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천마총’ 속 동물은 말이 아닌 기린?
입력 2009.09.29 (07:59)
수정 2009.09.29 (08: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금까지 천마도로 알려져온 신라 천마총속의 동물은 말이 아니라 기린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립 중앙 박물관이 개관 100주년을 기념해 일반에 공개한 적외선 사진을 보면 머리 양쪽에서 두개의 뿔이 선명하게 드러나 보입니다.
한상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립 중앙 박물관이 최근 정밀 촬영한 천마도의 적외선 사진입니다.
동물의 머리에 대칭으로 난 뿔 2개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이에따라 몸체는 말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큰 갈퀴와 머리에는 뿔이 난 상상속의 동물인 기린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지난 2000년에 한 미술사가에 의해 천마가 아니라 기린이라는 주장이 나온 적이 있지만 이번 적외선 촬영 공개로 기린이라는 주장에 더 무게가 실리게 된 것입니다.
<인터뷰>최광식(국립중앙박물관 관장) : "말인지 기린인지 이에 대한 견해가 더욱 명확해 져야 되리라 생각됩니다. 만약 이게 말이 아니라 기린이라면 기린도, 기린총이 되겠죠."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에는 천마도외에도 안평대군이 꿈에 본 낙원을 화폭에 옮긴 불후의 명작 몽유 도원도가 선보입니다.
조선 초기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이 그림은 당대 최고의 화가 안견의 작품으로 계유정난과 임진왜란을 거치며 어떤 연유에서인지 일본으로 흘러 들어가 국보로까지 지정된 것을 전시를 위해 잠시 빌려 온 것입니다.
이밖에도 관음보살의 모습이 물에 비친 달처럼 아름답다고 해서 붙여진 수월관음도등 이번 특별전에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곳곳에 흩어져 있던 한국을 대표하는 걸출한 예술품들이 한자리에 선보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상덕입니다.
지금까지 천마도로 알려져온 신라 천마총속의 동물은 말이 아니라 기린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립 중앙 박물관이 개관 100주년을 기념해 일반에 공개한 적외선 사진을 보면 머리 양쪽에서 두개의 뿔이 선명하게 드러나 보입니다.
한상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립 중앙 박물관이 최근 정밀 촬영한 천마도의 적외선 사진입니다.
동물의 머리에 대칭으로 난 뿔 2개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이에따라 몸체는 말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큰 갈퀴와 머리에는 뿔이 난 상상속의 동물인 기린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지난 2000년에 한 미술사가에 의해 천마가 아니라 기린이라는 주장이 나온 적이 있지만 이번 적외선 촬영 공개로 기린이라는 주장에 더 무게가 실리게 된 것입니다.
<인터뷰>최광식(국립중앙박물관 관장) : "말인지 기린인지 이에 대한 견해가 더욱 명확해 져야 되리라 생각됩니다. 만약 이게 말이 아니라 기린이라면 기린도, 기린총이 되겠죠."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에는 천마도외에도 안평대군이 꿈에 본 낙원을 화폭에 옮긴 불후의 명작 몽유 도원도가 선보입니다.
조선 초기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이 그림은 당대 최고의 화가 안견의 작품으로 계유정난과 임진왜란을 거치며 어떤 연유에서인지 일본으로 흘러 들어가 국보로까지 지정된 것을 전시를 위해 잠시 빌려 온 것입니다.
이밖에도 관음보살의 모습이 물에 비친 달처럼 아름답다고 해서 붙여진 수월관음도등 이번 특별전에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곳곳에 흩어져 있던 한국을 대표하는 걸출한 예술품들이 한자리에 선보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상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라 ‘천마총’ 속 동물은 말이 아닌 기린?
-
- 입력 2009-09-29 07:29:33
- 수정2009-09-29 08:22:19

<앵커 멘트>
지금까지 천마도로 알려져온 신라 천마총속의 동물은 말이 아니라 기린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립 중앙 박물관이 개관 100주년을 기념해 일반에 공개한 적외선 사진을 보면 머리 양쪽에서 두개의 뿔이 선명하게 드러나 보입니다.
한상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립 중앙 박물관이 최근 정밀 촬영한 천마도의 적외선 사진입니다.
동물의 머리에 대칭으로 난 뿔 2개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이에따라 몸체는 말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큰 갈퀴와 머리에는 뿔이 난 상상속의 동물인 기린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지난 2000년에 한 미술사가에 의해 천마가 아니라 기린이라는 주장이 나온 적이 있지만 이번 적외선 촬영 공개로 기린이라는 주장에 더 무게가 실리게 된 것입니다.
<인터뷰>최광식(국립중앙박물관 관장) : "말인지 기린인지 이에 대한 견해가 더욱 명확해 져야 되리라 생각됩니다. 만약 이게 말이 아니라 기린이라면 기린도, 기린총이 되겠죠."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 특별전에는 천마도외에도 안평대군이 꿈에 본 낙원을 화폭에 옮긴 불후의 명작 몽유 도원도가 선보입니다.
조선 초기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이 그림은 당대 최고의 화가 안견의 작품으로 계유정난과 임진왜란을 거치며 어떤 연유에서인지 일본으로 흘러 들어가 국보로까지 지정된 것을 전시를 위해 잠시 빌려 온 것입니다.
이밖에도 관음보살의 모습이 물에 비친 달처럼 아름답다고 해서 붙여진 수월관음도등 이번 특별전에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곳곳에 흩어져 있던 한국을 대표하는 걸출한 예술품들이 한자리에 선보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상덕입니다.
-
-
한상덕 기자 dukhan@kbs.co.kr
한상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