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로 몰리는 전자 쓰레기…유해물질 범벅인데 무대책
입력 2025.08.11 (18:25)
수정 2025.08.11 (18: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컴퓨터나 휴대전화 같은 전자기기들이 수명을 다하면 상당수 부속품은 버려지게 되죠.
이른바 전자 쓰레기가 되는 건데, 각국에서 발생한 이런 폐기물들이 동남아 지역 국가들로 몰리면서,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방콕 정윤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굵은 자물쇠를 절단기로 잘라내고, 컨테이너 문을 열자 잘게 부서진 쓰레기들이 가득 차 있습니다.
자세히 보니, 주로 전자 제품에 쓰이는 회로 기판과 금속 조각들, 이른바 '전자 쓰레기'들입니다.
태국 세관 당국에 이날만 컨테이너 6개 분량이 적발됐습니다.
[셋타웃 잔와타나/태국 관세청 과장 : "전자 부품 같은 쓰레기들은 X-레이 장비를 사용하거나 (컨테이너를) 직접 개봉해서 적발이 가능합니다."]
각국에서 전자 쓰레기를 떠넘기듯 태국에 몰래 수출하려던 건데, 최근 10개월 동안 적발된 것만 30여 건, 5백 톤이 넘습니다.
말레이시아도 지난해 미국에서만 3만 톤 넘게 반입되는 등 상당수 동남아 국가가 전자 쓰레기 불법 수출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펜촘 새당/어스 타일랜드(태국 환경단체) 대표 : "전자 쓰레기를 중국에 수출하던 많은 국가들이 (2018년 중국의 수입 금지 이후) 태국과 동남아 국가들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전자 쓰레기에는 납과 수은, 카드뮴 등 유해 중금속이 포함돼, 유엔은 바젤협약으로 국가 간 이동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바젤 협약에 따르면 전자 쓰레기 같은 유해 폐기물은 발생 국가에서 처리하는 게 원칙입니다.
특히 상대국의 동의가 없는 폐기물 이동은 금지돼 있습니다.
하지만 적발돼도 발생 국가로 반송하는 것 말고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게 현실입니다.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전자 쓰레기는 해마다 수천만 톤, 2030년엔 8천2백만 톤에 이를 것으로 유엔은 예상합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자료조사:남서현/화면출처:어스 타일랜드·타이PBS/촬영:KEMIN/통역:NICHMON
컴퓨터나 휴대전화 같은 전자기기들이 수명을 다하면 상당수 부속품은 버려지게 되죠.
이른바 전자 쓰레기가 되는 건데, 각국에서 발생한 이런 폐기물들이 동남아 지역 국가들로 몰리면서,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방콕 정윤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굵은 자물쇠를 절단기로 잘라내고, 컨테이너 문을 열자 잘게 부서진 쓰레기들이 가득 차 있습니다.
자세히 보니, 주로 전자 제품에 쓰이는 회로 기판과 금속 조각들, 이른바 '전자 쓰레기'들입니다.
태국 세관 당국에 이날만 컨테이너 6개 분량이 적발됐습니다.
[셋타웃 잔와타나/태국 관세청 과장 : "전자 부품 같은 쓰레기들은 X-레이 장비를 사용하거나 (컨테이너를) 직접 개봉해서 적발이 가능합니다."]
각국에서 전자 쓰레기를 떠넘기듯 태국에 몰래 수출하려던 건데, 최근 10개월 동안 적발된 것만 30여 건, 5백 톤이 넘습니다.
말레이시아도 지난해 미국에서만 3만 톤 넘게 반입되는 등 상당수 동남아 국가가 전자 쓰레기 불법 수출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펜촘 새당/어스 타일랜드(태국 환경단체) 대표 : "전자 쓰레기를 중국에 수출하던 많은 국가들이 (2018년 중국의 수입 금지 이후) 태국과 동남아 국가들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전자 쓰레기에는 납과 수은, 카드뮴 등 유해 중금속이 포함돼, 유엔은 바젤협약으로 국가 간 이동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바젤 협약에 따르면 전자 쓰레기 같은 유해 폐기물은 발생 국가에서 처리하는 게 원칙입니다.
특히 상대국의 동의가 없는 폐기물 이동은 금지돼 있습니다.
하지만 적발돼도 발생 국가로 반송하는 것 말고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게 현실입니다.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전자 쓰레기는 해마다 수천만 톤, 2030년엔 8천2백만 톤에 이를 것으로 유엔은 예상합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자료조사:남서현/화면출처:어스 타일랜드·타이PBS/촬영:KEMIN/통역:NICHMON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남아로 몰리는 전자 쓰레기…유해물질 범벅인데 무대책
-
- 입력 2025-08-11 18:25:04
- 수정2025-08-11 18:30:12

[앵커]
컴퓨터나 휴대전화 같은 전자기기들이 수명을 다하면 상당수 부속품은 버려지게 되죠.
