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 출신 입성했지만…‘탄핵 찬반’에 매몰
입력 2025.08.22 (21:46)
수정 2025.08.22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탄핵 반대 후보들이 1, 2위를 차지하며 반탄 지도부 출범이 확정됐는데요.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지도부 입성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계파에 묻혀 지역의 입지는 약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과반 득표자 없이 끝난 국민의힘 전당대회.
1, 2위를 김문수, 장동혁 후보가 차지하면서 사실상 '반탄 2파전'으로 굳혀졌습니다.
최고위원 선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최고위원 5명 중 3명이 반탄파로 구성된 상황.
상주 출신 신동욱 의원을 비롯해, 의성 출신 김재원 전 의원과 대구 출신 찬탄파 우재준 의원이 당선되긴 했지만, TK 출신이라는 이름표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는 평가입니다.
[김문수/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 "이재명 독재 정권은 국민의힘을 해산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이런 엄중할 때 우리끼리 분열하면 되겠습니까?"]
[장동혁/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 "국민의힘은 분열을 안고 갈 것인지 내부 총질자를 정리하고 단일 대오로 갈 것인지..."]
오히려 특정 계파와 인물에 대한 선명성 대결 구도가 부각되며, 정작 당내 최대 보루인 TK의 현안이나 민심은 뒷전이 됐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장우영/대구가톨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지금의 국민의힘은 민주화 이후로 가장 허약한 야당입니다. 거기서 지금 지역민들을 위해서 뭘 해줄 수 있을까 그럴 가능성이 지금 굉장히 낮죠. 오히려 어떤 저평가, 외면 이것들을 더..."]
새 지도부는 당 혁신은 물론 극우 논란 해소와 특검 수사 대응, 거대 여당과의 협치 등 풀어야 할 과제 자체가 산적한 상황입니다.
쇄신과 봉합을 내세웠지만 갈등과 혼란을 남긴 국민의힘 전당대회, 최대 지지 기반인 대구·경북 지역민들의 위기감도 덩달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탄핵 반대 후보들이 1, 2위를 차지하며 반탄 지도부 출범이 확정됐는데요.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지도부 입성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계파에 묻혀 지역의 입지는 약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과반 득표자 없이 끝난 국민의힘 전당대회.
1, 2위를 김문수, 장동혁 후보가 차지하면서 사실상 '반탄 2파전'으로 굳혀졌습니다.
최고위원 선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최고위원 5명 중 3명이 반탄파로 구성된 상황.
상주 출신 신동욱 의원을 비롯해, 의성 출신 김재원 전 의원과 대구 출신 찬탄파 우재준 의원이 당선되긴 했지만, TK 출신이라는 이름표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는 평가입니다.
[김문수/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 "이재명 독재 정권은 국민의힘을 해산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이런 엄중할 때 우리끼리 분열하면 되겠습니까?"]
[장동혁/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 "국민의힘은 분열을 안고 갈 것인지 내부 총질자를 정리하고 단일 대오로 갈 것인지..."]
오히려 특정 계파와 인물에 대한 선명성 대결 구도가 부각되며, 정작 당내 최대 보루인 TK의 현안이나 민심은 뒷전이 됐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장우영/대구가톨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지금의 국민의힘은 민주화 이후로 가장 허약한 야당입니다. 거기서 지금 지역민들을 위해서 뭘 해줄 수 있을까 그럴 가능성이 지금 굉장히 낮죠. 오히려 어떤 저평가, 외면 이것들을 더..."]
새 지도부는 당 혁신은 물론 극우 논란 해소와 특검 수사 대응, 거대 여당과의 협치 등 풀어야 할 과제 자체가 산적한 상황입니다.
