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주한미군 기지 소유권 요구할 수도”
입력 2025.08.26 (12:47)
수정 2025.08.26 (12: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기지 부지의 소유권을 요구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해 왔던 트럼프 대통령이 부지 소유권을 언급한 건 처음입니다.
윤 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감축을 고려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라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또 현재 한국에 4만 명이 넘는 미군을 주둔시키고 있다고도 했는데, 실제 주한미군 규모는 현재 2만 8500명 수준입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꺼냈습니다.
미국이 수십억 달러를 받을 수 있었는데, 바이든 전 대통령이 포기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주한미군기지의 부지 소유권 문제를 거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부지를 미국에 준 것이 아니라 빌려준 것이라며,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는 이 땅 소유권을 미국에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주한미군기지는 SOFA, 주한미군지위협정에 따라 한국이 미국에 무상으로 공여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부지 임대차 계약을 없애고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겠다고도 했습니다.
미국 측이 주한미군기지 부지의 소유권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경기도 평택에 있는 미군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는 해외 미군 기지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큽니다.
이 부지를 조성하는데 들어간 비용 가운데, 90% 이상을 한국이 부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한국을 국빈 방문 했을 당시 헬기를 타고 기지를 직접 시찰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기지 부지의 소유권을 요구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해 왔던 트럼프 대통령이 부지 소유권을 언급한 건 처음입니다.
윤 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감축을 고려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라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또 현재 한국에 4만 명이 넘는 미군을 주둔시키고 있다고도 했는데, 실제 주한미군 규모는 현재 2만 8500명 수준입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꺼냈습니다.
미국이 수십억 달러를 받을 수 있었는데, 바이든 전 대통령이 포기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주한미군기지의 부지 소유권 문제를 거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부지를 미국에 준 것이 아니라 빌려준 것이라며,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는 이 땅 소유권을 미국에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주한미군기지는 SOFA, 주한미군지위협정에 따라 한국이 미국에 무상으로 공여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부지 임대차 계약을 없애고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겠다고도 했습니다.
미국 측이 주한미군기지 부지의 소유권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경기도 평택에 있는 미군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는 해외 미군 기지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큽니다.
이 부지를 조성하는데 들어간 비용 가운데, 90% 이상을 한국이 부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한국을 국빈 방문 했을 당시 헬기를 타고 기지를 직접 시찰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주한미군 기지 소유권 요구할 수도”
-
- 입력 2025-08-26 12:47:11
- 수정2025-08-26 12:51:46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기지 부지의 소유권을 요구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해 왔던 트럼프 대통령이 부지 소유권을 언급한 건 처음입니다.
윤 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감축을 고려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라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또 현재 한국에 4만 명이 넘는 미군을 주둔시키고 있다고도 했는데, 실제 주한미군 규모는 현재 2만 8500명 수준입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꺼냈습니다.
미국이 수십억 달러를 받을 수 있었는데, 바이든 전 대통령이 포기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주한미군기지의 부지 소유권 문제를 거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부지를 미국에 준 것이 아니라 빌려준 것이라며,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는 이 땅 소유권을 미국에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주한미군기지는 SOFA, 주한미군지위협정에 따라 한국이 미국에 무상으로 공여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부지 임대차 계약을 없애고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겠다고도 했습니다.
미국 측이 주한미군기지 부지의 소유권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경기도 평택에 있는 미군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는 해외 미군 기지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큽니다.
이 부지를 조성하는데 들어간 비용 가운데, 90% 이상을 한국이 부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한국을 국빈 방문 했을 당시 헬기를 타고 기지를 직접 시찰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기지 부지의 소유권을 요구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해 왔던 트럼프 대통령이 부지 소유권을 언급한 건 처음입니다.
윤 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감축을 고려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라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또 현재 한국에 4만 명이 넘는 미군을 주둔시키고 있다고도 했는데, 실제 주한미군 규모는 현재 2만 8500명 수준입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꺼냈습니다.
미국이 수십억 달러를 받을 수 있었는데, 바이든 전 대통령이 포기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주한미군기지의 부지 소유권 문제를 거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부지를 미국에 준 것이 아니라 빌려준 것이라며, 자신이 하고 싶은 일 중 하나는 이 땅 소유권을 미국에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현재 주한미군기지는 SOFA, 주한미군지위협정에 따라 한국이 미국에 무상으로 공여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부지 임대차 계약을 없애고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겠다고도 했습니다.
미국 측이 주한미군기지 부지의 소유권을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경기도 평택에 있는 미군기지인 캠프 험프리스는 해외 미군 기지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큽니다.
이 부지를 조성하는데 들어간 비용 가운데, 90% 이상을 한국이 부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한국을 국빈 방문 했을 당시 헬기를 타고 기지를 직접 시찰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윤진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
-
윤진 기자 jin@kbs.co.kr
윤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