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품귀로 가격 ‘들썩’…“입주 물량 급감”
입력 2025.08.14 (21:47)
수정 2025.08.14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본격적인 이사철이 아닌 여름 피서철 비수기인데도, 요즘 부산에서 전세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전세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데요,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든 게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의 아파트 밀집 지역인 해운대 신시가지.
3만 세대가 넘는 곳이지만 전세 매물은 거의 없습니다.
[공인중개사 : "(매물이) 몇 개가 안 되니까 거의 없다고 봐야죠. 안내할 만한 거 찾으면 24평형에 한두 개밖에 없고…."]
7천400세대에 달하는 부산 남구의 아파트 단지.
이곳도 전세 매물은 품귀입니다.
이렇다 보니 가격이 크게 올라, 부산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8월 이후 13개월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공인중개사 : "전세 금액이 쉽게 32평형이 3억 정도 하던 게 지금 3억 5천을 부르거든요. (작년보다) 전세 금액이 한 20% 정도 올랐고."]
전세 품귀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입주 물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2022년 2만 7천여 가구였던 입주 물량은 꾸준히 줄어 올해는 만 가구를 겨우 넘겼습니다.
3년 만에 60% 이상 줄어든 겁니다.
특히 올해 하반기, 동부산권에는 새 아파트 입주 자체가 없습니다.
전세 계약갱신권으로 전세 계약이 4년으로 자리 잡아 매물이 줄어든 것도 한 원인입니다.
[이영래/부동산서베이 대표 : "(하반기) 부산의 입주 물량이 2천500여 세대가 안 되기 때문에 가을 이사철이 되면 전세 가격 상승세는 두드러지게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년 부산의 신규 입주 물량은 만 5천 가구.
올해보다는 늘지만 평균 입주 물량에 못 미쳐 전세가는 당분간 고공 행진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본격적인 이사철이 아닌 여름 피서철 비수기인데도, 요즘 부산에서 전세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전세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데요,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든 게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의 아파트 밀집 지역인 해운대 신시가지.
3만 세대가 넘는 곳이지만 전세 매물은 거의 없습니다.
[공인중개사 : "(매물이) 몇 개가 안 되니까 거의 없다고 봐야죠. 안내할 만한 거 찾으면 24평형에 한두 개밖에 없고…."]
7천400세대에 달하는 부산 남구의 아파트 단지.
이곳도 전세 매물은 품귀입니다.
이렇다 보니 가격이 크게 올라, 부산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8월 이후 13개월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공인중개사 : "전세 금액이 쉽게 32평형이 3억 정도 하던 게 지금 3억 5천을 부르거든요. (작년보다) 전세 금액이 한 20% 정도 올랐고."]
전세 품귀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입주 물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2022년 2만 7천여 가구였던 입주 물량은 꾸준히 줄어 올해는 만 가구를 겨우 넘겼습니다.
3년 만에 60% 이상 줄어든 겁니다.
특히 올해 하반기, 동부산권에는 새 아파트 입주 자체가 없습니다.
전세 계약갱신권으로 전세 계약이 4년으로 자리 잡아 매물이 줄어든 것도 한 원인입니다.
[이영래/부동산서베이 대표 : "(하반기) 부산의 입주 물량이 2천500여 세대가 안 되기 때문에 가을 이사철이 되면 전세 가격 상승세는 두드러지게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년 부산의 신규 입주 물량은 만 5천 가구.
올해보다는 늘지만 평균 입주 물량에 못 미쳐 전세가는 당분간 고공 행진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세 품귀로 가격 ‘들썩’…“입주 물량 급감”
-
- 입력 2025-08-14 21:47:51
- 수정2025-08-14 21:57:10

[앵커]
본격적인 이사철이 아닌 여름 피서철 비수기인데도, 요즘 부산에서 전세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전세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데요,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든 게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의 아파트 밀집 지역인 해운대 신시가지.
3만 세대가 넘는 곳이지만 전세 매물은 거의 없습니다.
[공인중개사 : "(매물이) 몇 개가 안 되니까 거의 없다고 봐야죠. 안내할 만한 거 찾으면 24평형에 한두 개밖에 없고…."]
7천400세대에 달하는 부산 남구의 아파트 단지.
이곳도 전세 매물은 품귀입니다.
이렇다 보니 가격이 크게 올라, 부산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8월 이후 13개월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공인중개사 : "전세 금액이 쉽게 32평형이 3억 정도 하던 게 지금 3억 5천을 부르거든요. (작년보다) 전세 금액이 한 20% 정도 올랐고."]
전세 품귀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입주 물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2022년 2만 7천여 가구였던 입주 물량은 꾸준히 줄어 올해는 만 가구를 겨우 넘겼습니다.
3년 만에 60% 이상 줄어든 겁니다.
특히 올해 하반기, 동부산권에는 새 아파트 입주 자체가 없습니다.
전세 계약갱신권으로 전세 계약이 4년으로 자리 잡아 매물이 줄어든 것도 한 원인입니다.
[이영래/부동산서베이 대표 : "(하반기) 부산의 입주 물량이 2천500여 세대가 안 되기 때문에 가을 이사철이 되면 전세 가격 상승세는 두드러지게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년 부산의 신규 입주 물량은 만 5천 가구.
올해보다는 늘지만 평균 입주 물량에 못 미쳐 전세가는 당분간 고공 행진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본격적인 이사철이 아닌 여름 피서철 비수기인데도, 요즘 부산에서 전세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전세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데요,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든 게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의 아파트 밀집 지역인 해운대 신시가지.
3만 세대가 넘는 곳이지만 전세 매물은 거의 없습니다.
[공인중개사 : "(매물이) 몇 개가 안 되니까 거의 없다고 봐야죠. 안내할 만한 거 찾으면 24평형에 한두 개밖에 없고…."]
7천400세대에 달하는 부산 남구의 아파트 단지.
이곳도 전세 매물은 품귀입니다.
이렇다 보니 가격이 크게 올라, 부산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8월 이후 13개월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공인중개사 : "전세 금액이 쉽게 32평형이 3억 정도 하던 게 지금 3억 5천을 부르거든요. (작년보다) 전세 금액이 한 20% 정도 올랐고."]
전세 품귀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입주 물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2022년 2만 7천여 가구였던 입주 물량은 꾸준히 줄어 올해는 만 가구를 겨우 넘겼습니다.
3년 만에 60% 이상 줄어든 겁니다.
특히 올해 하반기, 동부산권에는 새 아파트 입주 자체가 없습니다.
전세 계약갱신권으로 전세 계약이 4년으로 자리 잡아 매물이 줄어든 것도 한 원인입니다.
[이영래/부동산서베이 대표 : "(하반기) 부산의 입주 물량이 2천500여 세대가 안 되기 때문에 가을 이사철이 되면 전세 가격 상승세는 두드러지게 높게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년 부산의 신규 입주 물량은 만 5천 가구.
올해보다는 늘지만 평균 입주 물량에 못 미쳐 전세가는 당분간 고공 행진할 전망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
-
강지아 기자 jia@kbs.co.kr
강지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