쇄신과 봉합을 내세웠지만 갈등과 혼란을 남긴 국민의힘 전당대회, 최대 지지 기반인 대구·경북 지역민들의 위기감도 덩달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TK 출신 입성했지만…‘탄핵 찬반’에 매몰
-
- 입력 2025-08-22 21:46:10
- 수정2025-08-22 21:57:07

[앵커]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탄핵 반대 후보들이 1, 2위를 차지하며 반탄 지도부 출범이 확정됐는데요.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지도부 입성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계파에 묻혀 지역의 입지는 약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과반 득표자 없이 끝난 국민의힘 전당대회.
1, 2위를 김문수, 장동혁 후보가 차지하면서 사실상 '반탄 2파전'으로 굳혀졌습니다.
최고위원 선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최고위원 5명 중 3명이 반탄파로 구성된 상황.
상주 출신 신동욱 의원을 비롯해, 의성 출신 김재원 전 의원과 대구 출신 찬탄파 우재준 의원이 당선되긴 했지만, TK 출신이라는 이름표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는 평가입니다.
[김문수/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 "이재명 독재 정권은 국민의힘을 해산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이런 엄중할 때 우리끼리 분열하면 되겠습니까?"]
[장동혁/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 "국민의힘은 분열을 안고 갈 것인지 내부 총질자를 정리하고 단일 대오로 갈 것인지..."]
오히려 특정 계파와 인물에 대한 선명성 대결 구도가 부각되며, 정작 당내 최대 보루인 TK의 현안이나 민심은 뒷전이 됐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장우영/대구가톨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지금의 국민의힘은 민주화 이후로 가장 허약한 야당입니다. 거기서 지금 지역민들을 위해서 뭘 해줄 수 있을까 그럴 가능성이 지금 굉장히 낮죠. 오히려 어떤 저평가, 외면 이것들을 더..."]
새 지도부는 당 혁신은 물론 극우 논란 해소와 특검 수사 대응, 거대 여당과의 협치 등 풀어야 할 과제 자체가 산적한 상황입니다.
쇄신과 봉합을 내세웠지만 갈등과 혼란을 남긴 국민의힘 전당대회, 최대 지지 기반인 대구·경북 지역민들의 위기감도 덩달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탄핵 반대 후보들이 1, 2위를 차지하며 반탄 지도부 출범이 확정됐는데요.
대구·경북 출신 인사들이 지도부 입성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계파에 묻혀 지역의 입지는 약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과반 득표자 없이 끝난 국민의힘 전당대회.
1, 2위를 김문수, 장동혁 후보가 차지하면서 사실상 '반탄 2파전'으로 굳혀졌습니다.
최고위원 선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최고위원 5명 중 3명이 반탄파로 구성된 상황.
상주 출신 신동욱 의원을 비롯해, 의성 출신 김재원 전 의원과 대구 출신 찬탄파 우재준 의원이 당선되긴 했지만, TK 출신이라는 이름표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는 평가입니다.
[김문수/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 "이재명 독재 정권은 국민의힘을 해산시키려 하고 있습니다. 이런 엄중할 때 우리끼리 분열하면 되겠습니까?"]
[장동혁/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 "국민의힘은 분열을 안고 갈 것인지 내부 총질자를 정리하고 단일 대오로 갈 것인지..."]
오히려 특정 계파와 인물에 대한 선명성 대결 구도가 부각되며, 정작 당내 최대 보루인 TK의 현안이나 민심은 뒷전이 됐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장우영/대구가톨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지금의 국민의힘은 민주화 이후로 가장 허약한 야당입니다. 거기서 지금 지역민들을 위해서 뭘 해줄 수 있을까 그럴 가능성이 지금 굉장히 낮죠. 오히려 어떤 저평가, 외면 이것들을 더..."]
새 지도부는 당 혁신은 물론 극우 논란 해소와 특검 수사 대응, 거대 여당과의 협치 등 풀어야 할 과제 자체가 산적한 상황입니다.
쇄신과 봉합을 내세웠지만 갈등과 혼란을 남긴 국민의힘 전당대회, 최대 지지 기반인 대구·경북 지역민들의 위기감도 덩달아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
-
이지은 기자 easy@kbs.co.kr
이지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