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주요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연합이 세계 최대 규모 청정도시를 건설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계십니까?
석유고갈 이후를 대비한 지혜로운 현장, 아부다비에서 정창준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열사의 땅에 건설중인 세계 최대 청정도시.
가로등은 태양광을 씁니다.
시범 운용중인 태양광 발전소는 10 메가와트급입니다.
<인터뷰> 우마즈 아흐마드(마스다르 시티 엔지니어) : "이 (태양광)발전소는 아부다비에서 6천에서 8천가구에 전력을 공급합니다."
태양광과 풍력이 도시의 에너지원이고 기름 등 화석연료는 쓰지 않아 탄소배출 제로, 쓰레기 제로에 도전합니다.
주요 교통수단은 무인 전기 자동차입니다.
도로 위에서 자동 충전됩니다.
우리 돈 25조 원 규모가 투입되는 이곳은 앞으로 10년 후면 인구 5만 명이 살게 됩니다.
석유 없는 청정 미래 도시인 마스다르시티에 사활을 걸고 있는 건 원유 부국 아랍에미레이트연합입니다.
<인터뷰> 칼레드 자만('마스다르 시티'프로젝트 매니저) : "재생에너지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주요 요인입니다. 탄소제로 도시는 도시 자체에서 모든 에너지를 해결합니다."
석유 고갈 이후 성장동력을 개척하겠다는 겁니다.
마스다르 시티는 미래 재생 에너지 기술의 도전이자 경연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아부다비에서 KBS 뉴스 정창준입니다.
주요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연합이 세계 최대 규모 청정도시를 건설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계십니까?
석유고갈 이후를 대비한 지혜로운 현장, 아부다비에서 정창준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열사의 땅에 건설중인 세계 최대 청정도시.
가로등은 태양광을 씁니다.
시범 운용중인 태양광 발전소는 10 메가와트급입니다.
<인터뷰> 우마즈 아흐마드(마스다르 시티 엔지니어) : "이 (태양광)발전소는 아부다비에서 6천에서 8천가구에 전력을 공급합니다."
태양광과 풍력이 도시의 에너지원이고 기름 등 화석연료는 쓰지 않아 탄소배출 제로, 쓰레기 제로에 도전합니다.
주요 교통수단은 무인 전기 자동차입니다.
도로 위에서 자동 충전됩니다.
우리 돈 25조 원 규모가 투입되는 이곳은 앞으로 10년 후면 인구 5만 명이 살게 됩니다.
석유 없는 청정 미래 도시인 마스다르시티에 사활을 걸고 있는 건 원유 부국 아랍에미레이트연합입니다.
<인터뷰> 칼레드 자만('마스다르 시티'프로젝트 매니저) : "재생에너지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주요 요인입니다. 탄소제로 도시는 도시 자체에서 모든 에너지를 해결합니다."
석유 고갈 이후 성장동력을 개척하겠다는 겁니다.
마스다르 시티는 미래 재생 에너지 기술의 도전이자 경연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아부다비에서 KBS 뉴스 정창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유국도 ‘석유없는 청정도시’에 올인
-
- 입력 2010-02-15 22:09:36

<앵커 멘트>
주요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연합이 세계 최대 규모 청정도시를 건설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계십니까?
석유고갈 이후를 대비한 지혜로운 현장, 아부다비에서 정창준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열사의 땅에 건설중인 세계 최대 청정도시.
가로등은 태양광을 씁니다.
시범 운용중인 태양광 발전소는 10 메가와트급입니다.
<인터뷰> 우마즈 아흐마드(마스다르 시티 엔지니어) : "이 (태양광)발전소는 아부다비에서 6천에서 8천가구에 전력을 공급합니다."
태양광과 풍력이 도시의 에너지원이고 기름 등 화석연료는 쓰지 않아 탄소배출 제로, 쓰레기 제로에 도전합니다.
주요 교통수단은 무인 전기 자동차입니다.
도로 위에서 자동 충전됩니다.
우리 돈 25조 원 규모가 투입되는 이곳은 앞으로 10년 후면 인구 5만 명이 살게 됩니다.
석유 없는 청정 미래 도시인 마스다르시티에 사활을 걸고 있는 건 원유 부국 아랍에미레이트연합입니다.
<인터뷰> 칼레드 자만('마스다르 시티'프로젝트 매니저) : "재생에너지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주요 요인입니다. 탄소제로 도시는 도시 자체에서 모든 에너지를 해결합니다."
석유 고갈 이후 성장동력을 개척하겠다는 겁니다.
마스다르 시티는 미래 재생 에너지 기술의 도전이자 경연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아부다비에서 KBS 뉴스 정창준입니다.
-
-
정창준 기자 jchjun@kbs.co.kr
정창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