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계속된 가뭄으로 하천 수량이 줄어들면서 수질 관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동절기 수질 오염 사고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재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낙동강 중류인 사문진교 부근.
가뭄이 길어지면서 강폭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습니다.
안동댐과 임하댐 등 낙동강 상류지역 댐들이 방류량을 크게 줄이면서 이처럼 낙동강 한가운데 모래밭이 그 모습을 완전히 드러냈습니다.
하천 수량이 예년의 3분의 1수준으로 줄면서 낙동강 수질은 크게 나빠졌습니다.
올해 9월 낙동강 중류인 고령 지점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는 2.6ppm으로 일 년 전보다 0.8ppm이 높아졌고 낙동강 지류인 금호강과 남강의 BOD는 배 넘게 높아져 3급수로 수질이 나빠졌습니다.
금강과 영산강 등 남부지역 다른 강들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인터뷰> 김수현(대구지방환경청) : "강수량이 줄어들면서 하천의 수량이 많이 줄어들었고 그래서 예년에 비해 수질이 많이 안 좋아진 편입니다."
당장 먹는 물에 지장이 있을 정도는 아니지만 수질 오염사고라도 나면 식수공급에도 차질이 우려됩니다.
<인터뷰> 대구시 수질연구과 과장 : "저수량이 부족하다 보니까 동절기에는 수질사고에 대비해 아무래도 신경을 많이 써야..."
환경부는 갈수기 수질오염 대책을 마련하고 사고 우려 시설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이재교입니다.
계속된 가뭄으로 하천 수량이 줄어들면서 수질 관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동절기 수질 오염 사고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재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낙동강 중류인 사문진교 부근.
가뭄이 길어지면서 강폭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습니다.
안동댐과 임하댐 등 낙동강 상류지역 댐들이 방류량을 크게 줄이면서 이처럼 낙동강 한가운데 모래밭이 그 모습을 완전히 드러냈습니다.
하천 수량이 예년의 3분의 1수준으로 줄면서 낙동강 수질은 크게 나빠졌습니다.
올해 9월 낙동강 중류인 고령 지점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는 2.6ppm으로 일 년 전보다 0.8ppm이 높아졌고 낙동강 지류인 금호강과 남강의 BOD는 배 넘게 높아져 3급수로 수질이 나빠졌습니다.
금강과 영산강 등 남부지역 다른 강들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인터뷰> 김수현(대구지방환경청) : "강수량이 줄어들면서 하천의 수량이 많이 줄어들었고 그래서 예년에 비해 수질이 많이 안 좋아진 편입니다."
당장 먹는 물에 지장이 있을 정도는 아니지만 수질 오염사고라도 나면 식수공급에도 차질이 우려됩니다.
<인터뷰> 대구시 수질연구과 과장 : "저수량이 부족하다 보니까 동절기에는 수질사고에 대비해 아무래도 신경을 많이 써야..."
환경부는 갈수기 수질오염 대책을 마련하고 사고 우려 시설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이재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을 가뭄에 수질 관리 ‘비상’
-
- 입력 2008-11-07 21:00:14

<앵커멘트>
계속된 가뭄으로 하천 수량이 줄어들면서 수질 관리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동절기 수질 오염 사고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재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낙동강 중류인 사문진교 부근.
가뭄이 길어지면서 강폭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습니다.
안동댐과 임하댐 등 낙동강 상류지역 댐들이 방류량을 크게 줄이면서 이처럼 낙동강 한가운데 모래밭이 그 모습을 완전히 드러냈습니다.
하천 수량이 예년의 3분의 1수준으로 줄면서 낙동강 수질은 크게 나빠졌습니다.
올해 9월 낙동강 중류인 고령 지점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OD는 2.6ppm으로 일 년 전보다 0.8ppm이 높아졌고 낙동강 지류인 금호강과 남강의 BOD는 배 넘게 높아져 3급수로 수질이 나빠졌습니다.
금강과 영산강 등 남부지역 다른 강들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인터뷰> 김수현(대구지방환경청) : "강수량이 줄어들면서 하천의 수량이 많이 줄어들었고 그래서 예년에 비해 수질이 많이 안 좋아진 편입니다."
당장 먹는 물에 지장이 있을 정도는 아니지만 수질 오염사고라도 나면 식수공급에도 차질이 우려됩니다.
<인터뷰> 대구시 수질연구과 과장 : "저수량이 부족하다 보니까 동절기에는 수질사고에 대비해 아무래도 신경을 많이 써야..."
환경부는 갈수기 수질오염 대책을 마련하고 사고 우려 시설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이재교입니다.
-
-
이재교 기자 sky77@kbs.co.kr
이재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