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 부역 행적 알리는 것도 독립운동”

입력 2025.08.12 (21:40) 수정 2025.08.12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 청주방송총국의 광복 80주년 기획 보도, 9번째 순서입니다.

일제의 식민 통치에 직·간접적으로 협력한 친일 인물이 충북에도 적지 않은데요.

반성과 기록을 통한 역사 바로 세우기, 제대로 되고 있을까요?

그 실상을 송국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938년 6월 24일, 부산지방법원 밀양지청 판결문.

피고인으로 장인식, 장봉학, 강성옥 3명의 이름이 한자로 적혀있습니다.

모두 독립 유공자입니다.

하지만 일제가 중일 전쟁에 출전한 일본군 위안을 위해 조선인 여성을 강제 징집한다는 소문을 퍼뜨렸다면서 금고 4월을 선고받았습니다.

판사는 초대 청주지방법원장을 지낸 서정국이었습니다.

이후 2대 남정숙, 4대 이화종, 5대 최윤모 법원장까지.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 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들입니다.

하지만 역대 법원장을 공개적으로 소개하는 청주지방법원 누리집에는 이름과 사진만 있고, 친일 기록은 없습니다.

이밖에 청주지방검찰청과 충청북도경찰청, 진천군까지.

기관장의 친일 행적을 명확히 적시하지 않은 공공기관은 충북에서만 최소 9곳, 인물은 10여 명에 달합니다.

[방학진/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 "행적들을 국가 기관이 알리는 것은 또 다른 의미에서 독립운동 계승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서는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와 달리 충청북도는 2021년 3월부터 역대 도지사 5명의 친일 행적을 누리집과 도청 청사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옥천군도 초대 군수였던 김학응 전 도지사의 일제 강점기 국방헌금 등 반민족 행위를 그대로 표기했습니다.

친일 기록도 역사의 일부로 후대에 교훈을 남겨야 한다는 취지에섭니다.

[김도연/충북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 "(친일) 행적이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기록하고 알리는 쪽으로 가는 것이 옳은 방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자체 등의 의지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0년, 충북역사문화연구원이 친일 잔재 청산을 위한 기초 조사 용역을 통해 친일인명사전에서 추린 충북 출신 인물과 충북에서 활동한 인물은 304명.

상당수가 충북 등 다양한 지역의 기관·단체장으로 옮겨 다녀 이들의 행적에 대한 기록도, 정확한 실태 조사도 아직 부진합니다.

[박경목/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 "과거의 행적은 사실 현재 우리의 잘못이 아니죠. 당시의 모습들을 정확히 밝혀내고 사실대로 인정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일제 식민 통치 이후 미군정에서까지 직·간접적으로 협력하면서 자리를 유지해 온 역대 행정·치안·사법기관장들.

비극적인 반민족 실상의 역사까지 기록화해 뼈아픈 반성과 성찰의 계기로 삼는 것이 우리의 몫으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박소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친일 부역 행적 알리는 것도 독립운동”
    • 입력 2025-08-12 21:40:48
    • 수정2025-08-12 22:17:46
    뉴스9(청주)
[앵커]

KBS 청주방송총국의 광복 80주년 기획 보도, 9번째 순서입니다.

일제의 식민 통치에 직·간접적으로 협력한 친일 인물이 충북에도 적지 않은데요.

반성과 기록을 통한 역사 바로 세우기, 제대로 되고 있을까요?

그 실상을 송국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938년 6월 24일, 부산지방법원 밀양지청 판결문.

피고인으로 장인식, 장봉학, 강성옥 3명의 이름이 한자로 적혀있습니다.

모두 독립 유공자입니다.

하지만 일제가 중일 전쟁에 출전한 일본군 위안을 위해 조선인 여성을 강제 징집한다는 소문을 퍼뜨렸다면서 금고 4월을 선고받았습니다.

판사는 초대 청주지방법원장을 지낸 서정국이었습니다.

이후 2대 남정숙, 4대 이화종, 5대 최윤모 법원장까지.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 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들입니다.

하지만 역대 법원장을 공개적으로 소개하는 청주지방법원 누리집에는 이름과 사진만 있고, 친일 기록은 없습니다.

이밖에 청주지방검찰청과 충청북도경찰청, 진천군까지.

기관장의 친일 행적을 명확히 적시하지 않은 공공기관은 충북에서만 최소 9곳, 인물은 10여 명에 달합니다.

[방학진/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 "행적들을 국가 기관이 알리는 것은 또 다른 의미에서 독립운동 계승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서는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와 달리 충청북도는 2021년 3월부터 역대 도지사 5명의 친일 행적을 누리집과 도청 청사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옥천군도 초대 군수였던 김학응 전 도지사의 일제 강점기 국방헌금 등 반민족 행위를 그대로 표기했습니다.

친일 기록도 역사의 일부로 후대에 교훈을 남겨야 한다는 취지에섭니다.

[김도연/충북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 "(친일) 행적이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기록하고 알리는 쪽으로 가는 것이 옳은 방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자체 등의 의지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0년, 충북역사문화연구원이 친일 잔재 청산을 위한 기초 조사 용역을 통해 친일인명사전에서 추린 충북 출신 인물과 충북에서 활동한 인물은 304명.

상당수가 충북 등 다양한 지역의 기관·단체장으로 옮겨 다녀 이들의 행적에 대한 기록도, 정확한 실태 조사도 아직 부진합니다.

[박경목/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 "과거의 행적은 사실 현재 우리의 잘못이 아니죠. 당시의 모습들을 정확히 밝혀내고 사실대로 인정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일제 식민 통치 이후 미군정에서까지 직·간접적으로 협력하면서 자리를 유지해 온 역대 행정·치안·사법기관장들.

비극적인 반민족 실상의 역사까지 기록화해 뼈아픈 반성과 성찰의 계기로 삼는 것이 우리의 몫으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송국회입니다.

촬영기자:강사완/그래픽:박소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