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고속도로, ‘부실 대응·통제 불응’…마비
입력 2006.07.17 (2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 새벽부터 통행이 재개된 영동 고속도로는 차량들이 몰리면서 극심한 정체가 빚어졌습니다.
지난 이틀간 영동고속도로가 전면 마비됐던 데에는, 초기통제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입니다.
송민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영동고속도로가 오늘 새벽 1시 반쯤부터 다시 뚫렸습니다.
전면 통제된 지 35시간 만입니다.
<인터뷰> 최용일 (강원도 삼척시 정산동) : "3일 만에 집에 가서 너무 좋습니다. 얼른 다른 곳도 복구됐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피해가 컸던 평창휴게소 구간 등 2 곳은 하행선을 통해 양 방향으로 소통시키고 있습니다.
동해안에서 빠져 나가려는 차량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이 구간은 하루종일 극심한 정체현상을 빚었습니다.
미시령과 진부령 등 국도도 고속도로와 함께 통행이 재개돼 동해안으로 가는 길이 열렸습니다.
하지만 영동고속도로는 2000 년 확장 개통 이후 첫 불통사태를 겪으면서 운전자들이 큰 혼란을 겪어야 했습니다.
피서철에 연휴까지 겹치면서 차량이 한꺼번에 몰려들었지만 산사태가 났을 때 차량 통제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일부 운전자들은 갓길을 운행했고 통제에 응하지 않으면서 우회를 거부하는 바람에 복구장비 투입이 늦어졌습니다.
도로공사의 대응도 신속히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첫 산사태가 발생한 건 지난 15 일 오전 11시 쯤, 12시 50분 쯤 대규모 토사가 쏟아지면서 양 방향 통제가 시작됐지만 대부분의 중앙분리대는 오후 4시 전후에야 개방됐습니다.
<인터뷰> 김국진 (한국도로공사 과장) : " 비가 너무 많이 온데다 고객들이 통제에 불응해 초기 대응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응급 복구 이틀 만에 통행이 재개된 영동고속도로는 19일 쯤 정상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송민석입니다.
오늘 새벽부터 통행이 재개된 영동 고속도로는 차량들이 몰리면서 극심한 정체가 빚어졌습니다.
지난 이틀간 영동고속도로가 전면 마비됐던 데에는, 초기통제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입니다.
송민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영동고속도로가 오늘 새벽 1시 반쯤부터 다시 뚫렸습니다.
전면 통제된 지 35시간 만입니다.
<인터뷰> 최용일 (강원도 삼척시 정산동) : "3일 만에 집에 가서 너무 좋습니다. 얼른 다른 곳도 복구됐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피해가 컸던 평창휴게소 구간 등 2 곳은 하행선을 통해 양 방향으로 소통시키고 있습니다.
동해안에서 빠져 나가려는 차량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이 구간은 하루종일 극심한 정체현상을 빚었습니다.
미시령과 진부령 등 국도도 고속도로와 함께 통행이 재개돼 동해안으로 가는 길이 열렸습니다.
하지만 영동고속도로는 2000 년 확장 개통 이후 첫 불통사태를 겪으면서 운전자들이 큰 혼란을 겪어야 했습니다.
피서철에 연휴까지 겹치면서 차량이 한꺼번에 몰려들었지만 산사태가 났을 때 차량 통제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일부 운전자들은 갓길을 운행했고 통제에 응하지 않으면서 우회를 거부하는 바람에 복구장비 투입이 늦어졌습니다.
도로공사의 대응도 신속히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첫 산사태가 발생한 건 지난 15 일 오전 11시 쯤, 12시 50분 쯤 대규모 토사가 쏟아지면서 양 방향 통제가 시작됐지만 대부분의 중앙분리대는 오후 4시 전후에야 개방됐습니다.
<인터뷰> 김국진 (한국도로공사 과장) : " 비가 너무 많이 온데다 고객들이 통제에 불응해 초기 대응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응급 복구 이틀 만에 통행이 재개된 영동고속도로는 19일 쯤 정상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송민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동 고속도로, ‘부실 대응·통제 불응’…마비
-
- 입력 2006-07-17 21:11:24
<앵커 멘트>
오늘 새벽부터 통행이 재개된 영동 고속도로는 차량들이 몰리면서 극심한 정체가 빚어졌습니다.
지난 이틀간 영동고속도로가 전면 마비됐던 데에는, 초기통제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입니다.
송민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영동고속도로가 오늘 새벽 1시 반쯤부터 다시 뚫렸습니다.
전면 통제된 지 35시간 만입니다.
<인터뷰> 최용일 (강원도 삼척시 정산동) : "3일 만에 집에 가서 너무 좋습니다. 얼른 다른 곳도 복구됐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피해가 컸던 평창휴게소 구간 등 2 곳은 하행선을 통해 양 방향으로 소통시키고 있습니다.
동해안에서 빠져 나가려는 차량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이 구간은 하루종일 극심한 정체현상을 빚었습니다.
미시령과 진부령 등 국도도 고속도로와 함께 통행이 재개돼 동해안으로 가는 길이 열렸습니다.
하지만 영동고속도로는 2000 년 확장 개통 이후 첫 불통사태를 겪으면서 운전자들이 큰 혼란을 겪어야 했습니다.
피서철에 연휴까지 겹치면서 차량이 한꺼번에 몰려들었지만 산사태가 났을 때 차량 통제는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일부 운전자들은 갓길을 운행했고 통제에 응하지 않으면서 우회를 거부하는 바람에 복구장비 투입이 늦어졌습니다.
도로공사의 대응도 신속히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첫 산사태가 발생한 건 지난 15 일 오전 11시 쯤, 12시 50분 쯤 대규모 토사가 쏟아지면서 양 방향 통제가 시작됐지만 대부분의 중앙분리대는 오후 4시 전후에야 개방됐습니다.
<인터뷰> 김국진 (한국도로공사 과장) : " 비가 너무 많이 온데다 고객들이 통제에 불응해 초기 대응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응급 복구 이틀 만에 통행이 재개된 영동고속도로는 19일 쯤 정상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송민석입니다.
-
-
송민석 기자 yesiwill@kbs.co.kr
송민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장마 · 호우_2006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