이른바 전자 쓰레기가 되는 건데, 각국에서 발생한 이런 폐기물들이 동남아 지역 국가들로 몰리면서,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방콕 정윤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굵은 자물쇠를 절단기로 잘라내고, 컨테이너 문을 열자 잘게 부서진 쓰레기들이 가득 차 있습니다.
자세히 보니, 주로 전자 제품에 쓰이는 회로 기판과 금속 조각들, 이른바 '전자 쓰레기'들입니다.
태국 세관 당국에 이날만 컨테이너 6개 분량이 적발됐습니다.
[셋타웃 잔와타나/태국 관세청 과장 : "전자 부품 같은 쓰레기들은 X-레이 장비를 사용하거나 (컨테이너를) 직접 개봉해서 적발이 가능합니다."]
각국에서 전자 쓰레기를 떠넘기듯 태국에 몰래 수출하려던 건데, 최근 10개월 동안 적발된 것만 30여 건, 5백 톤이 넘습니다.
말레이시아도 지난해 미국에서만 3만 톤 넘게 반입되는 등 상당수 동남아 국가가 전자 쓰레기 불법 수출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펜촘 새당/어스 타일랜드(태국 환경단체) 대표 : "전자 쓰레기를 중국에 수출하던 많은 국가들이 (2018년 중국의 수입 금지 이후) 태국과 동남아 국가들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전자 쓰레기에는 납과 수은, 카드뮴 등 유해 중금속이 포함돼, 유엔은 바젤협약으로 국가 간 이동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바젤 협약에 따르면 전자 쓰레기 같은 유해 폐기물은 발생 국가에서 처리하는 게 원칙입니다.
특히 상대국의 동의가 없는 폐기물 이동은 금지돼 있습니다.
하지만 적발돼도 발생 국가로 반송하는 것 말고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게 현실입니다.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전자 쓰레기는 해마다 수천만 톤, 2030년엔 8천2백만 톤에 이를 것으로 유엔은 예상합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자료조사:남서현/화면출처:어스 타일랜드·타이PBS/촬영:KEMIN/통역:NICHMON
컴퓨터나 휴대전화 같은 전자기기들이 수명을 다하면 상당수 부속품은 버려지게 되죠.
이른바 전자 쓰레기가 되는 건데, 각국에서 발생한 이런 폐기물들이 동남아 지역 국가들로 몰리면서,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방콕 정윤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굵은 자물쇠를 절단기로 잘라내고, 컨테이너 문을 열자 잘게 부서진 쓰레기들이 가득 차 있습니다.
자세히 보니, 주로 전자 제품에 쓰이는 회로 기판과 금속 조각들, 이른바 '전자 쓰레기'들입니다.
태국 세관 당국에 이날만 컨테이너 6개 분량이 적발됐습니다.
[셋타웃 잔와타나/태국 관세청 과장 : "전자 부품 같은 쓰레기들은 X-레이 장비를 사용하거나 (컨테이너를) 직접 개봉해서 적발이 가능합니다."]
각국에서 전자 쓰레기를 떠넘기듯 태국에 몰래 수출하려던 건데, 최근 10개월 동안 적발된 것만 30여 건, 5백 톤이 넘습니다.
말레이시아도 지난해 미국에서만 3만 톤 넘게 반입되는 등 상당수 동남아 국가가 전자 쓰레기 불법 수출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펜촘 새당/어스 타일랜드(태국 환경단체) 대표 : "전자 쓰레기를 중국에 수출하던 많은 국가들이 (2018년 중국의 수입 금지 이후) 태국과 동남아 국가들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전자 쓰레기에는 납과 수은, 카드뮴 등 유해 중금속이 포함돼, 유엔은 바젤협약으로 국가 간 이동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바젤 협약에 따르면 전자 쓰레기 같은 유해 폐기물은 발생 국가에서 처리하는 게 원칙입니다.
특히 상대국의 동의가 없는 폐기물 이동은 금지돼 있습니다.
하지만 적발돼도 발생 국가로 반송하는 것 말고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게 현실입니다.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전자 쓰레기는 해마다 수천만 톤, 2030년엔 8천2백만 톤에 이를 것으로 유엔은 예상합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자료조사:남서현/화면출처:어스 타일랜드·타이PBS/촬영:KEMIN/통역:NICHMON
-
-
정윤섭 기자 bird2777@kbs.co.kr
정윤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