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감사원의 직불금 감사 결과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부당하게 직불금을 받은것으로 의심되는 17만명의 명단을 모두 폐기했다는 지적과 더불어 일부 명단은 남아있을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근우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명단은 없다'는 것이 직불금 사태가 불거진 후 감사원이 내내 취해온 입장입니다.
그럼에도 조사를 했다면 당연히 명단이 있을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장윤석 한나라당 의원은 감사원이 개별 명단을 폐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감사원은 그러나 개별 명단은 별도로 생산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농림부로부터 받은 원본 데이터를 직업과 주소 확인이 가능한 공무원 연금 관리 공단 등의 전산 자료를 통해 통계치로만 파악했다는 것입니다.
감사원은 그 자료들도 감사 후에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컴퓨터 파일에서 모두 삭제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감사원 : "감사원법 제 27조 제 5항의 규정에 따라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감사원은 그러면서 원본 데이터는 여전히 농림수산식품부와 각 지자체에서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감사원이 수령자 전체 명단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공직자 일부 명단은 갖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서울과 과천에 거주하는 공무원 수를 별도로 추출해낼 정도면 당연히 520명 정도는 확인을 시도했을 것이라는 얘깁니다.
파일이 삭제됐어도 감사관들이 메모 형식으로 갖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국회법사위원회는 감사 결과에 대한 갖가지 의혹에 대해 내일 감사원에서 긴급 현안 질의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근우입니다.
감사원의 직불금 감사 결과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부당하게 직불금을 받은것으로 의심되는 17만명의 명단을 모두 폐기했다는 지적과 더불어 일부 명단은 남아있을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근우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명단은 없다'는 것이 직불금 사태가 불거진 후 감사원이 내내 취해온 입장입니다.
그럼에도 조사를 했다면 당연히 명단이 있을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장윤석 한나라당 의원은 감사원이 개별 명단을 폐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감사원은 그러나 개별 명단은 별도로 생산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농림부로부터 받은 원본 데이터를 직업과 주소 확인이 가능한 공무원 연금 관리 공단 등의 전산 자료를 통해 통계치로만 파악했다는 것입니다.
감사원은 그 자료들도 감사 후에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컴퓨터 파일에서 모두 삭제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감사원 : "감사원법 제 27조 제 5항의 규정에 따라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감사원은 그러면서 원본 데이터는 여전히 농림수산식품부와 각 지자체에서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감사원이 수령자 전체 명단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공직자 일부 명단은 갖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서울과 과천에 거주하는 공무원 수를 별도로 추출해낼 정도면 당연히 520명 정도는 확인을 시도했을 것이라는 얘깁니다.
파일이 삭제됐어도 감사관들이 메모 형식으로 갖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국회법사위원회는 감사 결과에 대한 갖가지 의혹에 대해 내일 감사원에서 긴급 현안 질의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근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정 수급 명단 모두 폐기?
-
- 입력 2008-10-16 20:56:44

<앵커 멘트>
감사원의 직불금 감사 결과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부당하게 직불금을 받은것으로 의심되는 17만명의 명단을 모두 폐기했다는 지적과 더불어 일부 명단은 남아있을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근우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명단은 없다'는 것이 직불금 사태가 불거진 후 감사원이 내내 취해온 입장입니다.
그럼에도 조사를 했다면 당연히 명단이 있을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장윤석 한나라당 의원은 감사원이 개별 명단을 폐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감사원은 그러나 개별 명단은 별도로 생산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농림부로부터 받은 원본 데이터를 직업과 주소 확인이 가능한 공무원 연금 관리 공단 등의 전산 자료를 통해 통계치로만 파악했다는 것입니다.
감사원은 그 자료들도 감사 후에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컴퓨터 파일에서 모두 삭제했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감사원 : "감사원법 제 27조 제 5항의 규정에 따라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감사원은 그러면서 원본 데이터는 여전히 농림수산식품부와 각 지자체에서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감사원이 수령자 전체 명단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공직자 일부 명단은 갖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서울과 과천에 거주하는 공무원 수를 별도로 추출해낼 정도면 당연히 520명 정도는 확인을 시도했을 것이라는 얘깁니다.
파일이 삭제됐어도 감사관들이 메모 형식으로 갖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국회법사위원회는 감사 결과에 대한 갖가지 의혹에 대해 내일 감사원에서 긴급 현안 질의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이근우입니다.
-
-
이근우 기자 lkw@kbs.co.kr
이근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쌀 직불금’ 불법 수령 파문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