 쪽에 출혈도 상당히 있는 상태였고요."]

숨진 50대 노동자는 일용직으로, 안전장치 하나 없이 5m 높이에서 작업을 하다 변을 당했습니다.

지난달 전북 전주에서도 지붕 보수 작업을 하던 60대 노동자가 추락해 숨졌습니다.

이처럼 지붕공사 중 추락하는 사고는 주로 축사, 공장 등 소규모·초단기공사 현장에서 발생합니다.

3년간 지붕공사 추락 사고 사망자 125명 가운데 약 74%가 공사비 1억 원 미만인 소규모 현장에서 숨졌습니다.

채광창 덮개, 안전대, 추락방지망 등 안전 장비만 설치하면 사고를 막을 수 있지만 현장에서 기본적인 안전 수칙조차 지켜지지 않은 겁니다.

실제 지난달 경기 고양의 한 건설 현장에서 지붕 공사를 하던 노동자 4명이 7m 높이에서 추락했지만 추락방지망 덕에 모두 무사했습니다.

[김영남/고용노동부 청주지청 산재예방지도과장 : "안전관리 능력이 부족한 영세업체가 대부분이고, 공사 기간도 짧아서 안전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고 급하게 작업을 하다가 사고가 계속 발생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추락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사고 위험이 높은 현장을 불시에 점검하고 농장, 축사를 보유한 사업주를 대상으로 예방 대책을 안내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자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그래픽:김선영/화면제공:경기 고양소방서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