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화폐 개혁으로 북한 경제는 더욱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죠.
고육지책인지 100억달러 유치를 추진중이란 얘기가 흘러 나옵니다.
신강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지난달 설립한 조선대풍국제투자그룹을 통해 중국의 은행과 기업들과 접촉하며 최대 100억 달러 규모의 외자 유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대북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특히, 이달초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의 방북 기간중, 북중 고위 당국자 사이에 심도있는 외자유치 협상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중국의 자금으로 철도와 항만 등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대신 이들 시설의 운영권을 장기간 빌려주는 방법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이 대규모 외자유치에 성공할 경우 지난해 중반부터 이어진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사실상 무력화됩니다.
하지만, 100억 달러가 북한의 GNI, 연간 국민총소득 248억달러의 40%에 이르는 엄청난 액수라는 점에서 성공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인터뷰> 조봉현(기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북한인 외자유치에 성공하려면, 6자회담 복귀 등 조치 통해 국가신인도를 제고하고, 투자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당국차원에서 북한의 외자유치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파악된 것은 없다면서도 내일 김정일 위원장의 68회 생일 이후 이와 관련한 북한 당국의 행보가 어떻게 나올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화폐 개혁으로 북한 경제는 더욱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죠.
고육지책인지 100억달러 유치를 추진중이란 얘기가 흘러 나옵니다.
신강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지난달 설립한 조선대풍국제투자그룹을 통해 중국의 은행과 기업들과 접촉하며 최대 100억 달러 규모의 외자 유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대북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특히, 이달초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의 방북 기간중, 북중 고위 당국자 사이에 심도있는 외자유치 협상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중국의 자금으로 철도와 항만 등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대신 이들 시설의 운영권을 장기간 빌려주는 방법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이 대규모 외자유치에 성공할 경우 지난해 중반부터 이어진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사실상 무력화됩니다.
하지만, 100억 달러가 북한의 GNI, 연간 국민총소득 248억달러의 40%에 이르는 엄청난 액수라는 점에서 성공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인터뷰> 조봉현(기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북한인 외자유치에 성공하려면, 6자회담 복귀 등 조치 통해 국가신인도를 제고하고, 투자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당국차원에서 북한의 외자유치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파악된 것은 없다면서도 내일 김정일 위원장의 68회 생일 이후 이와 관련한 북한 당국의 행보가 어떻게 나올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100억 달러 외자 유치 추진”
-
- 입력 2010-02-15 22:09:27

<앵커 멘트>
화폐 개혁으로 북한 경제는 더욱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죠.
고육지책인지 100억달러 유치를 추진중이란 얘기가 흘러 나옵니다.
신강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이 지난달 설립한 조선대풍국제투자그룹을 통해 중국의 은행과 기업들과 접촉하며 최대 100억 달러 규모의 외자 유치를 진행하고 있다고 대북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특히, 이달초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의 방북 기간중, 북중 고위 당국자 사이에 심도있는 외자유치 협상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중국의 자금으로 철도와 항만 등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대신 이들 시설의 운영권을 장기간 빌려주는 방법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북한이 대규모 외자유치에 성공할 경우 지난해 중반부터 이어진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사실상 무력화됩니다.
하지만, 100억 달러가 북한의 GNI, 연간 국민총소득 248억달러의 40%에 이르는 엄청난 액수라는 점에서 성공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인터뷰> 조봉현(기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북한인 외자유치에 성공하려면, 6자회담 복귀 등 조치 통해 국가신인도를 제고하고, 투자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당국차원에서 북한의 외자유치와 관련해 구체적으로 파악된 것은 없다면서도 내일 김정일 위원장의 68회 생일 이후 이와 관련한 북한 당국의 행보가 어떻게 나올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
-
신강문 기자 kmshin@kbs.co.kr
신강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