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도 놀란 새만금 공법

입력 2006.04.21 (22:0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바닷물과 싸우는 이 역사적인 공사에는 첨단장비, 최신공법이 총 동원됐습니다.

박재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계에서 가장 긴 33킬로미터의 방조제 끝 물막이가 끝나는 순간입니다.

육상과 해상에서 집 채 만한 돌덩어리와 돌망태를 집중적으로 쏟아붓습니다.

2.7킬로미터 트인 구간을 남겨놓고 시작된 끝 물막이는 애초보다 사흘 앞당긴 36일 만에 완공됐습니다.

지난 14년 5개월 동안 쏟아 부은 돌덩이는 15톤 트럭으로 6백만 대 분량인 4천만 세제곱미터, 소양강댐 8개를 건설할 수 있는 분량입니다.

국내를 통틀어 스무 대뿐인 35톤 초대형 덤프와 특수 제작된 2천 톤급 대형 바지선이 동원됐기에 가능했습니다.

<인터뷰> 정한수(농촌공사 새만금사업단장): "한꺼번에 많은 양을 쏟아 부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유속에도 공사를 앞당길 수 있어.."

초속 6미터가 넘는 거센 물살은 모형 실험을 통해 극복했고, 첨단장비로는 실시간 유속과 수심을 분석하며 돌발상황에 대처했습니다.

간척의 나라 네덜란드에서도 첨단 공법을 배우러 왔습니다.

<인터뷰> 버포 과장(네덜란드 물관리청): "한국의 새만금 간척사업은 그 규모가 네덜란드보다 더 크다. 그래서 한국과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여의도 면적 140배인 1억 2천만 평의 새로운 국토를 만들어낼 새만금 방조제..

간척 사상 최대 난공사를 극복하고 이룬 건국이래 최대 역사입니다.

KBS 뉴스 박재홍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도 놀란 새만금 공법
    • 입력 2006-04-21 21:11:23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멘트> 바닷물과 싸우는 이 역사적인 공사에는 첨단장비, 최신공법이 총 동원됐습니다. 박재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세계에서 가장 긴 33킬로미터의 방조제 끝 물막이가 끝나는 순간입니다. 육상과 해상에서 집 채 만한 돌덩어리와 돌망태를 집중적으로 쏟아붓습니다. 2.7킬로미터 트인 구간을 남겨놓고 시작된 끝 물막이는 애초보다 사흘 앞당긴 36일 만에 완공됐습니다. 지난 14년 5개월 동안 쏟아 부은 돌덩이는 15톤 트럭으로 6백만 대 분량인 4천만 세제곱미터, 소양강댐 8개를 건설할 수 있는 분량입니다. 국내를 통틀어 스무 대뿐인 35톤 초대형 덤프와 특수 제작된 2천 톤급 대형 바지선이 동원됐기에 가능했습니다. <인터뷰> 정한수(농촌공사 새만금사업단장): "한꺼번에 많은 양을 쏟아 부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유속에도 공사를 앞당길 수 있어.." 초속 6미터가 넘는 거센 물살은 모형 실험을 통해 극복했고, 첨단장비로는 실시간 유속과 수심을 분석하며 돌발상황에 대처했습니다. 간척의 나라 네덜란드에서도 첨단 공법을 배우러 왔습니다. <인터뷰> 버포 과장(네덜란드 물관리청): "한국의 새만금 간척사업은 그 규모가 네덜란드보다 더 크다. 그래서 한국과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여의도 면적 140배인 1억 2천만 평의 새로운 국토를 만들어낼 새만금 방조제.. 간척 사상 최대 난공사를 극복하고 이룬 건국이래 최대 역사입니다. KBS 뉴스 박재홍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